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Inquiry of Teaching-Learning Model nurturing Student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68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help students' creativity emer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ncept of creativity different from Big-C.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it is found that the creativity researchers have payed attention to the externalization only. However,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reativity emerges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student creativity' is defined as "a new discovery or interpretation which is meaningful to a student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an application (or a production) to a new situation in the process of externaliza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above concept, a teaching-learning model nurturing student creativity is suggested as the following: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familiar materials in various forms and lets students to discover the theme or topic of the lesson by imagining and/or inferring. In the develop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lore a new knowledge and lets students to internalize the knowledge by metaphoric thinking and/or inferring. In the clos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a new situation(s) and lets students to solve a problem(s) and/or produce a new product(s) by applying the internalized knowledge. Also,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supporting factors in all of the three stages: 1) real life contexts, 2) interests and curiosity of students, 3) permissive atmosphere, 4)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tudents and student-student, 5) positive feedback.
      번역하기

      In order to help students' creativity emer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ncept of creativity different from Big-C.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it is found that the creativity researchers have payed attention to the externalization only...

      In order to help students' creativity emer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ncept of creativity different from Big-C.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it is found that the creativity researchers have payed attention to the externalization only. However,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reativity emerges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student creativity' is defined as "a new discovery or interpretation which is meaningful to a student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an application (or a production) to a new situation in the process of externaliza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above concept, a teaching-learning model nurturing student creativity is suggested as the following: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familiar materials in various forms and lets students to discover the theme or topic of the lesson by imagining and/or inferring. In the develop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lore a new knowledge and lets students to internalize the knowledge by metaphoric thinking and/or inferring. In the clos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a new situation(s) and lets students to solve a problem(s) and/or produce a new product(s) by applying the internalized knowledge. Also,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supporting factors in all of the three stages: 1) real life contexts, 2) interests and curiosity of students, 3) permissive atmosphere, 4)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tudents and student-student, 5) positive feedbac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해야 할 필요성 제시와 함께 ‘학생 창의성’을 “학습의 내면화와 외현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학생에게 의미 있고 새로운 발견 및 해석, 또는 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이나 산출물의 생성”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즉 창의성 이론에서 지금까지 외현화 과정에만 관심을 두어왔는데, 학교교육에서는 지식의 내면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학생 창의성’ 개념에 기반하여 일반 교실수업의 과정에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내면화와 외현화의 과정, 그리고 그 안에서 수업의 시작과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수업의 시작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제시하여 관찰하게 하면서, 상상과 추론 등의 사고를 촉진하는 발문을 통해 학습할 주제를 학생들이 발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개 과정에서는 새로운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은유와 추론, 관찰을 통한 비교와 분석을 유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내면화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무리 부분에서는 새로운 상황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식의 외현화와 함께 확산적 비판적, 종합적 사고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모든 단계에서 1) 실생활 맥락, 2)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3) 허용적 분위기, 4)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 5)긍정적인 피드백을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해야 할 필요성 제시와 함께 ‘학생 창의성’을 “학습의 내면화와 외현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학생에게 의...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해야 할 필요성 제시와 함께 ‘학생 창의성’을 “학습의 내면화와 외현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학생에게 의미 있고 새로운 발견 및 해석, 또는 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이나 산출물의 생성”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즉 창의성 이론에서 지금까지 외현화 과정에만 관심을 두어왔는데, 학교교육에서는 지식의 내면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학생 창의성’ 개념에 기반하여 일반 교실수업의 과정에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내면화와 외현화의 과정, 그리고 그 안에서 수업의 시작과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수업의 시작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제시하여 관찰하게 하면서, 상상과 추론 등의 사고를 촉진하는 발문을 통해 학습할 주제를 학생들이 발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개 과정에서는 새로운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은유와 추론, 관찰을 통한 비교와 분석을 유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내면화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무리 부분에서는 새로운 상황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식의 외현화와 함께 확산적 비판적, 종합적 사고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모든 단계에서 1) 실생활 맥락, 2)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3) 허용적 분위기, 4)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 5)긍정적인 피드백을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 창의·인성교육 기본방향"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조연순,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09-634, 2011

      4 조연순, "‘학생 창의성’의 개념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6, 2012

      5 Beghetto, R. A.,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creativity" 1 : 73-79, 2007

      6 Cho, Y., "The Emergence Of Student Creativity In Classroom Settings :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47 (47): 153-170, 2013

      7 Messerly, J. G., "Piaget's conception of evolution : Beyond Darwin and Lamarck. Lanham" Rowman & Littlefield 1996

      8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9 Sawyer, R. K., "Learning for Creativity, In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190, 2010

      10 Sawyer, R. K., "Learning for Creativity, In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190, 2010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 창의·인성교육 기본방향"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조연순,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09-634, 2011

      4 조연순, "‘학생 창의성’의 개념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6, 2012

      5 Beghetto, R. A.,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creativity" 1 : 73-79, 2007

      6 Cho, Y., "The Emergence Of Student Creativity In Classroom Settings :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47 (47): 153-170, 2013

      7 Messerly, J. G., "Piaget's conception of evolution : Beyond Darwin and Lamarck. Lanham" Rowman & Littlefield 1996

      8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9 Sawyer, R. K., "Learning for Creativity, In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190, 2010

      10 Sawyer, R. K., "Learning for Creativity, In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190, 2010

      11 Csikszentmihalyi, M.,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12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38

      13 Richards, R., "Everyday creativity, eminent creativity, and health : "Afterview"for CRJ special issues on creativity and health" 3 : 300-326, 1990

      14 Feldman, D. H., "Essays in creativity, In Essays in creativity" North River Press 1974

      15 Smith, J. K., "Educational creativity, In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0-264, 2010

      16 Vygotsky, L. S., "Development of thinking and formation of concepts in adolescence, In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Plenum Press 29-82, 1931

      17 Gruber, H. E., "Darwin on man: A psychological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18 Moran, S., "Creativity in the making: Vygotsky's contemporary contribution to the dialectic of development and creativity, In Creativiey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61-90, 2003

      19 Beghetto, R. A.,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7-463, 2010

      20 Runco, M. A., "Creativity and development : Recommendations" 72 : 87-90, 1996

      21 Lawrence, J. A., "Conceptual roots of internalization : From transmission to transformation" 36 : 150-167, 1993

      22 Piaget, J., "Comment on Beilin's paper, In Measurement and Piaget" McGraw-Hill 192-194, 1971

      23 Kaufman, J. C., "Beyond big and little :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13 (13): 1-1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