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디에나 있는 미디어’의 이론을 향해 기술의 자동성과 제어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색 = Media that Are All Around A Critical Exploration on the Concept of Automatism and Control of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2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hemidstofachangeinthemediaenvironment,industrial discourseson‘technology’arebloatedwhilephilosophicaland conceptualdiscussionson‘media’havenotbeenconductedindepth. Byexaminingtheconceptsofmediaandtechnologyfromthe interdisciplinaryperspectivebetweenmediatheoryandotherrelated academicfields,thisarticlehasapurposeofexplorationtosuggesta mediatheoryatlarge.Themaindiscussionisdividedintofourparts. First,Iexamineso-calledSiliconValleyperspectivewhichleadspublic discourseaswellasresearchinacademiaintotechno-centricism. Second,Icriticallyexplorethemeaningoftheculturalimaginationof technologicalautonomythathasbeenbuiltaroundintelligentmedia suchasAI.Third,theimplicationoftechnologicalcontrol,symbolized bytheparadoxofhumanisticposthuman,iscriticallyexplored. Fourth,atheoryof‘mediathatareallaround’isproposedinlinewith overcomingtechnocentricautomatismandanthropocentrism.Thisis anefforttounderstandtheconceptofmediaas‘action-at-adistance’ andtounderstandmediaasarelationshipbeyondtechno-centrism andanthropocentrism.
      번역하기

      Inthemidstofachangeinthemediaenvironment,industrial discourseson‘technology’arebloatedwhilephilosophicaland conceptualdiscussionson‘media’havenotbeenconductedindepth. Byexaminingtheconceptsofmediaandtechnologyfromthe interdisciplinaryperspecti...

      Inthemidstofachangeinthemediaenvironment,industrial discourseson‘technology’arebloatedwhilephilosophicaland conceptualdiscussionson‘media’havenotbeenconductedindepth. Byexaminingtheconceptsofmediaandtechnologyfromthe interdisciplinaryperspectivebetweenmediatheoryandotherrelated academicfields,thisarticlehasapurposeofexplorationtosuggesta mediatheoryatlarge.Themaindiscussionisdividedintofourparts. First,Iexamineso-calledSiliconValleyperspectivewhichleadspublic discourseaswellasresearchinacademiaintotechno-centricism. Second,Icriticallyexplorethemeaningoftheculturalimaginationof technologicalautonomythathasbeenbuiltaroundintelligentmedia suchasAI.Third,theimplicationoftechnologicalcontrol,symbolized bytheparadoxofhumanisticposthuman,iscriticallyexplored. Fourth,atheoryof‘mediathatareallaround’isproposedinlinewith overcomingtechnocentricautomatismandanthropocentrism.Thisis anefforttounderstandtheconceptofmediaas‘action-at-adistance’ andtounderstandmediaasarelationshipbeyondtechno-centrism andanthropocentr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술’에 대한 산업적 논의는 비대해지는 반면 ‘미디어’에 대한철학적이고개념적인논의는깊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다. 이글은미디어와 기술의개념을미디어연구와인접학문의접점에서살핌으로써, 더욱확장된미디 어이론을제안하려는탐색적시론의목적을지닌다. 주요논의는네부분으로나뉜 다.첫째,미국실리콘밸리의소수빅테크기업이오늘날의미디어기술관련대중 담론과학술연구를주도해온과정과그의미를비판적으로검토한다. 둘째, 인공지 능 등 지능화 미디어를 둘러싸고 구축되어 온 ‘자동성’에 대한 문화적인 상상의 아이 러니를탐색한다. 셋째, ‘인간보다더인간다운기술’이라는역설로상징되는기술에 대한제어의의미를탐색한다. 넷째, 자동성이라는기술중심주의와제어가능성이라 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어디에나 있는 미디어’의 개념을 제안한다. 이는 미디어의개념을‘먼거리작용’으로이해하는것이며, 기술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 를벗어나관계로서의미디어를파악하고자하는노력이다.
      번역하기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술’에 대한 산업적 논의는 비대해지는 반면 ‘미디어’에 대한철학적이고개념적인논의는깊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다. 이글은미디어와 기술의개념을미디어...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술’에 대한 산업적 논의는 비대해지는 반면 ‘미디어’에 대한철학적이고개념적인논의는깊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다. 이글은미디어와 기술의개념을미디어연구와인접학문의접점에서살핌으로써, 더욱확장된미디 어이론을제안하려는탐색적시론의목적을지닌다. 주요논의는네부분으로나뉜 다.첫째,미국실리콘밸리의소수빅테크기업이오늘날의미디어기술관련대중 담론과학술연구를주도해온과정과그의미를비판적으로검토한다. 둘째, 인공지 능 등 지능화 미디어를 둘러싸고 구축되어 온 ‘자동성’에 대한 문화적인 상상의 아이 러니를탐색한다. 셋째, ‘인간보다더인간다운기술’이라는역설로상징되는기술에 대한제어의의미를탐색한다. 넷째, 자동성이라는기술중심주의와제어가능성이라 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어디에나 있는 미디어’의 개념을 제안한다. 이는 미디어의개념을‘먼거리작용’으로이해하는것이며, 기술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 를벗어나관계로서의미디어를파악하고자하는노력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대청, "휠체어 탄 인공지능: 자율적 기술에서 상호의존과 돌봄의 기술로" 한국과학기술학회 19 (19): 169-206, 2019

