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W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개방형 관점에서의 산업클러스터 사례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2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SW industry is the center of digital economy and it is very important industry in terms of market scale and ripple effect. Due to the suffering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W industry and the disproportion of manpower suppl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d SW manpower, it is hard to create jobs of high quality for the SW professionals who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vergence industrie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benchmarking cases of successful foreign industrial innovative cluster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SW industry and to create high quality SW jobs. First, the comparison criteria are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on of high quality SW jobs through an analysis of SW environment by using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techniqu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industrial cluster cases in terms of SW job cre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desirable implications of the cluster of SW industry that can generate SW jobs continuously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 environment infrastructur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meaningful direction of SW clusters for job creation, and solve the business inconsistency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core competence manpower.
      번역하기

      Currently, the SW industry is the center of digital economy and it is very important industry in terms of market scale and ripple effect. Due to the suffering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W industry and the disproportion of manpower supply du...

      Currently, the SW industry is the center of digital economy and it is very important industry in terms of market scale and ripple effect. Due to the suffering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W industry and the disproportion of manpower suppl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d SW manpower, it is hard to create jobs of high quality for the SW professionals who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vergence industrie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benchmarking cases of successful foreign industrial innovative cluster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SW industry and to create high quality SW jobs. First, the comparison criteria are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on of high quality SW jobs through an analysis of SW environment by using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techniqu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industrial cluster cases in terms of SW job cre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desirable implications of the cluster of SW industry that can generate SW jobs continuously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 environment infrastructur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meaningful direction of SW clusters for job creation, and solve the business inconsistency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core competence man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국내 SW산업 일자리 창출 현황과 FGI를 통한 문제점 도출
      • 4. 주요국의 혁신 클러스터 사례 비교분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국내 SW산업 일자리 창출 현황과 FGI를 통한 문제점 도출
      • 4. 주요국의 혁신 클러스터 사례 비교분석
      • 5. 해외 주요 혁신 클러스터 핵심성공 요인(CSF)
      • 6.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응도, "한국 ICT서비스산업의 개방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 32 (32): 175-192, 2015

      2 최계영, "창조경제와 IC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3-03, 2013

      3 장재홍, "지역혁신정책과 지역균형발전 간의 관계 분석 및 정책 대응" 2005

      4 "중국통계연감"

      5 "제3차 「정보화촉진 기본계획안」2013~2017" 정보통신부 2013

      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현황 및 실태분석연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협의회 2012

      7 "인도와 중국의 IT 정책 및 현황분석" 한국전산원 2006

      8 "인도시장의 특성 및 진출유망분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6

      9 "실리콘밸리 산업동향" 한국 무역 협회 2015

      10 "소프트웨어산업 연간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1 김응도, "한국 ICT서비스산업의 개방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 32 (32): 175-192, 2015

      2 최계영, "창조경제와 IC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3-03, 2013

      3 장재홍, "지역혁신정책과 지역균형발전 간의 관계 분석 및 정책 대응" 2005

      4 "중국통계연감"

      5 "제3차 「정보화촉진 기본계획안」2013~2017" 정보통신부 2013

      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현황 및 실태분석연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협의회 2012

      7 "인도와 중국의 IT 정책 및 현황분석" 한국전산원 2006

      8 "인도시장의 특성 및 진출유망분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6

      9 "실리콘밸리 산업동향" 한국 무역 협회 2015

      10 "소프트웨어산업 연간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11 동도원, "선진국의 혁신 클러스터"

      12 이경남, "방송통신정책 24-16"

      13 "다롄시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개발 지수"

      14 "다롄시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보고서"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2011

      15 장시영, "기업간 관계요인이 협업적 IT 활동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과학회 23 (23): 1-16, 2006

      16 "글로벌 창업 동향 보고서" 창업진흥원 2015

      17 "객관적 산업기술 혁신지표 개발을 위한 예비적 검토" 한국 산업기술진흥원 2011

      18 복득규, "개방형 혁신의 확산과 국가혁신시스템" 삼성경제연구소 2007

      19 김석관,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09-317, 2008

      20 도성정,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과학회 34 (34): 27-45, 2017

      21 "http://www.stpi.in"

      22 "http://www.oulu.com"

      23 "http://www.kotra.com"

      24 "http://www.kista.com"

      25 "http://en.wikipedia.org/wiki/Silicon_Valley"

      26 Goodland, R., "Universal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the Principle of Integrity" 5 : 102-124, 1995

      27 Christensen, J. F., "The industrial dynamics of Open Innovation-Evidence from the transformation of consumer electronics" 34 : 1533-1549, 2005

      28 Chesbrough, H. W., "The era of open innovation" 44 (44): 35-34, 2003

      29 "The business of business is business"

      30 GRI, "The Policy Issues of Gwanggyo Technovalley and its Operational Strategy" GRI 29-49, 2008

      31 Khator, R., "The New Paradigm : From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Administration" 21 (21): 1777-1801, 1998

      32 Putnam, R.D.,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33 DTI., "Social Enterprise : a Strategy of Success"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02

      34 "Silicon Valley Index"

      35 "Silicon Valley Index"

      36 "SW인력현황조사" 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 2015

      37 노규성, "SW산업의 일자리 창출역량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41-47, 2012

      38 고상원, "SW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보통부 2007

      39 "SW산업 주요통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40 "SW산업 연간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5

      41 임규건, "SW사업자 신고제도 실태조사를 통한 신고제도 절차 및 활용 개선방안의 도출" 한국IT서비스학회 5 (5): 83-98, 2006

      42 임규건, "SW기반 일자리 창출효과모델 연구" 530-531, 2014

      43 Westra, L., "Perspectives on Ecological Integrit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7-108, 1995

      44 Lichtenthaler, U., "Open Innovation in Practice :An Analysis of Strategic Approaches to Technology Transactions" 55 (55): 148-157, 2008

      45 Chesbrough, H. W., "Open Innovation : Researching a New Paradigm"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6 OEC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47 OEC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48 Lichtenthaler, U., "Integrated Roadmaps for Open Innovation" 51 (51): 45-49, 2008

      49 임규건, "IT 스킬 표준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 6 (6): 81-97, 2007

      50 이경남, "ICT 인력 고용 현황 및 시사점"

      51 Porter, M. E., "From Economic Development Theory to Action" The Process of Cluster Upgrading 2001

      52 Porter, M. E.,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76 (76): 77-90, 1998

      53 Dyllick, T., "Beyond the business case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54 김정호,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al agricultural clusters"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55 Gogyua, "A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ISMS)certification of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Net Focus 2010

      56 "2008년도 IT서비스산업 시장 및 기술전망"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3 0.99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