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류율 산정모형 개발 및 활용 = A Flow Rate Estimation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5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u-Transportation (u-T) 환경은 차세대의 ITS로 간주되는 미래형 교통서비스로서 어디에서나 적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신 교통공간을 의미한다. 그러한 환경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는 기존 ITS에서 교통량 산출 방법을 검토하고, u-T 자료 수집환경(u-TSN)의 자료수집형태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여 ITS의 교통량 산정 결과와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u-T에서 단속류의 교통류율이 ITS보다 3.58%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지표 MARE와 MAE 값이 각각 31.4%, 31.1% 낮게 나타나고, 평가지표 균등계수는 1.9%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u-TSN의 교통자료 집계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류부 링크의 특정지점 교통량을 고려하지 못한 기존 방법론에 비해, u-T에서의 링크 특성이 잘 반영된 링크의 대표치라는데 의의 또한 있는바, 설계시간계수 등의 설계분야, 운영 분야 등에 보다 적절한 교통류율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u-Transportation (u-T) 환경은 차세대의 ITS로 간주되는 미래형 교통서비스로서 어디에서나 적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신 교통공간을 의미한다. 그러한 환경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는 기존 I...

      u-Transportation (u-T) 환경은 차세대의 ITS로 간주되는 미래형 교통서비스로서 어디에서나 적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신 교통공간을 의미한다. 그러한 환경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는 기존 ITS에서 교통량 산출 방법을 검토하고, u-T 자료 수집환경(u-TSN)의 자료수집형태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여 ITS의 교통량 산정 결과와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u-T에서 단속류의 교통류율이 ITS보다 3.58%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지표 MARE와 MAE 값이 각각 31.4%, 31.1% 낮게 나타나고, 평가지표 균등계수는 1.9%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u-TSN의 교통자료 집계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류부 링크의 특정지점 교통량을 고려하지 못한 기존 방법론에 비해, u-T에서의 링크 특성이 잘 반영된 링크의 대표치라는데 의의 또한 있는바, 설계시간계수 등의 설계분야, 운영 분야 등에 보다 적절한 교통류율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T (ubiquitous transportation) environment can be envisioned as an advanced version of ITS environment and be expected to provide more advanced transportation service in a ubiquitous manner. As a basic necessity to measure traffic flow in both environments, a flow estimation method was proposed. Flows have been measured in existing ITS and in a new u-T environments and some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the interrupted traffic situation, the flow rate of u-T is 3.58% higher than that in ITS environment. Both MARE and MAE, which were used as measure of effectiveness, in u-T were better since the results are 31.4% and 31.1% lower than in ITS, respectively. Besides the equality coefficient in u-T was 1.9% higher than that in ITS. Such being the case, the flow rate measured in u-T using U-TSN is more reliable and can be expected to be successfully used for transportation system design or traffic operation areas.
      번역하기

      u-T (ubiquitous transportation) environment can be envisioned as an advanced version of ITS environment and be expected to provide more advanced transportation service in a ubiquitous manner. As a basic necessity to measure traffic flow in both enviro...

      u-T (ubiquitous transportation) environment can be envisioned as an advanced version of ITS environment and be expected to provide more advanced transportation service in a ubiquitous manner. As a basic necessity to measure traffic flow in both environments, a flow estimation method was proposed. Flows have been measured in existing ITS and in a new u-T environments and some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the interrupted traffic situation, the flow rate of u-T is 3.58% higher than that in ITS environment. Both MARE and MAE, which were used as measure of effectiveness, in u-T were better since the results are 31.4% and 31.1% lower than in ITS, respectively. Besides the equality coefficient in u-T was 1.9% higher than that in ITS. Such being the case, the flow rate measured in u-T using U-TSN is more reliable and can be expected to be successfully used for transportation system design or traffic operation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기존교통량 산정방법
      • 3. u-T 교통류율 산정 알고리즘 및 적용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기존교통량 산정방법
      • 3. u-T 교통류율 산정 알고리즘 및 적용
      • 4.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로공사, "적정차로수 산정을 위한 설계시간계수 연구" 2007

      2 최기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교통계획기술의 변화상" 한국ITS학회 4 (4): 35-40, 2007

      3 이진호, "운전자 정보제공을 위한 검지기 적정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4 김영호, "연속 교통류에서 검지기 간격과 교통정보 수집주기 결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02

      5 송기욱,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국도에서의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5 (25): 57-65, 2005

      6 문미경, "설계시간교통량 산정방법 개선" 대한교통학회 21 (21): 61-71, 2003

      7 송기욱,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도교통관리시스템에서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 69-74, 2004

      8 건설교통부, "도로교통용량편람" 2004

      9 강연수, "u-Transportation 기반기술개발" 3 (3): 47-60, 2006

      10 Thomas, G.,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ctor location and travel characteristics on arterial streets" 69 (69): 36-42, 1999

      1 한국도로공사, "적정차로수 산정을 위한 설계시간계수 연구" 2007

      2 최기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교통계획기술의 변화상" 한국ITS학회 4 (4): 35-40, 2007

      3 이진호, "운전자 정보제공을 위한 검지기 적정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4 김영호, "연속 교통류에서 검지기 간격과 교통정보 수집주기 결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02

      5 송기욱,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국도에서의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5 (25): 57-65, 2005

      6 문미경, "설계시간교통량 산정방법 개선" 대한교통학회 21 (21): 61-71, 2003

      7 송기욱,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도교통관리시스템에서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 69-74, 2004

      8 건설교통부, "도로교통용량편람" 2004

      9 강연수, "u-Transportation 기반기술개발" 3 (3): 47-60, 2006

      10 Thomas, G.,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ctor location and travel characteristics on arterial streets" 69 (69): 36-42, 1999

      11 Oh, "Optimal detector location for estimating link travel speed in urban arterial roads" 2003

      12 Bekir Bartin, "A Clustering Bas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Optimal Roadway Configuration of Detectors for Travel Time Estimation"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 (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