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폴란드어의 합성 방법과 신조어 합성의 경향 -명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 The Method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and compounding tendency of Polish neolog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6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pounding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ways of words formation. This paper aims to review a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and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Polish neologism.
      In chapter 2, three types of compound expressions in Polish will be examined and also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types of compound words will be investigated here. In chapter 3, we will go into detail about two types of Polish compounding - "Zrosty" and "Złożenia Właściwe". "Zrosty" is a combining method of two stems without any morphemes for word-formation or affix and "Złożenia Właściwe" is one of the productive methods of compounding words using inflexes.
      In chapter 4, we will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new word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In this paper new compound words in Polish can b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ing pattern of two components: <Pl-Pl>, <Pl-Lw>, <Lw-Pl> and <Lw-Lw>. The analyzed new compound words almost cannot be found in Polish dictionar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confirm anglicism in Polish and this tendenc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mong younger generations. Also we can find that younger generations have embraced grammatical systems as well as literal english words without any declensions.
      번역하기

      The compounding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ways of words formation. This paper aims to review a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and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Polish neologism. In chapter 2, three types of compound expressions...

      The compounding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ways of words formation. This paper aims to review a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and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Polish neologism.
      In chapter 2, three types of compound expressions in Polish will be examined and also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types of compound words will be investigated here. In chapter 3, we will go into detail about two types of Polish compounding - "Zrosty" and "Złożenia Właściwe". "Zrosty" is a combining method of two stems without any morphemes for word-formation or affix and "Złożenia Właściwe" is one of the productive methods of compounding words using inflexes.
      In chapter 4, we will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new word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In this paper new compound words in Polish can b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ing pattern of two components: <Pl-Pl>, <Pl-Lw>, <Lw-Pl> and <Lw-Lw>. The analyzed new compound words almost cannot be found in Polish dictionar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confirm anglicism in Polish and this tendenc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mong younger generations. Also we can find that younger generations have embraced grammatical systems as well as literal english words without any declen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폴란드어에서 합성에 의한 단어 형성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란드어에서 두 어기를 결합할 때의 합성어 형성 방법과 그 구조적, 의미적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최근 10여 년간의 합성어를 중심으로 신조어 합성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폴란드어의 세 가지 합성 표현인 Zestawienia(복합어구), Zrosty(유착 합성어), Złożenia Właściwe(접요사적 합성어)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어휘들을 두 어기가 폴란드어의 단어 배열 원칙을 따르는 통사적 합성과 통사적 원리를 따르지 않는 비통사적 합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내부 두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등적 관계와 종속적 관계, 그리고 합성어의 의미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후행 요소에 있을 경우는 내심적 관계, 내부 두 요소가 아닌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어형 변화소인 접미사에 있을 경우의 외심적 관계의 합성어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단어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폴란드어 합성법인 Zrosty와 Złożenia Właściwe의 두 유형에 대해 다루었다. 주로 통사적 합성어와 유사 합성어류들은 대부분 접요사가 필요 없는 Zrosty 유형으로 합성하였으며, 대부분의 비통사적 합성어들은 두 어기 연결 시 -o, -i/y 그리고 -u의 접요사를 필요로 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의 합성법에 따라 단어를 형성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폴란드어 합성법들을 중심으로 신조어들의 합성 경향 및 신조어에 나타난 외래어 차용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폴란드어 합성 신조어들을 외래어와 고유어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고유어+고유어>, <외래어+고유어>, <고유어+외래어>, <외래어+외래어>. 대부분의 신조어들은 결합 방식과는 상관없이 Zrosty 유형과 접요사 -o에 의해 연결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에 의해 단어를 형성하며, 특히 외래어를 포함할 경우 Zrosty 유형의 단어 형성의 예가 많았다. 외래 합성어들의 분석을 통해 영어의 소리 차용 및 철자 차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폴란드어 어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의 영어 어휘 선호 현상의 확인을 통해 폴란드어 내에서의 영어의 영향력이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폴란드어에서 합성에 의한 단어 형성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란드어에서 두 어기를 결합할 때의 합성어 형성 방법과 그 구조적, 의미적 유형을 살펴보고, ...

