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차별인식, 사회관계망, 사회문화적 적응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연구 : 종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50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차별의식,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사회문화적 적응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위의 세 변수들간의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차별의식,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사회문화적 적응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위의 세 변수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미치는 종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 서울,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260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이 느끼는 차별인식이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이 그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가지는 효과;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차별인식과 사회문화적 적응간의 인과관계;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 연구문제로 결혼이주여성의 차별인식,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사회문화적 적응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미치는 종교의 조절효과여부가 설정되었다.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T검증,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의 통계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차별인식은 사회문화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문화적 적응간에는 긍정적 인과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또한 차별의식과 사회문화적 적응간의 매개효과를 가진다.; 종교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는 종교관련 활동을 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넓은 사회적 관계망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수준의 차별인식을 보이고, 높은 수준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보이는 결과를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 한 정책 및 프로그램 제언과 제안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 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religion in 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 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relig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ose three variables in this study. Two sixty married immigrant women residing in Kyung-Gi Do, Seoul, Daegu were surveyed. There are four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to find whether discrimination perception negatively influences the social network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econd question analyzes whether social net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third question is to find whether discrimination percep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last question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s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test,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discrimination perception influences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Social network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ocial cultural adjustment and social network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social cultural adjus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was also examined which means that immigrant women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showed wider social network range, lower discrimination perception against them, and higher level of social cultural adjustmen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cultural adjust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환, "한국정부의 다문화 정책과 민족말살" 2012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임희모,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과 다중적 다문화선교사 리더십" 13-29, 2014

      4 임희모,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과 다중다문화선교 리더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81 : 267-299, 2015

      5 김기홍,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이론적 연구: 에스니시티와 다문화주의의 통합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2 (12): 445-486, 2012

      6 김영명,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41-174, 2013

      7 강진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2) : 5-34, 2012

      8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9 심양섭, "한국사회 반다문화 담론의 쟁점과 실제 그리고 대응: 여론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137-170, 2016

      10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1 조동환, "한국정부의 다문화 정책과 민족말살" 2012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임희모,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과 다중적 다문화선교사 리더십" 13-29, 2014

      4 임희모,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과 다중다문화선교 리더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81 : 267-299, 2015

      5 김기홍,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이론적 연구: 에스니시티와 다문화주의의 통합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2 (12): 445-486, 2012

      6 김영명,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41-174, 2013

      7 강진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2) : 5-34, 2012

      8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9 심양섭, "한국사회 반다문화 담론의 쟁점과 실제 그리고 대응: 여론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137-170, 2016

      10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11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12 최호림, "한국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동아시아의 이주: 현황과 쟁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5-55, 2015

      13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4 신만섭, "정치권 관점에서 본 한국 다문화현상의 문제점" 2012

      15 이한서, "장애인 인식개선: 이슈와 쟁점" 2016

      16 한희정,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다음사이트 ‘아고라’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5 (75): 43-79, 2016

      17 김경주, "이주민에 대한 한국교회의 대응: 다문화교회의 형성 사례 연구" 한국종교학회 75 (75): 95-134, 2015

      18 윤인진, "이주노동자의 한국경제및사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 2009

      19 김현경, "이주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385-409, 2009

      20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21 김희주,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121-155, 2012

      22 신효진, "사회관계망의 친밀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지 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9 (19): 731-755, 2014

      23 장혜경,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연구보고서" 한국여성개발원 2000

      24 엄한진, "다문화사회론" 소화 2011

      25 김현미, "다문화사회로 이동하는 한국: 이슈와 쟁점" 2013

      26 김도진, "다문화복지론" 공동체 2014

      27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28 박순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적응유연성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9

      29 윤인진,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국민인식의 지형과 변화" 세계한상문화연구단 10 (10): 125-154, 2016

      30 김비환, "다문화 민주주의?: 몇 가지 예비적 고찰" 4 (4): 5-33, 2012

      31 홍정미,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2 조지영, "누가 다문화 사회를 노래하는가?: 신자유주의적 통치술로써의 한국 다문화 담론과 그 효과" 한국사회학회 47 (47): 101-137, 2013

      33 김민경,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47-73, 2007

      34 권구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187-219, 2007

      35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소 46 (46): 141-181, 2007

      36 안상수,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원 2012

      37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38 김한성,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 특성과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7 (47): 177-209, 2013

      39 박순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비교: 이주여성과 일반여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8 (18): 41-57, 2013

      40 손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종교의 역할―다문화선교를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8 (28): 191-234, 2014

      41 김성혁,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189-210, 2012

      42 구본규, "‘다문화’는 어떻게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말이 되었나?: ‘다문화가족’ 만들기와 이주민의 범주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34, 2015

      4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 tin 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4 Fergusson, D. M.,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ion in the Childhood Advers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0-155, 2003

      45 Bobo, Lawrence D., "Race, Racism, and Discrimina ti on: Bringing Problems, Methods, and Theory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66 : 319-332, 2003

      46 Back, L., "New La bour’s White Heart: Politics, Multiculturalism and the Return of Assimilation" 73 (73): 445-454, 2002

      47 Keaton, Trica, "National Identity Politics and African-Origin M uslim Girls in the Other France" 36 (36): 405-423, 2005

      48 Zarling, C. L., "Maternal Social N etworks and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Full-term and Very Low Birth-weight Pre-term Infants" 5 : 178-185, 1988

      49 Legault, L., "Looking af ter Children: Implementation and Outcomes in Canada" 19 : 160-169, 2004

      50 Cohen, S.,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 al Suppor" Social Support & Health 1985

      51 Banting, K., "Is There Really a Backlash against M ulticulturalism Policies? New Evidence from the Multiculturalism Policy Index" The Stockholm University Linnaeus Center for Integration Studies Working Paper 1-28, 2012

      52 Safi, Marni,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In Europe: between Assimil ation and Discrimination" 26 (26): 159-176, 2010

      53 Koopmans, R. P., "Contested Ci tizenship: Immigration and Cultural Diversity in Europ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5

      54 Burt, R. S., "Applied N etwork Analysis: A Methodological Introduction" Sage 176-194, 1983

      55 Kaplan, H. B., "Antecedents of Psycho l 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s: Self-rejection, Depriva 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1 : 93-115, 1983

      56 Brass, D. J,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on human resource m anagement" 13 : 39-79, 1995

      57 통계청,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요약본"

      58 여성가족부, "2012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연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1 0.44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