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화를 통해 살펴본 신과 인간과 대자연의 신성한 관계 -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창조적 신화 해석을 토대로 - = Sacred relationship of gods,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examined in myths - based on Mircea Eliade's creative hermeneutic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6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cients were feeling that the Cosmos was real and living sacred organism. They were knowing that human's existential position was valuable just when human being existed as a part of the Cosmos. For them, whole cosmos was bing hierophany, and each individual of the nature was sharing same divinity. Such being the case, ancients were homo religious who were feeling sacredness in all nature.
      We can understand, with the help of myths, rituals, icons, and numerous religious symbols of ancients, that they were living with awareness that gods,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re derived from one single sacred organism,In this paper we pointed at their cosmogonic myths which include following contents : Cosmos was born through sacrifice of 'primordial cosmic giant' like Pangu, Ymir, Prusha, Gajomard or 'oceanic monster' like Tiamat. Such myths tell us that each individual of the whole nature are differentiated from one primordial god which became essential element of all of us for vitality, therefore each piece or part of the whole nature is fundamental like a cell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Also such myths elucidate u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existence, but just a transference of vitality to others, or a transformation of appearance, because primordial god gave us body and vitality through his dismemberment sacrifice.
      Teachings of such myths was not remained as just interesting tales but transmitted to some significant philosophical ideas, religions and ethics. Even if it is hard to prove that ideas and religions are inherited directly from the myths mentioned above, important thing is that some great wise men have remembered wisdom of ancients that all individual share same divinity with the Cosmos and all of us are a part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all the moments when human spirituality had decayed.
      번역하기

      Ancients were feeling that the Cosmos was real and living sacred organism. They were knowing that human's existential position was valuable just when human being existed as a part of the Cosmos. For them, whole cosmos was bing hierophany, and each ind...

      Ancients were feeling that the Cosmos was real and living sacred organism. They were knowing that human's existential position was valuable just when human being existed as a part of the Cosmos. For them, whole cosmos was bing hierophany, and each individual of the nature was sharing same divinity. Such being the case, ancients were homo religious who were feeling sacredness in all nature.
      We can understand, with the help of myths, rituals, icons, and numerous religious symbols of ancients, that they were living with awareness that gods,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re derived from one single sacred organism,In this paper we pointed at their cosmogonic myths which include following contents : Cosmos was born through sacrifice of 'primordial cosmic giant' like Pangu, Ymir, Prusha, Gajomard or 'oceanic monster' like Tiamat. Such myths tell us that each individual of the whole nature are differentiated from one primordial god which became essential element of all of us for vitality, therefore each piece or part of the whole nature is fundamental like a cell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Also such myths elucidate u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existence, but just a transference of vitality to others, or a transformation of appearance, because primordial god gave us body and vitality through his dismemberment sacrifice.
      Teachings of such myths was not remained as just interesting tales but transmitted to some significant philosophical ideas, religions and ethics. Even if it is hard to prove that ideas and religions are inherited directly from the myths mentioned above, important thing is that some great wise men have remembered wisdom of ancients that all individual share same divinity with the Cosmos and all of us are a part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all the moments when human spirituality had decay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속화되기 이전의 고대인들은 우주가 실재적이고 살아 있는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으며 인간의 실존적 위치는 우주라는 전일적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때에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우주는 만물의 존재를 유지하게 하는 질서와 리듬에 따라 움직였다. 심지어 신들 조차도 이 질서에 복종해야 했다. 신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대자연과 더불어 우주 만물의 신성한 생명력을 갱신하고 유지 시키는 역할을 맡았다. 그들에게는 우주 전체가 성현이었으며 우주의 각 개체들 중 어느 하나 신성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주변의 모든 것으로부터 성스러움을 느끼며 사는 ‘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일 수밖에 없었다. 고대인들이 성스러움을 항상 느끼며 살아갔다는 사실은 그들이 남겨 놓은 신화들, 의례들, 성상들 그리고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그들이 느끼던 성스러움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태초의 거인이나 괴물이 살해당한 뒤 그 신체가 해체 되면서 그 과정 속에서 천계와 동·식물과 인간이 생겨났다는 신체화생의 내용을 가진 창세신화들이다. 세계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는 수많은 창세 신화들 중에서 이런 내용을 가진 신화들로는 중국의 반고, 북유럽의 이미르, 바빌로니아의 티아마트, 인도의 프루샤, 이란의 가요마르드 등에 관한 신화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위 신화들에서 공통으로 이야기되고 있는 태초의 우주적 거인이나 대양 괴물의 죽음과 신체의 해체는 사멸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대자연이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로 탄생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초의 존재의 시신이 질료가 되어서 대자연의 각 개체들이 새롭게 생겨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대자연의 근원적 일체감을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대자연의 각 개체들은 태초의 존재인 신의 신체를 질료로 삼고 있으며 신의 신체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이기에 이 우주의 근원은 원래 한 몸, 즉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화생 신화들이 전하는 의미들, 즉 첫째로 전 우주는 신의 몸에서 분리되어 각 개체로 독립된 듯 보이지만 결국은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사실, 둘째로 죽음은 사멸이 아니라 생명력의 전이이자 외형의 변화일 뿐이라는 사실, 셋째로 죽음은 우주 창조의 근원에게로 회귀하고 재통합되는 것이라는 사실 등은 단지 신화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철학적 사상으로, 때로는 종교나 윤리 덕목으로 계승되었다. 각 사상이나 종교들이 신체화생 신화들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인류가 영적으로 황폐해지고 폭력이 극심해지는 역사적 위기의 순간마다 종교적 인간이었던 고대인들의 지혜, 즉 우주가 신성한 하나의 유기체라는 생각을 회복해 왔다는 사실이다.
      번역하기