      2 Braidotti, R.,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3 Ganascia, J-G., "특이점의 신화: 인공지능을 두려워해야 하는가" 글항아리사이언스 2018

      4 Loh, J.,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5 Jasanoff, S., "테크놀로지의 정치: 유전자 조작에서 디지털 프라이버시까지" 창비 2022

      6 Latour, B.,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신기후체제의 정치" 이음 2021

      7 Peters, J. D., "자연과 미디어: 고래에서 클라우드까지, 원소 미디어의 철학을 향해" 컬처룩 2018

      8 Benanav, A., "자동화와 노동의 미래" 책세상 2022

      9 Eubanks, V., "자동화된 불평등" 북트리거 2018

      10 관계부처 합동, "인공지능 국가전략" 2019

      1 하대청, "휠체어 탄 인공지능: 자율적 기술에서 상호의존과 돌봄의 기술로" 한국과학기술학회 19 (19): 169-206, 2019

      2 Braidotti, R.,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3 Ganascia, J-G., "특이점의 신화: 인공지능을 두려워해야 하는가" 글항아리사이언스 2018

      4 Loh, J.,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5 Jasanoff, S., "테크놀로지의 정치: 유전자 조작에서 디지털 프라이버시까지" 창비 2022

      6 Latour, B.,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신기후체제의 정치" 이음 2021

      7 Peters, J. D., "자연과 미디어: 고래에서 클라우드까지, 원소 미디어의 철학을 향해" 컬처룩 2018

      8 Benanav, A., "자동화와 노동의 미래" 책세상 2022

      9 Eubanks, V., "자동화된 불평등" 북트리거 2018

      10 관계부처 합동, "인공지능 국가전략" 2019

      11 문희철, "이루다 논란은 AI 서비스 고도화 위한 불가피한 시행착오"

      12 Latour, B., "실험실 생활: 과학적 사실의 구성" 한울 2019

      13 김초엽, "사이보그가 되다" 사계절 2021

      14 전치형, "미래는 오지 않는다: 과학기술은 어떻게 미래를 독점 하는가" 문학과지성사 2019

      15 이동후,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컬처룩 2021

      16 Andrejevic, M.,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 컬처룩 2021

      17 이희은, "데이터화 사회에 여성은 존재하는가? : 알고리즘 미디어와 불평등" 한국여성문학학회 (54) : 14-45, 2021

      18 Simondon, G.,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관하여" 그린비 2011

      19 최유미, "공-산의 사유" 도서출판 비 2020

      20 이희은, "“기계는 권력의 지도”: AI와 자동화된 불평등" (105) : 127-142, 2021

      21 Davis, A., "Whose singularity?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mechanism of corporate sovereignty"

      22 Ganesh, M. I., "The ironies of autonomy" 7 : 2020

      23 Barbrook, R., "The California ideology" 6 (6): 44-72, 1996

      24 Natale, S., "Reclaiming the humans in machine cultures: Introduction" 4 (4): 627-637, 2022

      25 Jakobsson, P., "Machine intellig ences—An introduction"

      26 Rahwan, I., "Machine behaviour" 568 : 477-486, 2019

      27 Szollosy, M., "Living machines: A handbook of research in biomimetic and biohybrid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578-586, 2018

      28 Delfanti, A., "Humanly extended automation or the future of work seen through Amazon patents" 46 (46): 655-682, 2021

      29 Parks, L., "Field mapping: What is the “media” in media studies?" 21 (21): 642-649, 2020

      30 Kerr, A., "Expec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erformativity of ethics: Implications for communication governance" 7 (7): 1-12, 2020

      31 Pink, S., "Digital social future research" 1 (1): 41-48, 2019

      32 Crawford, K., "Atlas of AI" Yale University Press 2021

      33 Peters, J. D., "Action at a dista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0

      34 Sloane, M., "AI’s social sciences deficit" 1 (1): 330-331, 2019

      35 임재우, "AI ‘이루다’ 멈췄지만… 성차별·혐오는 인간에게 돌아온다"

      36 Brockmann, H., "A class for itself? On the worldviews of the new tech elite" 16 (16): e0244071-,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6 1.36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46 2.108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