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2013년 7월 19일 23시 21분경 발 생한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소재의 00슈퍼 온장고 화재사고에 대해 제조사 방문과 질의를 통해 심각 한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한 화재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12526
2013
Korean
502.9
02
학술저널
46-60(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013년 7월 19일 23시 21분경 발 생한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소재의 00슈퍼 온장고 화재사고에 대해 제조사 방문과 질의를 통해 심각 한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한 화재 연...
본 논문에서는 2013년 7월 19일 23시 21분경 발 생한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소재의 00슈퍼 온장고 화재사고에 대해 제조사 방문과 질의를 통해 심각 한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한 화재 연구 과제 를 설정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 시하고자 한다. 화재는 전기 온장고 내부 하단에 설치된 기판에 서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어 증거 물을 수거 소방과학연구소 감정의뢰 하였고 그 결 과 PCB 기판 작동 릴레이에서 발화한 것으로 감정 이 되었으며, 직접적 원인으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접점의 국부적 발열 및 작동 피로열화 등으로 추정 됨에 따라 유사사례를 조사한 결과 동일한 방식으 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가 확인이 되었다. 그래서 과학적 화재 원인규명을 위한 가설설정과 자료(문헌)조사, 분야별 전문가 의견, 화재 재현실험 을 실시하여 ○○社 구형 전기 온장고 PCB 기판 발 화 가능성에 대한 접근을 다각적으로 심도 있게 실 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기 온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의 접점이 장기간 사용에 따라 간극이 극히 좁아지고 이에 따른 아크(arc) 2,500°C 이상의 고온이 릴레이 케이스의 절연체를 탄화 시키고 도전선로가 형성되 는 (건식)트래킹으로 인한 발화가능성 둘째 마이컴 부의 히팅 신호에 따라서 정류기 스위칭 신호 이상 으로 인해 돌입전류가 들어가 작동 릴레이 접점 부 하로 인해 발화 가능성 셋째 전기 온장고 내부 음료 누유가 PCB기판에 흘러 절연파괴로 인한 발화 가 능성 등에 대해 다각적으로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 출하였다. 그에 따른 개선사항으로 제조업체와 협의를 통해 유통 경로를 파악 구형 온장고 제품의 회수 조치 또 는 PCB 기판의 전면 무상교체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추진하여 전기제품의 안전한 사용과 더불어 과학적 화재원인 규명을 통한 화재 예방에 기여하 였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