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상담의 관점과 실천의 가치 - SPECT모델을 중심으로 - = The values and perspectives of social work counseling - based on SPECT mode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8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SPECT모델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상담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PECT모델은 사회복지상담이 견지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관성 (Subjectivity), 촉진관계성(Precipitate), 절충성(Eclectic), 맥락성(Context), 가변성(Treatable)으로 구체화된다. 이를 요약하면 주관성이란 모든 개인은 고유하며 독특하다고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인간존중, 개별화, 공감, 의도적 감정표현, 수용, 진실성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가 포함된다. 촉진관 계성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유익한 괸계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탄력성, 동기유발, 의도적 관계, 변화가능성, 잠재력의 가치를 포함한다. 절충성은 개입의 효과성이 검증된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이론과 모델의 절충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증거기반, 효과성과 효율성, 과학적 토대, 전문성 강화의 가치가 포함된다. 맥락성은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체계나 상황 등의 맥락에서 발생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환경 속의 개인, 자원동원, 체계적 실천, 이중접근 등의 가치가 포함된다. 끝으로 가변성은 모든 클라이언트는 변화할수 있고 변화를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강점관점, 능력의 신뢰, 자기결정, 책임성, 인간존중의 가치가 포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SPECT모델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상담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PECT모델은 사회복지상담이 견지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SPECT모델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상담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PECT모델은 사회복지상담이 견지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관성 (Subjectivity), 촉진관계성(Precipitate), 절충성(Eclectic), 맥락성(Context), 가변성(Treatable)으로 구체화된다. 이를 요약하면 주관성이란 모든 개인은 고유하며 독특하다고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인간존중, 개별화, 공감, 의도적 감정표현, 수용, 진실성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가 포함된다. 촉진관 계성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유익한 괸계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탄력성, 동기유발, 의도적 관계, 변화가능성, 잠재력의 가치를 포함한다. 절충성은 개입의 효과성이 검증된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이론과 모델의 절충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증거기반, 효과성과 효율성, 과학적 토대, 전문성 강화의 가치가 포함된다. 맥락성은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체계나 상황 등의 맥락에서 발생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환경 속의 개인, 자원동원, 체계적 실천, 이중접근 등의 가치가 포함된다. 끝으로 가변성은 모든 클라이언트는 변화할수 있고 변화를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강점관점, 능력의 신뢰, 자기결정, 책임성, 인간존중의 가치가 포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clearly the nature of social work counseling by reviewing SPECT model.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d the SPECT model created by the author can present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counseling. The SPECT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 such as ‘Subjectivity’, ‘Promotion’, ‘Eclecticism’, ‘Context’, ‘Treatable’. ‘Subjectivity’ stresses that every individual must be understood as unique one, ‘Subjectivity’ includes the values of social work practice of respect, individualization, empathy, intentional expression, acceptance and genuine. ‘Promotive relationship’ stresses the client need to have beneficial experience to solve their problems, Promotive relationships include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resilience, incentives, intentional relationships, likelihood of change, and potential. ‘Eclecticism’ emphasizes that the theories of social work counsel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effectiveness proved, This includes the value of evidence-bas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ientific foundations and professional strength. ‘Contexture’ emphasizes that problems of client occur in the systemic base, contexture includes the value such as person in environment , resource mobilization, systemic approaches,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reatable includes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Finally, ‘Treatable’ emphasize that every clients can choose the potential for change at any situation, Treatable includes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clearly the nature of social work counseling by reviewing SPECT model.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d the SPECT model created by the author can pr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clearly the nature of social work counseling by reviewing SPECT model.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d the SPECT model created by the author can present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counseling. The SPECT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 such as ‘Subjectivity’, ‘Promotion’, ‘Eclecticism’, ‘Context’, ‘Treatable’. ‘Subjectivity’ stresses that every individual must be understood as unique one, ‘Subjectivity’ includes the values of social work practice of respect, individualization, empathy, intentional expression, acceptance and genuine. ‘Promotive relationship’ stresses the client need to have beneficial experience to solve their problems, Promotive relationships include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resilience, incentives, intentional relationships, likelihood of change, and potential. ‘Eclecticism’ emphasizes that the theories of social work counsel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effectiveness proved, This includes the value of evidence-bas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ientific foundations and professional strength. ‘Contexture’ emphasizes that problems of client occur in the systemic base, contexture includes the value such as person in environment , resource mobilization, systemic approaches,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reatable includes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Finally, ‘Treatable’ emphasize that every clients can choose the potential for change at any situation, Treatable includes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사회복지상담과 SPECT모델 Ⅳ. 결론
      •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사회복지상담과 SPECT모델 Ⅳ.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