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정책 수립 : 정책수혜자와 정책수립자 통합관점 = Establishment of Overseas Expansion Support Policy for Green/Climate Technology SMEs: Integrated Viewpoints of Policy Makers and Benefici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3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een/climate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as a growth engine that can boost the global economy via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Recently, SMEs in Korea have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actor in the globalization of green/climate technologi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urvey and few studie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pport for the overseas expansion of SMEs in the green/climate technology fiel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pport a policy for the establishment of SMEs' green/climate technolog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xpert opinions on SME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support polic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hen according to the types, satisfaction factors and obstacle factors for overseas expans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In the results, the SMEs overall showed low levels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and were found to be struggling due to all obstructive factor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overseas expansion was found to be the policy related to funding support.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dvertisement, and support strategies of support policies, and in particular, appropriate budget allocation should be made availabl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번역하기

      Green/climate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as a growth engine that can boost the global economy via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Recently, SMEs in Korea have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actor in the globalization of green/climate technologie...

      Green/climate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as a growth engine that can boost the global economy via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Recently, SMEs in Korea have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actor in the globalization of green/climate technologi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urvey and few studie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pport for the overseas expansion of SMEs in the green/climate technology fiel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pport a policy for the establishment of SMEs' green/climate technolog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xpert opinions on SME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support polic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hen according to the types, satisfaction factors and obstacle factors for overseas expans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In the results, the SMEs overall showed low levels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and were found to be struggling due to all obstructive factor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overseas expansion was found to be the policy related to funding support.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dvertisement, and support strategies of support policies, and in particular, appropriate budget allocation should be made availabl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녹색/기후기술은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통해 세계 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는 동력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 중소기업들은 향후 녹색/기후기술 글로벌화의 중요한 주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 현황조사는 수행된 바가 없고, 만족도에 기반한 정책 수립과 관련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진출 지원정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의견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 지원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지원 정책들을 4가지로 유형화하였고, 각 유형별 정책에 대한 만족요인 및 세부만족요인, 장애요인 및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들은 국내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모든 장애요인들에 대해서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해외진출을 위한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자금지원 형태의 지원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원 정책에 대한 접근성과 홍보, 지원전략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업 기술 특성에 따라 적절한 예산 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녹색/기후기술은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통해 세계 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는 동력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 중소기업들은 향후 녹색/기후기술 글로벌화의 중요한 주체로 주목을 ...

      녹색/기후기술은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통해 세계 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는 동력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 중소기업들은 향후 녹색/기후기술 글로벌화의 중요한 주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 현황조사는 수행된 바가 없고, 만족도에 기반한 정책 수립과 관련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진출 지원정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의견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 지원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지원 정책들을 4가지로 유형화하였고, 각 유형별 정책에 대한 만족요인 및 세부만족요인, 장애요인 및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녹색/기후기술 중소기업들은 국내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모든 장애요인들에 대해서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해외진출을 위한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자금지원 형태의 지원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원 정책에 대한 접근성과 홍보, 지원전략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업 기술 특성에 따라 적절한 예산 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석, "환경산업 해외시장 진출지원 정책과 향후 지원 방향" 한국대기환경학회 29 (29): 105-115, 2013

      2 김용태, "한국중소기업의 FTA 활용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45-64, 2013

      3 김정포,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시장지향성과 해외진출성과간 관계에 있어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3 (13): 481-500, 2009

      4 윤영길, "축구 경기력에서 심리요인의 기여도 산출을 위한 계층분석(AHP)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5 (15): 129-138, 2004

      5 이성봉, "중소기업 해외시장진출 지원: 필요와 지원 간 차이분석" 한국국제경영학회 18 (18): 1-26, 2007

      6 유세준,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193-211, 2010

      7 위강순, "중국 환경 시장 진출 지원 정책에 대한 연구: 三廢분야의 국내 중소기업 진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4 (24): 183-205, 2016

      8 강효원, "전자무역 해외마케팅 교육과 연구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5 (15): 403-422, 2013

