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 고도경제성장기의 울트라맨 표상-방사능 괴물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87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본 연구는 특수촬영물 드라마 울트라맨 시리즈 속에 등장하는 방사능 괴물을 중심으로, 서브컬처 영역의 방사능 표상과 문학 영역의 방사능 표상을 둘러싼 상호교섭성에 대해서 분석을 ...

      1. 본 연구는 특수촬영물 드라마 울트라맨 시리즈 속에 등장하는 방사능 괴물을 중심으로, 서브컬처 영역의 방사능 표상과 문학 영역의 방사능 표상을 둘러싼 상호교섭성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울트라맨의 방영은 1960년대 중반에 시작되는 ‘원폭문학’의 영역화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주의할 점은 동 영역화는 피폭자의 체험과 시점을 중심으로 고정화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폭자의 체험과 시점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과학적 측면은 배제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F적 요소와 실사적 요소를 동시에 가지는 특수촬영물 드라마 울트라맨의 분석을 통해서, 현재의 방사능에 대한 과학적 인식과 담론이 서브컬처 영역과 문학 영역에서는 전혀 다르게 형성 및 변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 울트라맨 속에 등장하는 방사능 괴물은 단순히 가해자로만 등장하지 않고, 때로는 지구인(=일본인)의 탓으로 피폭당한 피해자로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설정을 타자 표상과 자기 표상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제1탄 『울트라맨』의 경우에는 제4화, 제5화, 제9화가 방사능 괴물을 피해자로 그리고 있는 반면, 제18화에서는 지구를 정복하려는 침략자, 즉 가해자로서의 방사능 괴물이 등장한다. 하지만, 제18화의 시나리오 작업에 오키나와 출신 긴조 데츠오가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방영 당시 오키나와는 미국이 점령), 지구 정복을 목적으로 침입해 오는 외계인(자라브 성인)은 단순 침략자라기보다는 절대적인 유대관계 속에서 지구(=일본)를 돕는 울트라맨(=미국)의 ‘선의’ 그 자체를 문제화(일미의 유착관계를 내파)하려고 했던 작품으로 재해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 성과를 통해서 본토 출신 작가와 오키나와 출신 작가에 의한 자기 표상과 타자 표상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결국 지금까지 원폭과 관련해서 피해자로 인식해 왔던 전후 일본인의 사고를 탈국가적, 탈지역적인 관계성 속에서 재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3. 또한 초기 울트라맨 시리즈를 메타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전후 일미관계 및 냉전체제를 기본 구조로 이야기가 전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울트라맨 속에 등장하는 방사능 괴물은 단순히 가해자로만 등장하지 않고, 때로는 지구인(=일본인)의 탓으로 피폭당한 피해자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적 변화는 일본 내부의 또 다른 원폭 피해자, 즉 재일조선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사유의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울트라맨 방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Mainly with a radioactive monster appearing on Ultraman that is a special filmed drama serie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about interactional negotiation surrounding radioactive symbol of sub-culture area and cultural area. As a result, it found o...

      1. Mainly with a radioactive monster appearing on Ultraman that is a special filmed drama serie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about interactional negotiation surrounding radioactive symbol of sub-culture area and cultural area. As a result, it found out that broadcasting Ultraman has same way with segmentation of 'atomic bomb literature' that was begun in middle of 1960's, noted caution is that since zonation is fixed mainly with experience of victim and the time, it is true that scientific aspect that is hard to sense with experience of victim and the time was excluded as a result. Thus, it found out the truth that in this study, through analysis of special filmed drama named Ultraman that has SF factor and acual factor at the same time, scientific recognition and discussion about current radioactivity was formed and transformed differently at subculture area and literature area.

      2. The radioactive monster appearing in Ultraman was not appearing simply as an attacker, but sometimes it is described as a victim caused by earthian. As it examines this setting in viewpoint of representation of the other and self-representation, in case of the first series 『Ultraman』, while the fourth, fifth, and ninth episode describe the radioactive monster as a victim, another radioactive monst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