      폴란드어에서 합성에 의한 단어 형성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란드어에서 두 어기를 결합할 때의 합성어 형성 방법과 그 구조적, 의미적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최근 10여 년간의 합성어를 중심으로 신조어 합성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폴란드어의 세 가지 합성 표현인 Zestawienia(복합어구), Zrosty(유착 합성어), Złożenia Właściwe(접요사적 합성어)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어휘들을 두 어기가 폴란드어의 단어 배열 원칙을 따르는 통사적 합성과 통사적 원리를 따르지 않는 비통사적 합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내부 두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등적 관계와 종속적 관계, 그리고 합성어의 의미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후행 요소에 있을 경우는 내심적 관계, 내부 두 요소가 아닌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어형 변화소인 접미사에 있을 경우의 외심적 관계의 합성어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단어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폴란드어 합성법인 Zrosty와 Złożenia Właściwe의 두 유형에 대해 다루었다. 주로 통사적 합성어와 유사 합성어류들은 대부분 접요사가 필요 없는 Zrosty 유형으로 합성하였으며, 대부분의 비통사적 합성어들은 두 어기 연결 시 -o, -i/y 그리고 -u의 접요사를 필요로 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의 합성법에 따라 단어를 형성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폴란드어 합성법들을 중심으로 신조어들의 합성 경향 및 신조어에 나타난 외래어 차용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폴란드어 합성 신조어들을 외래어와 고유어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고유어+고유어>, <외래어+고유어>, <고유어+외래어>, <외래어+외래어>. 대부분의 신조어들은 결합 방식과는 상관없이 Zrosty 유형과 접요사 -o에 의해 연결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에 의해 단어를 형성하며, 특히 외래어를 포함할 경우 Zrosty 유형의 단어 형성의 예가 많았다. 외래 합성어들의 분석을 통해 영어의 소리 차용 및 철자 차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폴란드어 어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의 영어 어휘 선호 현상의 확인을 통해 폴란드어 내에서의 영어의 영향력이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현, "현대 러시아 추리소설의 어휘 연구 - 신조어 분류와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동유럽발칸학회 11 (11): 98-126, 2009

      2 Borowiak Anna, "폴란드어의 차용 어휘 연구 -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동유럽발칸학회 11 (11): 3-36, 2009

      3 엄태현,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77-102, 2010

      4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1993

      5 백영석, "신조어 조어법 연구 - 명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1

      6 조남신, "러시아어 조어론" 한신문화사 1996

      7 김정은, "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박이정 2000

      8 Nagórko, Alicja, "Zarys Gramatyki Polskiej" PWN 1998

      9 Wierzchoń, Piotr, "Z Cudzysłowów do Poczekalni Leksykograficznej. semiosis Lexicographica" XV : 18-35, 2003

      10 "Wikipedia"

      1 홍정현, "현대 러시아 추리소설의 어휘 연구 - 신조어 분류와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동유럽발칸학회 11 (11): 98-126, 2009

      2 Borowiak Anna, "폴란드어의 차용 어휘 연구 -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동유럽발칸학회 11 (11): 3-36, 2009

      3 엄태현,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77-102, 2010

      4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1993

      5 백영석, "신조어 조어법 연구 - 명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1

      6 조남신, "러시아어 조어론" 한신문화사 1996

      7 김정은, "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박이정 2000

      8 Nagórko, Alicja, "Zarys Gramatyki Polskiej" PWN 1998

      9 Wierzchoń, Piotr, "Z Cudzysłowów do Poczekalni Leksykograficznej. semiosis Lexicographica" XV : 18-35, 2003

      10 "Wikipedia"

      11 wydanie, "Wielki Słownik Polsko-angielki" WP 1995

      12 "Słownik języka polskiego"

      13 "Słownik Zapożyczeń Angielskich w Polszczyźnie" PWN 2010

      14 "Słownik Wyrazów Obcych z Przykładami i Poradami" PWN 2009

      15 Pyzik,Józef, "Przygoda z Gramatyką" Universitas 2006

      16 "Popularny Słownik Wyrazów Obcych i Trudnych" Langenscheidt 2007

      17 "Nowy Słownik Wyrazów Obcych" Krakowskie Wydawnictwo Naukowe 2009

      18 Samółkowa, Teresa, "Nowe Słownictwo o Polskie Materiały z Prasy Lat 1993-2000, Część I: T-Ż" PAN Instytut Języka Polskiego 2004

      19 Samółkowa, Teresa, "Nowe Słownictwo o Polskie Materiały z Prasy Lat 1993-2000, Część I: P-Ś" PAN Instytut Języka Polskiego 2004

      20 Samółkowa, Teresa, "Nowe Słownictwo o Polskie Materiały z Prasy Lat 1993-2000, Część I: I-O" PAN Instytut Języka Polskiego 2004

      21 Samółkowa, Teresa, "Nowe Słownictwo o Polskie Materiały z Prasy Lat 1993-2000, Część I: A-H" Instytut Języka Polskiego 2004

      22 Kulesz,Barbara, "Najnowsze we Współczesnym Języku Polskim - zarys problemu" 3 : 17-28, 2010

      23 Jadacka, Hanna, "Języka Polskiego; Fleksja" PWN 2007

      24 Bartnicka B, "Języka Polskiego dla Cudzoziemców" Wiedza Powszechna 1990

      25 Kotras,Jan, "Hybrydy Leksykalne we Współczesnej Polszczyźnie: Próba Kategoryzacji" 5 : 99-115, 2003

      26 Grochola-Szczepanek, Helena, "Główny Typy Struktualno-Semantyczne Rzeczowników Złożonych w Dialektach Polskich" Inštitut za slovenski jezik Frana Ramovša 14 (14): 61-74, 2008

      27 Kaleta Zofia, "Gramatyka języka polskiego dla cudzodziemców" Nakładem Uniwersytetu Jagiellońskiego 1995

      28 Grzegorczykowa, Renata, "Gramatyka Współczesnego Języka Polskiego" PWN 1999

      29 "Encyklopedia Języka Polskiego" Ossolineum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