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지역경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실태 조사 = The development of Korean Local Police officers’ Job stress measurement instrument and survey of their Job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job stress scale for local police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of local pol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the local police job stress instrument composed of 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job stress scale for local police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of local pol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the local police job stress instrument composed of 5 factors, which consist of 17 items in all, and it was judged to be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Five factors were named as organizational culture, education and training, on - the - spot measures, working environment, and complaint handl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job stress survey of the local police, the overall job stress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five factors, the level of job stress for civil complaint handling fact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n-the-spot measures factor. Third, job stress of male police was higher than female police. Fourth, job stress was higher in police with older age than young police. Fourth, job stress was higher in police with older age than young police. Fifth, the police with the guardian class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police of the other class. Sixth, police working for patrol or general affairs had higher job stress than police performing administrative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지역경찰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 데에 1차 목적이 있고, 지역경찰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는 데에 2차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요인 17개 ...

      본 연구는 한국 지역경찰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 데에 1차 목적이 있고, 지역경찰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는 데에 2차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요인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역 경찰 직무스트레스를 개발하였으며 비교적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요인은 조직문화, 교육 및 훈련, 현장조치, 근무환경, 민원처리로 명명하였다. 둘째, 지역경찰의 직무스트레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다소 높은 편이었다. 5개 요인 중에서 민원처리 요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현장 출동 요인이었다. 셋째, 여성경찰보다 남성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넷째, 젊은 경찰보다 연령이 많은 경찰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다섯째, 경위 계급을 가진 경찰이 다른 계급의 경찰에 비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여섯째, 순찰 업무나 총괄 업무를 하는 경찰이 관리 업무를 하는 경찰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욱환, "한국지역경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실태조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9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지역경찰의조직 및 운영에 관한 규칙"

      4 경찰청, "지역경찰 운영지침" 2018

      5 김순양, "일선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유발요인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0 (40): 123-147, 2002

      6 김정원, "외근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7 최승미,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541-553, 2006

      8 심형인, "경찰직·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경찰학회 18 (18): 35-67, 2016

      9 신현기, "경찰조직관리론" 법문사 2003

      10 유재창,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방경찰청의 집회시위담당 경비경찰과 전투경찰순경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 김욱환, "한국지역경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실태조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9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지역경찰의조직 및 운영에 관한 규칙"

      4 경찰청, "지역경찰 운영지침" 2018

      5 김순양, "일선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유발요인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0 (40): 123-147, 2002

      6 김정원, "외근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7 최승미,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541-553, 2006

      8 심형인, "경찰직·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경찰학회 18 (18): 35-67, 2016

      9 신현기, "경찰조직관리론" 법문사 2003

      10 유재창,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방경찰청의 집회시위담당 경비경찰과 전투경찰순경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1 "경찰기관 상시근무 공무원의 근무시간 등에 관한규칙"

      12 김재운,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와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도조, "경찰관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사기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14 임창호, "경찰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경찰학회 18 (18): 173-204, 2016

      15 공강석, "경찰관 직무스트레스가 지구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성격 강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양 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5

      16 문유석,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41-60, 2011

      17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59-87, 2005

      18 김해란,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05-111, 2012

      19 나용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행태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애착 및 충성도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0 전대성,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22, 2015

      21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137-156, 2010

      22 이현숙,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23 윤철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건강의 관계 연구 -NIOSH의 통합모델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24 손영주, "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16 (16): 225-231, 2008

      25 김성수, "경찰공무원의 스포츠 활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 소진, 직업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26 조성호,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격특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경찰학회 17 (17): 185-212, 2015

      27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28 이상기,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인과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29 "경찰감찰규칙"

      30 조철옥, "경찰 행정학" 대영문화사 2000

      31 오정석, "경찰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적 사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32 Fleming, R, "Toward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stress" 46 (46): 939-949, 1984

      33 Beehr, T. A, "The current debate about the meaning of job stress" 8 (8): 5-18, 1987

      34 Stinchcomb, J. B, "Searching for stress in the wrong places: Combating chronic organizational stress in policing" 5 (5): 259-277, 2004

      35 Beehr, T. A,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view" 31 : 669-670, 1978

      36 Schuler, R. S,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25 : 184-215, 1980

      37 Blau, 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strain" 27 : 279-302,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3-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2 1.08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