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생온도에 따른 90 MPa 수준의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of 90 MPa According to Curing Temp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4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s with different curing condition of 90 MPa of compressive strength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ed normal and low 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tensile steel amo...

      In this study,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s with different curing condition of 90 MPa of compressive strength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ed normal and low 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tensile steel amount an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8 beam members were fabricated and flexural tests were carried out. Crack spacing, load-deflection relation, load-strain relation and ductility index were determin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s the amount of rebar increases, the number of cracks increases and the crack spacing decreases. The higher the concrete strength, the smaller the number of cracks, but the effec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amount of reba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proposed average crack spacing in the design criteria,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lightly larger than the results of the proposed formula, but the proposed formula does not reflect the concrete strength and curing conditions. The ductility index of normal temperature cured members was 3.36~6.74 and the ductility index of low temperature cured members was 1.51~2.82. The behavior of low temperature cured member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normal temperature cured membe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uctility index with the existing studie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members, the ductility index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 was larger than the ductility index of the ordinary strength concrete of the previou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more specific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양생조건이 다른 압축강도 9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정상 및 저온 양생 조건, 인장 철근량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준 등...

      본 연구에서는 양생조건이 다른 압축강도 9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정상 및 저온 양생 조건, 인장 철근량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준 등을 고려하였다. 8개의 보 부재를 제작하여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균열 간격, 하중-처짐 관계, 하중-변형률 관계 및 연성지수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철근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 개수는 증가하고 균열간격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콘크리트 강도가 높을수록 균열개수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 효과는 철근량보다는 상당히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설계기준에서 제안된 평균 균열 간격 식과 비교한 결과, 실험결과가 제안식의 결과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제안식은 콘크리트 강도 및 양생조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정상 양생된 부재들의 연성지수는 3.36~6.74이며, 저온 양생된 부재들의 연성지수는 1.51~2.82으로 나타나, 저온 양생된 부재들의 거동은 정상 양생된 부재들에 비해서 연성도지수가 저감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연성지수를 비교한 결과,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연성지수는 선행연구의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연성지수 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더 구체적인 결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재성, "혼화재 치환율을 고려한 성숙도 기반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평가 모델"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8 (18): 82-89, 2014

      2 홍건호, "고강도콘크리트와 고강도철근을 사용한 RC 보의 휨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27 (27): 49-56, 2011

      3 Rashid, M. A., "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in Flexure" 102 (102): 462-471, 2005

      4 Russell, H. G., "Optimized Sections for High-Strength Concrete Bridge Girders" FHW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56-, 1997

      5 장일영, "On the Duct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한국콘크리트학회 2 (2): 115-122, 2008

      6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aterial property characteriz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23-49, 2006

      7 Russell, H. G., "High-Performance Concrete-From Buildings to Bridges" 19 (19): 62-63, 1997

      8 Sarkar, S., "High Strength Concrete: an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StrengthRC Beams" 75 (75): 115-121, 1997

      9 Pam, H. J.,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of Reinforced Normal-an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146 (146): 381-389, 2001

      10 Mansur, A. A.,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94 (94): 663-674, 1997

      1 문재성, "혼화재 치환율을 고려한 성숙도 기반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평가 모델"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8 (18): 82-89, 2014

      2 홍건호, "고강도콘크리트와 고강도철근을 사용한 RC 보의 휨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27 (27): 49-56, 2011

      3 Rashid, M. A., "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in Flexure" 102 (102): 462-471, 2005

      4 Russell, H. G., "Optimized Sections for High-Strength Concrete Bridge Girders" FHW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56-, 1997

      5 장일영, "On the Duct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한국콘크리트학회 2 (2): 115-122, 2008

      6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aterial property characteriz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23-49, 2006

      7 Russell, H. G., "High-Performance Concrete-From Buildings to Bridges" 19 (19): 62-63, 1997

      8 Sarkar, S., "High Strength Concrete: an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StrengthRC Beams" 75 (75): 115-121, 1997

      9 Pam, H. J.,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of Reinforced Normal-an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146 (146): 381-389, 2001

      10 Mansur, A. A.,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94 (94): 663-674, 1997

      11 Korea Concrete Institute, "Design Code for Concrete Structurure" Gimundang 2012

      12 양근혁, "Comparison of Strength–Maturity Models Accounting for Hydration Heat in Massive Walls" 한국콘크리트학회 10 (10): 47-60, 2016

      13 Comité Euro-Internationale du Béton, "CEB-FIP Model Code- Design Code; Comité Euro-International du Béton, CEB Bulletin d’ Information" Thomas Telford 124-125, 1978

      14 ACI Committe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2)" American Concrete Institute 318-, 2002

      15 Wu, Z.,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Members Under Pure Flexure and Axial-Flexural Loading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6

      16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s Official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2-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구조물진단학회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KCI등재
      2007-04-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9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