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김우진의 시의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김우진의 시의식은 ‘유교적 전통에 대한 거부와 순응의 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 ‘죽음의식과 그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0154
2018
Korean
김우진 ; 시의식 ; 유교적 전통 ; 새로운 세계 ; 어머니 ; 죽음의식 ; Kim Woo-jin ; poetic consciousness ; Confucian tradition ; new world ; mother ; awareness of death
KCI등재
학술저널
7-30(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김우진의 시의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김우진의 시의식은 ‘유교적 전통에 대한 거부와 순응의 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 ‘죽음의식과 그 역...
본고의 목적은 김우진의 시의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김우진의 시의식은 ‘유교적 전통에 대한 거부와 순응의 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 ‘죽음의식과 그 역설적 의미’ 등으로 전개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부장적인 부친의 엄격한 태도와 일본 유학시절 김우진이 심취했던 표현주의 영향에 의해, 그가 유교적 전통과 인습에 대한 강한 저항과 거부의 태도를 보인 것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나 전통과 인습에 대한 김우진의 태도를 단선적으로 저항과 거부의 태도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여러 작품과 일기 등에서 유교적 가정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김우진은 유교적 도리를 실천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했던 김우진은 특히 자신의 꿈의 원천이었던 어머니라는 매개체를 통해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는 시의식을 드러낸다. 5살 때 여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동경은 김우진을 더욱 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으로 이끄는 강렬한 기폭제가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부재한 어머니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할 수 없기에, 결국 김우진은 절망으로 치닫게 되며 이는 곧 죽음의식으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동인이 된다.
김우진 시에서 죽음이란 단순한 육체적인 생의 마감을 뜻한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죽음이란 곧 새로운 생의 시작이고 그 죽음을 통해 영원한 안식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역설적인 의미를 뜻한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김우진의 고고한 역설적 진리는 결국 그가 29세의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의식을 살펴보면, 김우진은 희곡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그의 삶과 문학은 시에서 보다 더 잘 표출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development on the Kim Woo-Jin’s poetic consciousness. The poetic consciousness of Kim Woo-Jin is unfolded into ‘disapproval and conformity to Confucian tradition’, ‘admiration and long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development on the Kim Woo-Jin’s poetic consciousness. The poetic consciousness of Kim Woo-Jin is unfolded into ‘disapproval and conformity to Confucian tradition’, ‘admiration and longing for a new world’, and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paradoxical meaning.’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he shows strong resistance and rejection to Confucian tradition and conventions due to his patriarchal father’s strict attitude and the influence of expressionism that Kim Woo-Jin engrossed during his study abroad in Japa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Kim’s attitude toward tradition and convention cannot be explained only by his attitude of resistance and rejection. Rather, Kim Woo-Jin, who was born as the eldest son in Confucian families shows an attitude to practice Confucian doctrine in his various works and diaries.
Kim Woo-Jin, who constantly conflicted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reveals his poetic consciousness of moving into the new world, especially through the medium of his mother who was the source of his dream. The longing and admiration for his mother, who died when he was five years old, becomes a powerful catalyst for Kim Woo-Jin for a new world even more. However, as Kim cannot reach the new world through her absent mother in real life, he eventually goes to despair, which is the decisive driver of the awareness of death.
In Kim’s poem, death does not mean the end of a simple physical life. In his poem, death means the paradoxical meaning that it i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and by its death it can obtain eternal rest and salvation. Kim Woo-Jin’s paradoxical truth about death eventually served as a factor that led him to end his own life at the age of 29.
Examining his poetic consciousness, Kim Woo-jin is widely known as a playwright, but his life and literature are better expressed in poet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영신, "金祐鎭 희곡 연구-표현주의 희곡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210-, 1996
2 조두섭, "金祐鎭 詩의 位相-詩意識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135-, 1986
3 金祐鎭, "金祐鎭 全集 1" 전예원 1983
4 정대성, "한국 근대시의 먼동: 水山 金祐鎭의 漢詩―전통의 변용과 창출, 전통과 근대의 변증법―" 민족문화연구소 (31) : 541-587, 2005
5 염철, "김우진의 산문을 통해 본 詩 인식 양상" 중앙어문학회 61 : 471-490, 2015
6 양승국, "김우진, 그의 삶과 문학" 태학사 1998
7 서연호, "김우진 전집 1" 연극과 인간 2000
8 손필영, "김우진 연구"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9
9 손화숙, "김우진 시 연구"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33 : 426-427, 1994
10 양승국, "극작가 김우진 재론" 한국극예술학회 7 : 16-30, 1997
1 손영신, "金祐鎭 희곡 연구-표현주의 희곡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210-, 1996
2 조두섭, "金祐鎭 詩의 位相-詩意識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135-, 1986
3 金祐鎭, "金祐鎭 全集 1" 전예원 1983
4 정대성, "한국 근대시의 먼동: 水山 金祐鎭의 漢詩―전통의 변용과 창출, 전통과 근대의 변증법―" 민족문화연구소 (31) : 541-587, 2005
5 염철, "김우진의 산문을 통해 본 詩 인식 양상" 중앙어문학회 61 : 471-490, 2015
6 양승국, "김우진, 그의 삶과 문학" 태학사 1998
7 서연호, "김우진 전집 1" 연극과 인간 2000
8 손필영, "김우진 연구"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9
9 손화숙, "김우진 시 연구"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33 : 426-427, 1994
10 양승국, "극작가 김우진 재론" 한국극예술학회 7 : 16-30, 1997
11 R.S. Fureness, "表現主義" 서울대출판부 1985
12 김성진, "焦星 金祐鎭의 詩世界" 목포대학교 어학연구소 7 : 99-, 1992
13 김성진, "焦星 金祐鎭의 文學과 現實認識" 중앙대 1992
14 유민영, "焦星 金祐鎭 硏究 下" 5 : 95-, 197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5 | 0.701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