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1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α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번역하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α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our previous study, hog millet (HM, Panicum miliaceum L.)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among nine cereal types in 3T3-L1 cell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og millet water extract on hepatic steatosis and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 fat diet was investigated. Mice were fed a normal-fat diet (ND), high-fat diet (HFD) or HFD containing 1% or 2% (w/w) HM for 7 weeks.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onitored during the study period. Insulin resistance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fasting lipid profile,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determined, and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GTT) were performed at the study"s e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nd 2% HM diets effectively decreased liver weights, blood TG and T-cholesterol levels (p<0.05),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p<0.05) compared to HFD-induced steatotsis mice. Hepatic lipogenic-related gene (PPARα, L-FABP, and SCD1) expressions decreased, whereas lipolysis-related gene (CPT1) expression increased in animals fed the 2% PME diet (p<0.05). In addition, mice fed 1% or 2% HM diet had markedly decreased IGTT and HOMA-IR, compared to the those of the HFD-induced hepatic steatosis control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M inhibit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by regulating fatty acid metabolism, and suggested that HM is useful in the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high fat-induced hepatic steatosis and hepatic steatosis-related disorders including hyperlipidemia, glucose sensi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번역하기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our previous study, hog millet (HM, Panicum miliaceum L.)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l...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our previous study, hog millet (HM, Panicum miliaceum L.)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among nine cereal types in 3T3-L1 cell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og millet water extract on hepatic steatosis and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 fat diet was investigated. Mice were fed a normal-fat diet (ND), high-fat diet (HFD) or HFD containing 1% or 2% (w/w) HM for 7 weeks.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onitored during the study period. Insulin resistance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fasting lipid profile,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determined, and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GTT) were performed at the study"s e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nd 2% HM diets effectively decreased liver weights, blood TG and T-cholesterol levels (p<0.05),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p<0.05) compared to HFD-induced steatotsis mice. Hepatic lipogenic-related gene (PPARα, L-FABP, and SCD1) expressions decreased, whereas lipolysis-related gene (CPT1) expression increased in animals fed the 2% PME diet (p<0.05). In addition, mice fed 1% or 2% HM diet had markedly decreased IGTT and HOMA-IR, compared to the those of the HFD-induced hepatic steatosis control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M inhibit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by regulating fatty acid metabolism, and suggested that HM is useful in the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high fat-induced hepatic steatosis and hepatic steatosis-related disorders including hyperlipidemia, glucose sensi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충실, "한국산 메밀, 수수, 기장, 율무의 항산화효과 및 돌연변이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21-929, 2004

      2 von Eynatten M, "Urinary L-FABP and anaemia: distinct roles of urinary markers in type 2 diabetes" 40 : 95-102, 2010

      3 Nakamuta M,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fatty acid metabolism between obese and non-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22 : 663-667, 2008

      4 McGarry JD, "The mitochondria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system. From concept to molecular analysis" 15 : 1-14, 1997

      5 Ma T, "Sucrose counterac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fish oil in adipose tissue and increases obesity development in mice" 6 : e21647-, 2011

      6 Asselah T, "Steatosis in chronic hepatitis C: why does it really matter?" 55 : 123-130, 2006

      7 Mather KJ, "Repeatability characteristics of simple indices of insulin resistance: implications for research applications" 86 : 5457-5464, 2001

      8 Ntambi JM, "Regulation of stearoyl-CoA desaturase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40 : 1549-1558, 1999

      9 박승하,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BLACKWELL PUBLISHING 21 : 138-143, 200601

      10 Yasutake K, "Nutritional investigation of non- 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significance of dietary cholesterol" 44 : 471-477, 2009

      1 곽충실, "한국산 메밀, 수수, 기장, 율무의 항산화효과 및 돌연변이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21-929, 2004

      2 von Eynatten M, "Urinary L-FABP and anaemia: distinct roles of urinary markers in type 2 diabetes" 40 : 95-102, 2010

      3 Nakamuta M,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fatty acid metabolism between obese and non-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22 : 663-667, 2008

      4 McGarry JD, "The mitochondria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system. From concept to molecular analysis" 15 : 1-14, 1997

      5 Ma T, "Sucrose counterac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fish oil in adipose tissue and increases obesity development in mice" 6 : e21647-, 2011

      6 Asselah T, "Steatosis in chronic hepatitis C: why does it really matter?" 55 : 123-130, 2006

      7 Mather KJ, "Repeatability characteristics of simple indices of insulin resistance: implications for research applications" 86 : 5457-5464, 2001

      8 Ntambi JM, "Regulation of stearoyl-CoA desaturase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40 : 1549-1558, 1999

      9 박승하,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BLACKWELL PUBLISHING 21 : 138-143, 200601

      10 Yasutake K, "Nutritional investigation of non- 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significance of dietary cholesterol" 44 : 471-477, 2009

      11 Brunt EM,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proposal for grading and staging the histological lesions" 94 : 2467-2474, 1999

      12 Struben VM,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cryptogenic cirrhosis within kindreds" 108 : 9-13, 2000

      13 Marchesini G, "Nonalcoholic fatty liver, steatohepatitis, and the metabolic syndrome" 37 : 917-923, 2003

      14 Marchesini 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50 : 1844-1850, 2001

      15 Smith BW,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48 : 97-113, 2011

      16 Jun DW,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17 : S332-S336, 2011

      17 박미영,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한국영양학회 5 (5): 511-519, 2011

      18 Satapathy SK, "Galantamine alleviates inflammation and other obesity-associated complications in high-fat diet-fed mice" 17 : 599-606, 2011

      19 Seppälä-Lindroos A,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is associated with defects in insulin suppression of glucose production and serum free fatty acids independent of obesity in normal men" 87 : 3023-3028, 2002

      20 Seppälä-Lindroos A,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is associated with defects in insulin suppression of glucose production and serum free fatty acids independent of obesity in normal men" 87 : 3023-3028, 2002

      21 Lapsys NM,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correlate wit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in human skeletal muscle" 85 : 4293-4297, 2000

      22 박미영,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한국영양학회 5 (5): 192-197, 2011

      23 Macotela Y, "Dietary leucine--an environmental modifier of insulin resistance acting on multiple levels of metabolism" 6 : e21187-, 2011

      24 Livak KJ,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25 : 402-408, 2001

      25 Reeves PG,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123 : 1939-1951,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