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목표 중 ‘수업목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수업에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매개로 수업목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행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2692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7-106(3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목표 중 ‘수업목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수업에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매개로 수업목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행과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목표 중 ‘수업목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수업에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매개로 수업목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행과 수업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햇빛유치원의 교사 5명을 대상으로, 6주간 실시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의 수업목표 설정방법은 ‘교육이론’, ‘발달수준’, ‘주제’, ‘시기’, ‘동료 교사’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방법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수업목표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은,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소개와 적용가능성’ 논의, ‘개선을 위한 적용의 시작’, ‘다양한 적용방법 개발과 적용’, ‘개선의 지속과 미래를 위한 종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수업목표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장학의 역할과 교사의 반성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 수업목표의 역할에 대한 재고해볼 여지를 주었다는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which belonged to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methods of attaining selected goals.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uti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which belonged to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methods of attaining selected goals.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utilized to shed light on their reflective attainment of instructional goals and the process of their impro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unshine Kindergarten, they set instructional goal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theories, the developmental level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theme, time period and fellow teachers. And they reflected on their practices of setting goals without taking evaluation into account.
Second, concerning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al goal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had a discussion about the feasibility of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fter they were explained about that. In the next stage of acting, the teachers started to apply i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ctivities, to use questioning, to make a program evaluation and to offer differentiated guidance customized to the level of preschoolers. Thus, they got to set their instructional goals in a more productive manner. In the final stage of sustainable improvement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y produced new evaluation tools by taking their selected goals into consideration, and carefully thought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which they particip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some implications: First, having a reflective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of supervis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is study provided diverse perspectives about the roles of instructional goal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having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 setting and its attainment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achieve a reflective grow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유진,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55-476, 2008
2 안정수, "한국 교육의 목표" 우리들 2007
3 민용성,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 개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323-341, 2006
4 진영학, "초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목표 분석 및 기준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47-59, 2009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아카데미 프레스 2012
6 오혜정,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13-232, 2010
7 이은해, "유치원 교육의 효과에 관한 종단적 연구" 25 (25): 119-137, 1987
8 유구종,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의 과정과 의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63-187, 2010
9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8
10 이화도, "유아교육과 메타인지:개념적 접근과 교육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9-74, 2005
1 손유진,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55-476, 2008
2 안정수, "한국 교육의 목표" 우리들 2007
3 민용성,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 개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323-341, 2006
4 진영학, "초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목표 분석 및 기준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47-59, 2009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아카데미 프레스 2012
6 오혜정,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13-232, 2010
7 이은해, "유치원 교육의 효과에 관한 종단적 연구" 25 (25): 119-137, 1987
8 유구종,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의 과정과 의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63-187, 2010
9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8
10 이화도, "유아교육과 메타인지:개념적 접근과 교육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9-74, 2005
11 임진형,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2 유준호, "유아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실행연구의 활용" 9 : 5-25, 2006
13 손유진, "온라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실행연구 방안 모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25-148, 2009
14 이기숙, "영유아교육과정" 경기도: 공동체 2009
15 손유진, "실행연구자로서 예비유아교사의 가능성 탐구:행동관찰과 분석 사례를 통하여"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33-253, 2007
16 김희연,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35-255, 2004
17 Robert J. Marzano,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05
18 심혜숙, "보육기관 및 유치원의 원장, 교사, 부모의 유아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3 : 1-52, 1996
19 조재식,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61-96, 2006
20 Hatch. J. A,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2
21 김대현,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2011
22 Mills, J. E,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우리교육 2003
23 신재한, "교과지식 영역에 따른 대안적 수업목표 분류방안 탐색" 4 (4): 93-119, 2005
24 Huang, H. B, "What is good action research? Why the resurgent interest?" 8 (8): 93-109, 2010
25 Gillham, B, "Research interviewing" Open University Press 2005
26 Akwaji, C, "Problem-Based Learning with Young Childr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ction Research Projects in an Urban Classroom" 2 : 1178-1179, 2002
27 Kay, P. J, "Parents + Teachers + Action Research = Real Involvement" 30 (30): 8-13, 1997
28 Ernst, K., Schulbuch, "Objective PET, In Teacher's 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9 Hashemi, Louise, "Objective PET Teacher's 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0 Ryan, A. K, "Kyle A Case Study in Parent-Teacher Action Research" 33 (33): 56-61, 2001
31 Nasstrom, G, "Interpretation of standard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32 (32): 39-51, 2009
32 Angelides, P, "Implementing a collaborative model of action research for teacher development" 13 (13): 275-290, 2005
33 김미경, "Hauenstein의 인지적 영역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한 유치부 공과교육을 통한 하나님 개념인식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7-52, 2010
34 Grindler, M, "Bookmatching in the classroom: How action research reached the lives of children through books" 16 (16): 50-, 1995
35 곽대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한국영재학회 18 (18): 591-612, 2008
36 박철규, "Bloom의 신 교육 목표 분류학에 의한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실험 수업 목표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1
37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