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찰행정법학, 어떻게 할 것인가? 2019, 어느 경찰행정법학자의 개강사 = Polizeiverwaltungsrecht, Wie sollen wir eine Forschung mach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경찰행정법학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여러 이론에 대하여는 연일 많은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정작 경찰행정법을 처음으로 만나는 학생들이 경찰행정 법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의 문제, 즉 경찰행정법학의 방법론을 가르쳐주는 글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경찰행정법을 공부함에 있어 방향성을 잃고 헤매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학생들에게 경찰행정법의 올바른 공부방법을 제시하여 주기 위하여 쓴 것이다. 우리는 경찰행정법을 어떻게 공부하여야 하는가? 필자가 생각하는 공부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먼저 경찰행정법의 의의를 적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로부터 경찰행정 법의 범위와 경찰행정법의 기본원리가 분명하게 밝혀지기 때문이다. 둘째, 경찰행정법의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문헌(선행연구)의 효과적 활용이 요망된 다. 이 경우 우리나라 문헌뿐만 아니라, 독일과 일본에서의 논의를 알아볼 수 있는 독일과 일본의 문헌들까지 공부해 둘 필요가 있다. 셋째, 경찰행정법학의 이론적 체계의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바,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이른바 ‘4개의 기둥이론’을 제시한 바 있다. 동 이론은 경찰권발동의 근거, 요건, 대상 및 정도의 4가지 차원에서 요구되는 원칙이 모두 준수되었을 때 비로소 경찰활동이 적법한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경찰행정법학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여러 이론에 대하여는 연일 많은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정작 경찰행정법을 처음으로 만나는 학생들이 경찰행정 법을 ...

      오늘날 경찰행정법학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여러 이론에 대하여는 연일 많은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정작 경찰행정법을 처음으로 만나는 학생들이 경찰행정 법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의 문제, 즉 경찰행정법학의 방법론을 가르쳐주는 글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경찰행정법을 공부함에 있어 방향성을 잃고 헤매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학생들에게 경찰행정법의 올바른 공부방법을 제시하여 주기 위하여 쓴 것이다. 우리는 경찰행정법을 어떻게 공부하여야 하는가? 필자가 생각하는 공부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먼저 경찰행정법의 의의를 적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로부터 경찰행정 법의 범위와 경찰행정법의 기본원리가 분명하게 밝혀지기 때문이다. 둘째, 경찰행정법의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문헌(선행연구)의 효과적 활용이 요망된 다. 이 경우 우리나라 문헌뿐만 아니라, 독일과 일본에서의 논의를 알아볼 수 있는 독일과 일본의 문헌들까지 공부해 둘 필요가 있다. 셋째, 경찰행정법학의 이론적 체계의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바,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이른바 ‘4개의 기둥이론’을 제시한 바 있다. 동 이론은 경찰권발동의 근거, 요건, 대상 및 정도의 4가지 차원에서 요구되는 원칙이 모두 준수되었을 때 비로소 경찰활동이 적법한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utzutage werden viele Aufsätze über dem Inhalt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geschrieben. Im Gegengatz dazu gibt es keine Literatur, die Methodelehre des Polizeiverwaltungsrecht lehrt. Deswegen irren viele Studenten die Orientierung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Dieser Aufsatz wird dazu geschrieben, um den Studenten richtige Lernenmethode vorzuzeigen. Wie sollen wir Polizeiverwaltungsrecht studieren? Erstens, Wenn man sich mit dem Verwaltungsrecht beschäftigen will, muß man den Begriff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korrekterweise verstehen, weil von dem Begriff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folgen Umfang und allgemeier Grundsatz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Zweitens, es ist nötig zum Verständnis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Literatur über das Polizeiverwaltungsrecht effektiv zu nutzen. Und zwar ist es erforderlich neben der koreanische Literatur deutsche und japanische Literatur zu verstehen. Schließlich, muß man ein Interesse an dem Aufbau des theoretisches Systems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haben. Diesen betreffend habe ich eine Einführung sog. “Theorie der Vier-Säulen” behauptet. Nach der “Theorie der Vier-Säulen”, wird polizeiliches Eingreifen erst als rechtsmäßig beurteilt, wenn alle Grundsätze über Ermächtigung, Voraussetzungen, Adressat und Ausmaß des polizeilichen Eingreifen befolgt werden.
      번역하기

      Heutzutage werden viele Aufsätze über dem Inhalt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geschrieben. Im Gegengatz dazu gibt es keine Literatur, die Methodelehre des Polizeiverwaltungsrecht lehrt. Deswegen irren viele Studenten die Orientierung des Pol...

      Heutzutage werden viele Aufsätze über dem Inhalt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geschrieben. Im Gegengatz dazu gibt es keine Literatur, die Methodelehre des Polizeiverwaltungsrecht lehrt. Deswegen irren viele Studenten die Orientierung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Dieser Aufsatz wird dazu geschrieben, um den Studenten richtige Lernenmethode vorzuzeigen. Wie sollen wir Polizeiverwaltungsrecht studieren? Erstens, Wenn man sich mit dem Verwaltungsrecht beschäftigen will, muß man den Begriff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korrekterweise verstehen, weil von dem Begriff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folgen Umfang und allgemeier Grundsatz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Zweitens, es ist nötig zum Verständnis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Literatur über das Polizeiverwaltungsrecht effektiv zu nutzen. Und zwar ist es erforderlich neben der koreanische Literatur deutsche und japanische Literatur zu verstehen. Schließlich, muß man ein Interesse an dem Aufbau des theoretisches Systems des Polizeiverwaltungsrechts haben. Diesen betreffend habe ich eine Einführung sog. “Theorie der Vier-Säulen” behauptet. Nach der “Theorie der Vier-Säulen”, wird polizeiliches Eingreifen erst als rechtsmäßig beurteilt, wenn alle Grundsätze über Ermächtigung, Voraussetzungen, Adressat und Ausmaß des polizeilichen Eingreifen befolgt werd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들어가며 . 논의의 전제 - 경찰행정법의 의의 1. 경찰행정법의 범위 2. 경찰행정법의 기본원리 . 경찰행정법학 , 어떻게 할 것인가? - 문헌의 활용 . 경찰행정법의 이론적 체계 . 맺으며
      • . 들어가며 . 논의의 전제 - 경찰행정법의 의의 1. 경찰행정법의 범위 2. 경찰행정법의 기본원리 . 경찰행정법학 , 어떻게 할 것인가? - 문헌의 활용 . 경찰행정법의 이론적 체계 . 맺으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