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개인적 투표결정요인과 집합적 투표결정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1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a multi-stage decision model by Miller and Shanks, this study analyzes individual and aggregate vote determinant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n the individual voting decision, regionalism shows the strongest effects, followed by...

      Using a multi-stage decision model by Miller and Shanks, this study analyzes individual and aggregate vote determinant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n the individual voting decision, regionalism shows the strongest effects, followed by evaluation of the economy, national security issues, ideological orientation, age and government performance. In the aggregate decision that decides winner of the election, evaluation of the economy, together with government performance, had decisive effects upon Lee Myung-bak's victory while regionalism and ideological orientation show only limited effects. Leadership crisis suffered by the new conservative administr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Korean people punished President Roh for his mismanagement of the economy rather than rewarding Lee for his conservative policy proposal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기숙, "합리적 선택" 한울 1996

      2 김무경,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13): 2005

      3 한국사회학회,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90

      4 이갑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오름 1998

      5 강원택, "한국의 선거 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푸른길 2003

      6 이현우, "한국에서의 경제투표 in:한국의 선거 II" 푸른길 1998

      7 강명세, "한국선거의 주요쟁점: 지역주의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역대 대통령 선거를 기반으로" 17 (17): 2001

      8 박경산, "한국 선거의 정치경제학 in:한국의 선거 I" 나남 1993

      9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 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39 (39): 2005

      10 최준영, "지역감정은 존재하는가?: 지역감정에 대한 간접측정 기법을 중심으로" 1 (1): 2008

      1 조기숙, "합리적 선택" 한울 1996

      2 김무경,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13): 2005

      3 한국사회학회,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90

      4 이갑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오름 1998

      5 강원택, "한국의 선거 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푸른길 2003

      6 이현우, "한국에서의 경제투표 in:한국의 선거 II" 푸른길 1998

      7 강명세, "한국선거의 주요쟁점: 지역주의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역대 대통령 선거를 기반으로" 17 (17): 2001

      8 박경산, "한국 선거의 정치경제학 in:한국의 선거 I" 나남 1993

      9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 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39 (39): 2005

      10 최준영, "지역감정은 존재하는가?: 지역감정에 대한 간접측정 기법을 중심으로" 1 (1): 2008

      11 강원택, "지방선거에 대한 중앙정치의 영향 in:한국의 선거 III" 푸른길 1999

      12 이재철, "제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경제투표: 유권자의 경제인식과 투표결정" 1 (1): 2008

      13 김만흠, "정치균열, 정당정치, 그리고 지역주의" 28 (28): 1994

      14 이갑윤, "이념투표의 영향력 분석: 이념의 구성, 측정 그리고 의미" 1 (1): 2008

      15 강원택, "유권자의 이념적 성향과 투표행태 in:한국의 선거 II" 푸른길 1998

      16 조중빈, "유권자의 여야성향과 투표결정 시기에 따른 정당지지 in:선거와 한국정치" 1992

      17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성원사 1989

      18 가상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2007년 대통령선거에 미친 영향력 분석" 1 (1): 2008

      19 조성대, "균열구조와 정당체계: 지역주의, 이념, 그리고 2007년 한국 대통령선거" 1 (1): 2008

      20 Lee,Kap Yun, "Vote Determinants of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43 (43): 2003

      21 Suzuki,Motoshi, "The Rationality of Economic Voting and the Macroeconomic Regime" 35 : 624-642, 1991

      22 Miller, Warren E., "The New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23 Fiorina,Morris,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Yale University Press 1981

      24 Hibbs, D. A., Jr, "Political Parties and Macroeconomic Policy" 71 : 1467-1487, 1977

      25 Kiewiet,Roderick, "Macroeconomics and Micropoli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26 Jhee,Byoung-Kuen, "Ideology and Voter Choice in Korea: An Empirical Test of the Viability of Three Ideological Voting Models" 40 (40): 61-81, 2006

      27 Stigler, G. J, "General Economic Conditions and Natural Elections" 63 : 160-167, 1973

      28 Lewis-Beck, Michael, "Economic Determinants of Electoral Outcomes" 3 : 183-219, 2000

      29 Niemi. R. G, "Controversies in Voting Behavior" CA Press 2001

      30 Lipset, Seymour M, "Cleavage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An Introduction in: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Macmillan 1967

      31 Niemi.R.G.,and Herbert.Weisberg eds, "Classics in Voting Behavior" CQ Press 1993

      32 Inglehart,Ronald, "Changing Cleavage Alignments in Western Democracies in:Electoral Change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33 김주찬, "2002년 대통령선거에서 이념성향이 투표에 미친 영향" 13 (13): 2002

      34 윤종빈, "17대 대선과 후보자 요인" 1 (1): 2008

      35 김진하, "17대 대선 투표 참여율과 기권" 1 (1): 2008

      36 이현우,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이슈와 후보자 전략 in:한국의 선거 V" 오름 2006

      37 김 욱, "16대 대선에서 세대, 이념, 그리고 가치의 영향력 in한국의 선거 V" 오름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21st centry Political Science Review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21세기정치학회보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57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