      세속화되기 이전의 고대인들은 우주가 실재적이고 살아 있는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으며 인간의 실존적 위치는 우주라는 전일적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때에 비로소 ...

      세속화되기 이전의 고대인들은 우주가 실재적이고 살아 있는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으며 인간의 실존적 위치는 우주라는 전일적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때에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우주는 만물의 존재를 유지하게 하는 질서와 리듬에 따라 움직였다. 심지어 신들 조차도 이 질서에 복종해야 했다. 신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대자연과 더불어 우주 만물의 신성한 생명력을 갱신하고 유지 시키는 역할을 맡았다. 그들에게는 우주 전체가 성현이었으며 우주의 각 개체들 중 어느 하나 신성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주변의 모든 것으로부터 성스러움을 느끼며 사는 ‘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일 수밖에 없었다. 고대인들이 성스러움을 항상 느끼며 살아갔다는 사실은 그들이 남겨 놓은 신화들, 의례들, 성상들 그리고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그들이 느끼던 성스러움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태초의 거인이나 괴물이 살해당한 뒤 그 신체가 해체 되면서 그 과정 속에서 천계와 동·식물과 인간이 생겨났다는 신체화생의 내용을 가진 창세신화들이다. 세계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는 수많은 창세 신화들 중에서 이런 내용을 가진 신화들로는 중국의 반고, 북유럽의 이미르, 바빌로니아의 티아마트, 인도의 프루샤, 이란의 가요마르드 등에 관한 신화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위 신화들에서 공통으로 이야기되고 있는 태초의 우주적 거인이나 대양 괴물의 죽음과 신체의 해체는 사멸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대자연이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로 탄생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초의 존재의 시신이 질료가 되어서 대자연의 각 개체들이 새롭게 생겨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대자연의 근원적 일체감을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대자연의 각 개체들은 태초의 존재인 신의 신체를 질료로 삼고 있으며 신의 신체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이기에 이 우주의 근원은 원래 한 몸, 즉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화생 신화들이 전하는 의미들, 즉 첫째로 전 우주는 신의 몸에서 분리되어 각 개체로 독립된 듯 보이지만 결국은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사실, 둘째로 죽음은 사멸이 아니라 생명력의 전이이자 외형의 변화일 뿐이라는 사실, 셋째로 죽음은 우주 창조의 근원에게로 회귀하고 재통합되는 것이라는 사실 등은 단지 신화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철학적 사상으로, 때로는 종교나 윤리 덕목으로 계승되었다. 각 사상이나 종교들이 신체화생 신화들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인류가 영적으로 황폐해지고 폭력이 극심해지는 역사적 위기의 순간마다 종교적 인간이었던 고대인들의 지혜, 즉 우주가 신성한 하나의 유기체라는 생각을 회복해 왔다는 사실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암스트롱, 카렌, "축의 시대" 교양인 2010

