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그나가(Dignaga)는 대상의 형상은 지식 내부에 있다는 경량부의 학설을 기반으로 식(識)의 자기인식(svasamvedana)설을 완성하였다. 중관 학파에 속하는 찬드라키르티(Candrakirti)는 『입중론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9971
2017
Korean
자기인식 ; 디그나가 ; 찬드라키르티 ; 상호의존성 ; svasamvedana ; Dignaga ; Candrakirti ; parasparapeksa ; laksana-laksya
KCI등재
학술저널
289-31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그나가(Dignaga)는 대상의 형상은 지식 내부에 있다는 경량부의 학설을 기반으로 식(識)의 자기인식(svasamvedana)설을 완성하였다. 중관 학파에 속하는 찬드라키르티(Candrakirti)는 『입중론주』(...
디그나가(Dignaga)는 대상의 형상은 지식 내부에 있다는 경량부의 학설을 기반으로 식(識)의 자기인식(svasamvedana)설을 완성하였다. 중관 학파에 속하는 찬드라키르티(Candrakirti)는 『입중론주』(Madhyamakavatarabhas『ya) 및 』프라산나파다『(Prasannapada) 등에서 이러한 디그나가의 자기인식설을 비판한다. 즉, 찬드라키르티에 따르면 행위(karana)와 행위의 대상(karman), 취자(取者, upadatr)와 취(取, upadana=취하여지는 대상)등은 상호의존(相依相對, parasparapeksa) 관계로 성립하는데, 식과 인식 대상 역시 여기에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자기인식설이 성립한다면 `특징`(laksana)과 `특징되어지는 것`(laksya)이 동일한 것이 되고, 이러한 논리는 자기 자신에 의해 그 자신이 대상으로 특징되어지는 것이 되므로 상호의존 관계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오류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찬드라키르티의 자기인식설 비판에는 자기인식설 자체에 대한 상세한 이론적 고찰은 보여지지 않는다. 찬드라키르티에게 자기인식설 비판은 상호의존 관계에 포함되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고, 자기인식설 비판을 통해 그는 오히려 상호의존성 이론을 강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찬드라키르티의 태도는 “ana” 접미사를 둘러싼 동일한 빠니니 문법 규정에 대한 디그나가와의 해석의 차이에서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상`(相, laksana)과 `특징되어지는 것`(laksya)의 관계를 통한 찬드라키르티의 자기인식설 비판이 상호의존 관계를 어떻게 확립시켜 가는지를 고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naga(480-540) completed the theory of Svasamvedana (Self-awareness) based on Sautantrika`s doctrine that knowledge of the shape of object is inward of cognition. Candrakirti(600-650), one of prominent middle Madhyamika scholar criticized Dignaga`s ...
Dignaga(480-540) completed the theory of Svasamvedana (Self-awareness) based on Sautantrika`s doctrine that knowledge of the shape of object is inward of cognition. Candrakirti(600-650), one of prominent middle Madhyamika scholar criticized Dignaga`s this theory in his text Madhyamakavatarabhasya and Prasannapada. In other words, according to Candrakirti, Action(karana) and a Object of action(karman), a Clinger(upadatr) and Clinging(upadana) and so on are established on only Interdependent relationship(parasparapeksa), cognition and the object of cognition are involved in that very relationship, too. So, if the theory of Svasamvedana is valid, Characteristic(laksana) and Characterization(laksya) could be the same, such a theory is an error because it is itself characterized by itself as an object. However, we couldn`t simply say that Candrakirti`s such criticism reveal a detailed theoretical view of Svasamvedana. It seems rather to Candrakirti that Self-awareness is only one example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 He thus uses Self-awareness as an example of reinforcing the rationale of Interdependence. That point of view is clear from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same Panini`s grammar rules between Dignaga and Candrakirti. In other words, For Dignaga, the meaning of "ana" suffix could provide a basis for the same of "laksana" and "laksya", so that the Self-awareness becomes possible. On the other hand, Candrakirti said that such understanding should be excluded because those theory would also fall into the error of identity. In addition to this, Candrakirti said that "laksana" and "laksya" should be seen as an example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 Candrakirti`s this criticism of so-called Errors of identity seems to be inherited in the critique of the Pudgala theory in the Tattvasamgraha(-Panjika) of post Madhyamika school. Considering these points, Candrakirti`s self-awareness critique is based o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laksana" and "laksya" .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self - awareness focusing on how Candrakirti understands and describes the interdependence of "laksana" and "laksya"
유식 삼성설의 관점에서 본 F. H. 브래들리의 실재 개념
인식의 `등불 비유`에 관한 해석 논쟁 __실재의 내속성과 변충의 동일성 비교를 중심으로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