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장애인연금법제 도입방안 연구 = A Study on Legal System of the Pension for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6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olves consideration of the pension system for the disabled. Most of the Korean disabled people(especially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are hard up in poverty. Most of them aren't employed. Most of them don't be guaranteed income by the government. A few of them are granted the disablement allowance. They need to have a minimum cost of living. The national pension doesn't guarantee them. They want the pension for the disabled without contribution. This pension has to go into effect in Korea. The legal system of the pension for the disabled has to be enacted. This study insist on enforcement of the pension through the theoretical explain.
      번역하기

      This study involves consideration of the pension system for the disabled. Most of the Korean disabled people(especially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are hard up in poverty. Most of them aren't employed. Most of them don't be guaranteed income by the ...

      This study involves consideration of the pension system for the disabled. Most of the Korean disabled people(especially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are hard up in poverty. Most of them aren't employed. Most of them don't be guaranteed income by the government. A few of them are granted the disablement allowance. They need to have a minimum cost of living. The national pension doesn't guarantee them. They want the pension for the disabled without contribution. This pension has to go into effect in Korea. The legal system of the pension for the disabled has to be enacted. This study insist on enforcement of the pension through the theoretical expl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기여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 논의는 2002년부터 중증장애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최근 이명박 정부의 장애인정책5개년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어 장애인계의 우선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때에 우리나라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의 현주소를 돌아보고,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 제도를 아울러 살펴보면서 그간 논의되어왔던 장애인연금법제 도입방안에 대한 분석과 비교를 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연금제도 도입에 방향과 시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무기여장애인연금제의 도입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하나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기초노령연금도 실시되고 있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정책으로서, 중증장애인들의 절박한 생존권보장을 외면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2002년 대선 때부터 시작하여 지난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서도 이미 공약사항으로 되어왔다. 따라서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은 장애인 소득보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우선적인 현안과제이며, 현행 장애수당 제도도 살려나가면서 보완적으로 장애인연금제도를 장애라는 특성으로 인한 소득상실에 따른 소득보전급여로서 도입한다면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무기여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 논의는 2002년부터 중증장애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최근 이명박 정부의 장애인정책5개년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어 장애인계의 우...

      무기여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 논의는 2002년부터 중증장애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최근 이명박 정부의 장애인정책5개년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어 장애인계의 우선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때에 우리나라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의 현주소를 돌아보고,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 제도를 아울러 살펴보면서 그간 논의되어왔던 장애인연금법제 도입방안에 대한 분석과 비교를 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연금제도 도입에 방향과 시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무기여장애인연금제의 도입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하나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기초노령연금도 실시되고 있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정책으로서, 중증장애인들의 절박한 생존권보장을 외면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2002년 대선 때부터 시작하여 지난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서도 이미 공약사항으로 되어왔다. 따라서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은 장애인 소득보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우선적인 현안과제이며, 현행 장애수당 제도도 살려나가면서 보완적으로 장애인연금제도를 장애라는 특성으로 인한 소득상실에 따른 소득보전급여로서 도입한다면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2003

      2 "한겨레신문, 2008. 8. 22.자 기사"

      3 김용하, "파라다임적 연금개혁 방안" 2004

      4 우주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의 전망과 과제"

      5 윤상용, "주요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름) : 2008

      6 정화원, "정화원의원 대표 발의 중증장애인기초연금법안"

      7 장향숙, "장향숙의원 대표 발의 장애인소득보장법안"

      8 이선우, "장애인의 빈곤과 장애연금" 대구광역시장애인재활협회 19 : 2006

      9 장애인연금법제정공동투쟁단, "장애인연금법률안 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0 우주형, "장애인 연금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2007

      1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2003

      2 "한겨레신문, 2008. 8. 22.자 기사"

      3 김용하, "파라다임적 연금개혁 방안" 2004

      4 우주형, "중증장애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의 전망과 과제"

      5 윤상용, "주요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름) : 2008

      6 정화원, "정화원의원 대표 발의 중증장애인기초연금법안"

      7 장향숙, "장향숙의원 대표 발의 장애인소득보장법안"

      8 이선우, "장애인의 빈곤과 장애연금" 대구광역시장애인재활협회 19 : 2006

      9 장애인연금법제정공동투쟁단, "장애인연금법률안 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0 우주형, "장애인 연금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2007

      11 변용찬, "장애인 연금제도 도입방안 연구"

      12 이두환, "장애인 소득보장체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7

      13 윤상용, "장애인 소득보장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4 이완우, "우리나라 장애인 연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여름) : 2004

      15 이달엽, "우리나라 사회보장 장애인 연금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6 (6): 1999

      16 이인재, "사회보장론" 나남출판 1999

      17 노병일, "사회보장론" 대학출판사 1999

      18 정일교, "무기여장애연금 도입의 필요성" 한국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2001

      19 석재은, "국민연금의 정책적 선택의 특성과 발전과제 in: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20 "국민연금"

      21 오혜경, "각국의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 1997

      22 Holzmann,R, "The World Bank Approach to Pension Reform" 53 (53): 11-34, 2000

      23 OECD, "Reforming Public Pensions"

      24 Beattie, Roger, "Pension systems and prospects in Asia and the Pacific" 51 (51): 63-88, 1998

      25 OECD, "Pension at a Glance"

      26 Disney, R, "OECD Public Pension Programmes in Crisis: An Evaluation of the Reform Options" World Bank

      27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장애인복지사업 안내"

      28 OECD, "2006. 2007. Sickness, Disability and Work: Breaking the Barriers"

      2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