      2 후크, 사무엘 헨리, "중동 신화" 범우사 2001

      3 하이데거, 마르틴,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2010

      4 이온스, 베로니카, "인도 신화" 범우사 2007

      5 알렌, 더글라스,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이학사 2008

      6 안진태, "신화학 강의" 열린책들 2001

      7 암스트롱, 카렌,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8 심치열, "신화의 세계"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9 링컨, 브루스, "신화 이론화하기" 이학사 2009

      10 암스트롱, 카렌, "신의 역사 I, II" 동연 1999

      1 암스트롱, 카렌, "축의 시대" 교양인 2010

      2 후크, 사무엘 헨리, "중동 신화" 범우사 2001

      3 하이데거, 마르틴,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2010

      4 이온스, 베로니카, "인도 신화" 범우사 2007

      5 알렌, 더글라스,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이학사 2008

      6 안진태, "신화학 강의" 열린책들 2001

      7 암스트롱, 카렌,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8 심치열, "신화의 세계"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9 링컨, 브루스, "신화 이론화하기" 이학사 2009

      10 암스트롱, 카렌, "신의 역사 I, II" 동연 1999

      11 암스트롱, 카렌, "신을 위한 변론" 웅진 지식하우스 2010

      12 데이비스, 케네스 C, "세계의 모든 신화" 푸른 숲 2008

      13 오토, 루돌프,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1987

      14 류경희, "다른 사람들의 신화 - 잃어버린 신화의 회복을 위한 타자의 신화 이해하기" 청년사 2007

      15 Eliade,Mircea, "Tratat de istorie a religiilor" 2008

      16 Eliade,Mircea, "Sacrul şi profanul" Humanitas 2005

      17 Oişteanu,Andrei, "Religie,politică şi mit.Texte despre Mircea Eliade şi Ioan Petru Culianu" Editura Polirom 2007

      18 Eliade,Mircea, "Ocultism vrăjitorie şi mode culturale" Humanitas 2006

      19 Eliade,Mircea, "Nostalgia originilor" Humanitas 1994

      20 Eliade, Mircea, "Mituri, vise si mistere" Editura Univers Enciclopedic 2008

      21 Eliade,Mircea, "Mitul reintegrării" Humanitas 2003

      22 Eliade, Mircea, "Mitul eternei reintoarceri" Editura Univers Enciclopedic 2008

      23 Simion,Eugen, "Mircea Eliade,spirit al amplitudinii" Demiurg 1995

      24 Ţuţea,Petre, "Mircea Eliade" Eikon 2007

      25 Glodeanu,Gheorghe, "Mircea Eliade" Editura Didactică şi Pedagogică 1997

      26 Culianu,Ioan Petru, "Mircea Eliade" Editura polirom 2004

      27 정진홍, "M. 엘리아데 종교와 신화" 살림 2003

      28 Jurcan,Emil, "Istoria religiilor universitatea"

      29 Teodorescu, G., Dem, "Istoria filosofiei antice" 1893

      30 Eliade,Mircea, "Istoria credinţelor şi ideilor religioase" Ştiinţific şi enciclopedică 1988

      31 Ursache,Petru, "Introducere în opera lui Mircea Eliade" Eikon 2008

      32 Marino,Adrian, "Hermeneutica lui Mircea Eliade" Editura Dacia 1980

      33 Niţu,George, "Elemente Mitologice" Albatros 1988

      34 Eliade,Mircea, "Drumul spre centru" Univers 1990

      35 Kernbach,Victor, "Dicţionar de mitologie generală" Albatros 1983

      36 Culianu,Ioan Petru, "Dictionar al religiilor" Polirom 2007

      37 Eliade,Mircea, "De la Zalmoxis la Genghis-han" Ştiinţific şi enciclopedică 1980

      38 Eliade,Mircea, "Cosmologie şi alchimie babiloniană" Moldova 1991

      39 Eliade,Mircea, "Comentarii la legenda Meşterului Manole" Humanitas 2004

      40 Eliade,Mircea, "Aspecte ale mitului" Univers 1978

      41 Eliade,Mircea, "Arta de a Muri, selecţie de texte de Ursache, Petru, Cluj-Napoca" Eikon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