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비교연구의 방법 중에서 평행비교의 연구방법으로 한중 양국의 현대문학 초기에 실질적으로 주고받은 영향이 전혀 없는 두 작가의 작품을 선택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를 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1002
2022
Korean
comparative study ; woman ; the tragic life ; universality of literature ; tragic elements ; 평행비교연구 ; 여성 ; 비극적 삶 ; 문학의 보편성 ; 비극적 요소
KCI등재
학술저널
227-252(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비교연구의 방법 중에서 평행비교의 연구방법으로 한중 양국의 현대문학 초기에 실질적으로 주고받은 영향이 전혀 없는 두 작가의 작품을 선택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를 비교...
본고는 비교연구의 방법 중에서 평행비교의 연구방법으로 한중 양국의 현대문학 초기에 실질적으로 주고받은 영향이 전혀 없는 두 작가의 작품을 선택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라오서(老舍)의 단편소설 『月牙兒』와 현진건의 단편소설 『불』은 두 작품 모두 어린 여성이 주인공으로 여성으로서 자신이 처한 가정과 사회에서 여성이란 낮은 위치로 인해서 결국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을 그린 작품이다. 필자는 평행비교연구의 방법을 통해서 비극적인 요소들이 당시의 여성들의 삶을 어떻게 처절하게 망가트리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공통된 모티브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라오서와 현진건은 각각 작품 속에서 도시 하층민 태생의 ‘我(나)’와 농촌 빈농 출신의 여성인 ‘순이’를 형상화하여 전통적인 가부장적인 남성중심 사회와 봉건사회에서 연약한 여성이 결국 비극적인 삶을 겪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균 ; 유재성, "老舍의 『月牙兒』과 토마스 하디의 『더버빌가의 테스』에 관한 비교연구 - 비극적인 삶의 요인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0) : 289-326, 2010
2 박준석, "老舍『月牙兒』小考" 고려대학교 중국어문연구회 2 : 1989
3 진성정, "현진건의 「불」과 영화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의 여성인물 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37 : 2013
4 최원식, "현진건(玄鎭健)연구" 서울대학교 현대문학연구회 13 : 1974
5 김열규, "현진건(玄鎭健)연구" 새문사 1981
6 현길언, "현진건(玄鎭健)소설연구" 한양대학교 1985
7 최선희,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불의 상징적 의미-192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3 : 1989
8 윤홍로, "한국문학의 해석학적 연구" 일지사 1976
9 현진건, "한국문학대전집 ․ 현진건" 태극출판사 1976
10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2
1 김명균 ; 유재성, "老舍의 『月牙兒』과 토마스 하디의 『더버빌가의 테스』에 관한 비교연구 - 비극적인 삶의 요인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0) : 289-326, 2010
2 박준석, "老舍『月牙兒』小考" 고려대학교 중국어문연구회 2 : 1989
3 진성정, "현진건의 「불」과 영화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의 여성인물 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37 : 2013
4 최원식, "현진건(玄鎭健)연구" 서울대학교 현대문학연구회 13 : 1974
5 김열규, "현진건(玄鎭健)연구" 새문사 1981
6 현길언, "현진건(玄鎭健)소설연구" 한양대학교 1985
7 최선희,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불의 상징적 의미-192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3 : 1989
8 윤홍로, "한국문학의 해석학적 연구" 일지사 1976
9 현진건, "한국문학대전집 ․ 현진건" 태극출판사 1976
10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2
11 현진건, "이러쿵 저러쿵" (44) : 1924
12 주 후이링, "돈․여성․남성 : 『초승달(月牙兒)』의 주제 분석" 한양대학교 여성연구소 7 : 2008
13 김기주, "노사의 《월아아》과 《양광》 상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유재성, "노사(老舍)의 작품세계-단편소설을 중심으로-" 2005
15 이수웅, "노사(老舍)생애와 문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16 尹弘老, "韓國近代小說硏究" 一潮閣 1980
17 劉麗雅, "蔡萬植과 老舍의 小說에 나타난 女性의 悲劇的 삶에 관한 比較 硏究" 한국중국문화학회 1 (1): 1992
18 黄東濤, "老舍小識" 世界出版社 1979
19 樂黛云, "比較文學原理" 湖南文藝出版社 1988
20 현진건, "朝鮮魂과 現代精神의 把握" (65) : 1925
21 黃世瑜, "文學理論新編"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86
22 曾廣燦, "『老舍研究資料』(上)" 北京十月文藝出版社 1985
23 老 舍, "『老舍文集』(共16卷)" 人民文學出版社 1991
24 김의진, "『月牙兒』와 『陽光』에 나타난 여성의 비극" 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 : 2007
25 樊 駿, "『文學評論』5, 6集" 文學評論雜誌社 1996
Scientific Metaphysics in the Writings of Hu Shih: strengths and limitations
池莉 소설의 제재로 나타난 역사적 실재의 의미 - 『你是一條河』와『預謀殺人』을 중심으로
基于霍夫斯泰德文化维度理论分析中国网络流行语“内卷”“躺平”和“摆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