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화 『성냥팔이 소녀』의 심층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 하고자 한다. 성냥팔이소녀는 일찍 어머니와 할머니를 잃었으며 가난하고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라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86857
2007
-
1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8-145(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화 『성냥팔이 소녀』의 심층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 하고자 한다. 성냥팔이소녀는 일찍 어머니와 할머니를 잃었으며 가난하고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라고 있...
본 연구는 동화 『성냥팔이 소녀』의 심층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 하고자 한다. 성냥팔이소녀는 일찍 어머니와 할머니를 잃었으며 가난하고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라고 있다. 어머니를 일찍 잃었다는 것은 소녀가 여성으로 성장할 근원으로서 모성성의 상실을 의미한다. 모성성의 상실은 곧 삶의 에너지 저하로 생명력의 약화를 가져온다. 그러나 소녀의 내면적 결핍요소는 무의식의 세계에서 발현한 환상을 통해서 차례대로 보완된다. 이는 소녀의 정신세계가 균형을 이루어가며 결핍된 인격적 요소들이 보완되어 통합된 인격을 갖춘 소녀로 재탄생이 되도록 한다. 즉 소녀를 개성화로 인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화『성냥팔이 소녀」는 주인공 소녀가 환상을 통해서 자율적으로 정신세계의 불균형을 회복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교육이 예전에는 건강한 사회인을 만드는데 있었다. 그러나 동화『성냥팔이 소녀」의 심층 분석을 통해서 교육은 집단속의 개인의 성장 보다는 유아 개개인의 내면세계의 억압요소를 이해하여 유아의 심리구조가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격적 요소가 통합을 이룰 때 건강한 개인의 성장이 이루어지며 집단과 개인이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s
존재의 바다에 던진 그물(실존과 영성, 그리고 시) -실존 치료적 관점에서-
남성의 환상에 나타난 여성상 - 잠언 7:6~23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