      9 한상설, "기업가 정신, 해외네트워크, 수출지원 정책이 신속한 글로벌화·에 미치는 영향-제품 표준화 조절변수로 -" 한국무역학회 38 (38): 385-407, 2013

      10 신완선, "공기업 녹색성장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6 (36): 25-33, 2013

      1 김홍석, "환경산업 해외시장 진출지원 정책과 향후 지원 방향" 한국대기환경학회 29 (29): 105-115, 2013

      2 김용태, "한국중소기업의 FTA 활용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45-64, 2013

      3 김정포,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시장지향성과 해외진출성과간 관계에 있어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3 (13): 481-500, 2009

      4 윤영길, "축구 경기력에서 심리요인의 기여도 산출을 위한 계층분석(AHP)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5 (15): 129-138, 2004

      5 이성봉, "중소기업 해외시장진출 지원: 필요와 지원 간 차이분석" 한국국제경영학회 18 (18): 1-26, 2007

      6 유세준,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193-211, 2010

      7 위강순, "중국 환경 시장 진출 지원 정책에 대한 연구: 三廢분야의 국내 중소기업 진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4 (24): 183-205, 2016

      8 강효원, "전자무역 해외마케팅 교육과 연구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5 (15): 403-422, 2013

      9 한상설, "기업가 정신, 해외네트워크, 수출지원 정책이 신속한 글로벌화·에 미치는 영향-제품 표준화 조절변수로 -" 한국무역학회 38 (38): 385-407, 2013

      10 신완선, "공기업 녹색성장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6 (36): 25-33, 2013

      11 H. Bain, "Using the analysis of options technique to analyze a community conflict" 15 (15): 133-144, 1971

      12 H. Y. Lee, "Trends and implications of policy finance support in japan related to small and medium business's overseas progress" Korea Development Bank 3-36,

      13 G. C. Kim, "The plan for extend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3 (13): 141-163, 2000

      14 Y. K. Jung, "The influence of private banking customers’investment propensities on purchase behavior" Myungji University

      15 T.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 hill 1-287, 1980

      16 Y. K. Lee, "Technical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17 Green Technology Center, "Status of domestic support projects to foster overseas projects" Green Technology Center 1-10,

      18 허용석,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ternal Technology R&D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Green Management Performanc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87-194, 2017

      19 OECD, "OECD Innovation Strategy 2015-An Agenda for Policy Action" OECD 1-268, 2015

      20 Y. Wind,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26 (26): 641-658, 1980

      21 이주환, "KS인증시스템 표준화가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311-332, 2016

      22 J. H. Lee,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07-11,

      23 K. T. Cho, "Hierarchical analytical decision making" Dong Hyun Publishing 170-171, 2003

      24 B. K. You, "Economic review for increasing potential growth rate by 2% p: The key to shared growth lies in German small businesses-Five competencies of Germa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1-20, 2011

      25 J. H. Woo, "Development of software for multiple AHP evaluation" 144-144, 2014

      26 Y. S. Park, "Decision making by AHP" Kyowoo 1-288, 2009

      27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Basic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28 S. B. Seo, "An analysi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expor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exploring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xports" 12 (12): 739-761, 2000

      29 J. Lee, "An analysis of chinese food market and food industry response of korea"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1-265,

      30 심용호, "AHP와 ANP 방법론을 이용한 그린 ICT 정책의 전략적 우선순위 도출 방안"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2 (12): 85-98, 2011

      31 김지인, "AHP를 이용한 섬관광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301-318, 2015

      32 Green Technology Center, "A study on the strategy of green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based on analysis of possible environment and disability factors" Green Technology Center 1-273,

      33 B. R. Choi,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SMEs' FDI promotion" 32 : 93-113, 2001

      34 S. R. Kim,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export promising commodities and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olicy in the area of Health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145,

      35 H. J. Park, "A study on the redefi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upport agency for the overseas entr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133, 2010

      36 Y. P. Lee, "A study on performance management of entrusted-type quasi-governmental agenci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17

      37 Y. S. You, "A critical review of green growth policy and its improvement schem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163,

      38 B. W. Le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foreign trade agent's role to increase expor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7 (7): 151-163,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