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5838
2015
Korean
학술저널
99-137(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
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그림은“남성상”과 여성상”,“교합상”과“임산상”,“수간상”으로 나누어 보았고 신앙의식 을 가름해 볼 제의그림을 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 그림들은‘수렵과 어로’,‘목축과 농경’의“생업활동”그림과 祈子 등“생식행위”의 그 림 중에서 주로 등장하는데 집단의 번성과 풍요와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생식주술로 의례를 행 했던 제의물이다. 이 같이 그림 제작의 배경에 샤머니즘 사유세계의 의식을 폭넓게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 타난 그림 양상에 있어서도 범세계적 지역 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시기가 지나면서 신앙 의식이 깊게 고도화됨에 따라 그림 형식에도 변화가 왔는데 초기 구상적 실상묘사의 회화성 그 림에서 후기 상징적 추상묘사의 도형그림으로 점차 遷移되어 갔다. 또한 철기 도구를 사용하면 서부터 만기에는 형상축약의 세선 그림이 새겨지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여성 그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lect only sexual figures on petroglyph developed based upon anthropomorphic figures distributed in 33 countries (8 nations Asia, 8 nations in America, 8 nations in Europe, nine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arranged according to its specific...
Select only sexual figures on petroglyph developed based upon anthropomorphic figures distributed in 33 countries (8 nations Asia, 8 nations in America, 8 nations in Europe, nine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arranged according to its specific characters. As for the figures, divided “male figure”, “female figure”, “coitus figure”, “Pregnancy and Delivery Figure”, “ bestiality figure” and as for the religious figures, describing religious ceremony, divided seperately. These figures appeared mainly in the figures of occupational activities such as hunting and fishing, pasturage and agriculture, and coitus activities praying for their son, and all of these interpreted as religious materials praying for prosperity, abundance and safety for their community. As for the background in creating petroglyph, being having globally in common, shamanic speculative consciousness world, the appearance of the figures presented were not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 regions of the world researched. Only but, passing times,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developed profoundly, the style of figures changed, such as depicting figures to symbolic and abstractive figures. And also, from the time of using iron implement, in later time, fine-lined figures engraved. And these phenomena were remarkable for the figures depicing female.
목차 (Table of Contents)
선사시대 바위 그림에 표현된 사람 형태에 대한 일 고찰 - 몽 베고(mont Bego), 발 카모니카(Val Camonica), 타실리의 바위 그림을 중심으로 -
석검형ㆍ석촉형ㆍ검파형 암각화의 도상과 상징 - 남성과 여성의 성적 표현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