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정당본위투표성향과 영국의 계급투표성향의 약화와 궤를 같이하여, 특히 전통적인 투표행태이론이 1970년대의 투표행태변화를 설명하는데 실패한 이후 쟁점투표가 점점 더 관심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24747
1993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45-26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의 정당본위투표성향과 영국의 계급투표성향의 약화와 궤를 같이하여, 특히 전통적인 투표행태이론이 1970년대의 투표행태변화를 설명하는데 실패한 이후 쟁점투표가 점점 더 관심을 ...
미국의 정당본위투표성향과 영국의 계급투표성향의 약화와 궤를 같이하여, 특히 전통적인 투표행태이론이 1970년대의 투표행태변화를 설명하는데 실패한 이후 쟁점투표가 점점 더 관심을 끌게 되었다. 실제로 근래의 대중선거에서 대부분의 유권자들은 특정한 이슈에 대하여 후보자가 어떤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지 알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정력을 투입할 의욕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설령 어느 특정한 이슈가 유권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게 나타나지 않더라도, 각 개인들의 투표행태와 정당과의 유대감은 이슈에 대하여 그들이 지니고 있는 입장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영국의 대처수상은 포클랜드전쟁이슈를 선거 쟁점화하여 자당에 유리하게 여론을 조성하는데 적극 활용한 반면, 미국의 공화 민주 양당후보 모두 베트남전이슈를 되도록이면 회피하려 했으며 불가피하게 언급하는 경우에도 애매모호한 태도를 견지함으로써 유권자들의 투표의사결정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특히 흑인들의 경우 전쟁이슈보다도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신장과 관련된 민권법이나 경기회복과 같은 경제적 이슈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사회경제적 이슈에 근거하여 투표하였다. 영국 집권 보수당의 압승은 야당인 노동당의 내분과 제1당과 제2당에 유리하고 전국적으로 지지가 분산된 제3당에게는 매우 불리한 소선거구제도가 포클랜드사태에 상승작용하였는데, 오히려 전자의 영향이 포클랜드전쟁이슈보다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국에서는 지도자에 대한 국민적 지지의 증감이 자동적으로 총선에서 집권당의 득표의 증감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속전속결식 전쟁의 승리는 지지부진했던 베트남전과는 달리 영국민들에게 지신감과 신뢰감을 안겨 줌으로써 집권당에 대한 호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