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법은 자본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불공정거래행위제도는 형사처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56448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66(2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본시장법은 자본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불공정거래행위제도는 형사처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상 ...
자본시장법은 자본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불공정거래행위제도는 형사처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상 구성요건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어, 시장질서를 훼손하는 거래를 하더라도 그 행위자에게 책임을 묻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2014년 개정 자본시장법은 종래 불공정거래의 유형에 대한 규제 이외에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내용을 도입하였다. 즉 정보이용형 교란행위의 경우 종래 규제에 비해 규제대상자 및 대상정보를 확장하였고, 시세관여형 교란행위의 경우도 기존 규제와는 달리 위법행위의 목적성을 요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서, 이러한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해서는 과징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개정 자본시장법에 도입된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와 함께, 주요 내용과 쟁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정보이용형 교란행위에 있어서 ⅰ) 규제대상자의 범위와 관련하여 미공개정보의 수령자 및 전득자, 직무관련 정보생산자 및 정보취득자, 부정한 방법에 의한 정보취득자 등의 개념과 적용범위 문제, ⅱ) 규제대상 정보의 요건으로서 중대성과 미공개성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시세관여형 교란행위에 있어서 ⅰ) 허수호가 제출, ⅱ) 가장매매, ⅲ) 통정매매, ⅳ) 풍문유포 등 부당시세 관여행위의 개념과 쟁점을 살펴보았다. 특히 알고리즘에 의한 고빈도매매를 시장질서 교란행위의 한 유형으로 보아 규제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pital markets act regulates unfair transactions in order to secure soundness and reliability of the capital market. The problem is that the present regulations against unfair transactions are based on criminal punishments, and thus the applicati...
The capital markets act regulates unfair transactions in order to secure soundness and reliability of the capital market. The problem is that the present regulations against unfair transactions are based on criminal punishments, and thus the application of such regulations needs a strict requisit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As the case stands, it is difficult to hold unfair traders responsible though they deranged the market order. At this, the capital market act was amended in 2014 with an addition of regulations against market abuse. As regards a disturba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he amended law further expanded people and information to be subject to regulation. Regarding a disturbance in the market value, it does not factor in the purpose of the illegal act and imposes a fine on disturbance.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s about the regulations introduced into the amended law, through a comparative approach, and looked into the contents. As regards a disturba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it first reviewed i) the concret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subsequent purchaser, the job-related information producer and the information acquisitor, and the unlawful acquisitor. In addition, it reviewed ii) the issues about gravity and confidentiality, i.e., the requisites for regulation. The issues about disturbance in the market value were i) imaginary bidding, ii) wash sale, iii) matched order, and iv) rumoring. In particular, it reviewed whether high-frequent transactions analyzed by an algorithm could be regarded as a market abuse and be subject to regul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삼주, "최근 미국판례상 내부자거래 요건의 동향 - 연방 제11순회구고등법원판결(SEC v. Yun사건)과 관련하여 -"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893-918, 2007
2 박삼철, "증권거래법상의 내부자거래규제에 관한 연구 : 제188조의 2를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3 김학석,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SFL그룹 2015
4 임재연, "자본시장법과 불공정거래" 박영사 2014
5 박임출, "자본시장법 제178조의 ʻ부정거래ʼ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1.10.27. 선고 2011도8109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4 (14): 353-389, 2013
6 안수현,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78조의2, 온주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7 박임출, "일본의 내부자거래 규제의 강화와 법적 시사점" 한국증권법학회 15 (15): 283-316, 2014
8 구로누마 에츠로우, "일본 금융상품거래법 입문" 피앤씨미디어 2015
9 안수현, "외국의 불공정거래규제와 입법동향" 16 (16): 2006
10 김정수, "알고리즘매매와 고빈도매매의 글로벌 규제동향" 14 (14): 2013
1 하삼주, "최근 미국판례상 내부자거래 요건의 동향 - 연방 제11순회구고등법원판결(SEC v. Yun사건)과 관련하여 -"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893-918, 2007
2 박삼철, "증권거래법상의 내부자거래규제에 관한 연구 : 제188조의 2를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3 김학석,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SFL그룹 2015
4 임재연, "자본시장법과 불공정거래" 박영사 2014
5 박임출, "자본시장법 제178조의 ʻ부정거래ʼ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1.10.27. 선고 2011도8109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4 (14): 353-389, 2013
6 안수현,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78조의2, 온주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7 박임출, "일본의 내부자거래 규제의 강화와 법적 시사점" 한국증권법학회 15 (15): 283-316, 2014
8 구로누마 에츠로우, "일본 금융상품거래법 입문" 피앤씨미디어 2015
9 안수현, "외국의 불공정거래규제와 입법동향" 16 (16): 2006
10 김정수, "알고리즘매매와 고빈도매매의 글로벌 규제동향" 14 (14): 2013
11 박선종, "알고리즘 賣買 및 DMA에 관한 硏究" 한국증권법학회 10 (10): 221-243, 2009
12 금융위원회, "안전한 자본시장 이용법 - 시장질서교란행위 사례와 예방 -"
13 금융위원회, "안전한 자본시장 이용법 - 꼭 알아야할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제도 해설 -"
14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도입과 관련한 몇 가지 쟁점들"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24, 2015
15 박순철,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의 이해" 박영사 2010
16 장근영,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의 미적용행위에 관한 고찰 -내부자거래유보와 대체적 내부자거래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5 (5): 259-300, 2004
17 박임출, "내부자거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8 양기진, "고빈도매매의 규제동향 및 규제방안" 한국증권법학회 14 (14): 85-114, 2013
19 山下友信, "金融商品取人法槪說" 有斐閣 2010
20 近蕂光男, "金融商品取人法入門" 日本經濟新聞社 2009
21 河本一郞, "逐條解說 證券取引法" 商社法務 2008
22 姜大燮, "證券市場에서의 不實公示로 인한 損害賠償責任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3 神崎克郞, "證券取引法" 靑林書院 2006
24 黒沼悦郎, "論点体系金融商品取引法2" 第一法規 2014
25 Barry Rider, "Market Abuse and Insider Dealing" Tottel Publishing 2009
26 William K. S. Wang, "Marc I. Steinberg, Insider trad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7 R.C.H. Alexander, "Insider Dealing and Money Laundering in the EU: Law and Regulation" Ashgate Publishing 2007
28 맹수석, "ELS투자에 있어서 증권회사의 고객보호의무" 법무부 (72) : 151-178, 2015
29 Barry Johnson, "Algorithmic Trading and DMA: An Introduction to Direct Access Trading Strategies" 4Myeloma Press 2010
30 성희활, "2014년 개정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제 도입의 함의와 전망"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35-174,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9 | 0.84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