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5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ontent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y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5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ll areas and sub-categorie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importance was perceived
      higher than performance. The first aid area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high importance
      so that priority support was required. Regarding the occupational safety area,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lower than other areas. It implies that long-term
      improvement was required.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the most.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infer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irst, it needs to strengthen practical training to rais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and to prepare additional budget
      to support the first aid training education. Second, it needs to extend teaching hours for the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and the first aid area in the safety
      education standard.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long-term awareness about categories with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nd active guidance and publicity about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ontent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y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ontent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y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5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ll areas and sub-categorie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importance was perceived
      higher than performance. The first aid area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high importance
      so that priority support was required. Regarding the occupational safety area,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lower than other areas. It implies that long-term
      improvement was required.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the most.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infer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irst, it needs to strengthen practical training to rais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and to prepare additional budget
      to support the first aid training education. Second, it needs to extend teaching hours for the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and the first aid area in the safety
      education standard.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long-term awareness about categories with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nd active guidance and publicity about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인식, "학교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8 (8): 43-64, 2015

      2 교육부, "학교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

      3 교육부, "학교안전교육 7대표준안 초등학교 1~2학년용" 창의발전소 2016

      4 한남주,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25-146, 2016

      5 한국아동청소년안전교육협회, "학교안전교육" 공동체 2016

      6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안전 추진대책"

      7 임 현,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안전생활 실천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김원배,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9 김태은, "특수학교 안전교육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 김신정, "초등학생을 위한 교사용 안전교육 지침서 개발"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145-154, 2009

      1 조인식, "학교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8 (8): 43-64, 2015

      2 교육부, "학교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

      3 교육부, "학교안전교육 7대표준안 초등학교 1~2학년용" 창의발전소 2016

      4 한남주,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25-146, 2016

      5 한국아동청소년안전교육협회, "학교안전교육" 공동체 2016

      6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안전 추진대책"

      7 임 현,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안전생활 실천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김원배,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9 김태은, "특수학교 안전교육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 김신정, "초등학생을 위한 교사용 안전교육 지침서 개발"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145-154, 2009

      11 공배완,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한국치안행정학회 6 (6): 279-298, 2009

      12 이지혜, "초등학교 안전교육 현황과 사회과교육에서의 안전교육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7 (27): 259-278, 2016

      13 석혜민,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태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5 (15): 151-160, 2013

      14 이수정, "초등학교 아동의 사고예방 행동과 사고발생의 관련성 연구" 14 (14): 147-160, 1997

      15 박인숙, "초등학교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류영주, "초등학교 교사의 저학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55-573, 2015

      17 유병열, "초등 안전교육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7 (27): 457-478, 2016

      18 이창희, "초·중·고등학교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19 이지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한 학교급별 성교육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9-75, 2014

      20 강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에 대한 연구 : IPA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61-671, 2017

      21 권윤지,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안전업무 담당자의 인식 분석: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8, 2017

      22 심창섭, "유·초등 안전교육 정책과 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중심으로-" 17 (17): 23-37, 2016

      23 교육부, "유·초·중·고 발달단계별 ‘학교 안전교육 7대영역 표준안’ 발표"

      24 신성철, "우리나라 초등학교 안전 교육에 관한 실태 및 대책" 21 : 77-104, 2014

      25 이다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 한국소비자원 2017

      26 교육부, "양식분야 산업안전 매뉴얼"

      27 이재민, "안전교육을 통한 국민안전의식제고 방안: 초·중·고등학교 안전교육을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 (2011): 619-637, 2011

      28 이근화,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초등 교과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9 최인범, "안전교육" 정민사 1982

      30 김혜금, "아동 안전교육" 북카페 2009

      31 이상우, "신 안전교육" 세종출판사 1994

      32 김창현, "생활안전교육 및 지도법" 동문사 2014

      33 박인현, "사회과에서 새로운 안전교육 방향의 탐색" 14 : 49-92, 1999

      34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인구동향과 2016

      35 김용익,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36 정성수, "교육청 정책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도 및 요구도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0 (10): 53-73, 2012

      37 교육부, "교육분야 안전 종합 대책" 교육부 2014

      38 이일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관련 활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617-638, 2017

      39 Florio, A. E., "The Scope of Safety Education" 44 (44): 166-170, 1956

      40 Worick, W. W., "Safety Education: Man, His Machines and His Environment" Prentice-Hall 1975

      41 정민주, "IPA 기법을 활용한 학교급식 영양사 및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근무환경과 작업환경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2 Strasser, M. K., "Fundamentals of Safety Education" Macmillan 19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