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95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상커뮤니티가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의 주요한 동인이 되고 있음에도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대표적 성과변수인 사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일부요인들에 대해 진행되었으나 영향요인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포함된 영향요인은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개인특성, 유용성, 신뢰, 몰입 등 5가지 변수이며 성과변수로서는 가상공동체의식, 충성도, 구매의도 등 3가지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가상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2개의 유효한 응답설문으로 LISREL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벚 개인특성이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들로서 유용성, 신뢰, 몰입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몰입과 충성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다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가 모두 지지되었지만, 성과변수들 중 가상공동체의식의 경우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번역하기

      가상커뮤니티가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의 주요한 동인이 되고 있음에도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

      가상커뮤니티가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의 주요한 동인이 되고 있음에도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대표적 성과변수인 사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일부요인들에 대해 진행되었으나 영향요인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포함된 영향요인은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개인특성, 유용성, 신뢰, 몰입 등 5가지 변수이며 성과변수로서는 가상공동체의식, 충성도, 구매의도 등 3가지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가상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2개의 유효한 응답설문으로 LISREL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벚 개인특성이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들로서 유용성, 신뢰, 몰입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몰입과 충성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다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가 모두 지지되었지만, 성과변수들 중 가상공동체의식의 경우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irtual commun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and has been an important motive of using internet to Internet users, but very few attempts have been done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influencing factors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the comprehensive studies have never been don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model and verifying empirically. This study proposed five influencing factors(Virtual Community Operational factor, Characteristics of Users, Usefulness, Trust, Commitment) that affect virtual community success and three success factors(Sense of Virtual Community, Loyalty, Purchasing Intention) by carrying out literature review extensively and suggest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were empirically valida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92 users of the existing virtual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Virtual Community Operational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Virtual Community Success. Also, it was shown that the intervening effects of Usefulness, Trust and Commi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Loyal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t turned out that the causality among success variables of Virtual Community was supported, but that sense of Virtual Community was required to be measured by new measurements.
      번역하기

      The virtual commun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and has been an important motive of using internet to Internet users, but very few attempts have been done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Although many studies...

      The virtual commun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and has been an important motive of using internet to Internet users, but very few attempts have been done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influencing factors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the comprehensive studies have never been don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model and verifying empirically. This study proposed five influencing factors(Virtual Community Operational factor, Characteristics of Users, Usefulness, Trust, Commitment) that affect virtual community success and three success factors(Sense of Virtual Community, Loyalty, Purchasing Intention) by carrying out literature review extensively and suggest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were empirically valida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92 users of the existing virtual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Virtual Community Operational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Virtual Community Success. Also, it was shown that the intervening effects of Usefulness, Trust and Commi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Loyal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t turned out that the causality among success variables of Virtual Community was supported, but that sense of Virtual Community was required to be measured by new measur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모형 도출 및 가설 설정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모형 도출 및 가설 설정
      • 4. 연구 설계 및 방법
      • 5. 가설의 검증 및 결과분석
      • 6.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커뮤니티 요소를 고려하는 웹사이트평가" 17 (17): 2002

      2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과 개인 특성이 사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2003.

      3 "웹 이용자들간 정보 획득 차이에 관한 연구" 1998.

      4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공동체의식이 웹사이트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2 (32): 1695-1713, 2003

      5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동체의식과 관계의 질, 고객충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04.

      6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몰입과 중독이 사용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32 (32): 1479-1501, 2003

      7 "가상공동체에서 매개 변수로서의 몰입의 역할" 6 (6): 47-63, 2004

      8 "가상 커뮤니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험적 연구" 2001.

      9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27 (27): 51-90, 2003

      10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27 (27): 51-90, 2003

      1 "커뮤니티 요소를 고려하는 웹사이트평가" 17 (17): 2002

      2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과 개인 특성이 사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2003.

      3 "웹 이용자들간 정보 획득 차이에 관한 연구" 1998.

      4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공동체의식이 웹사이트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2 (32): 1695-1713, 2003

      5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동체의식과 관계의 질, 고객충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04.

      6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몰입과 중독이 사용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32 (32): 1479-1501, 2003

      7 "가상공동체에서 매개 변수로서의 몰입의 역할" 6 (6): 47-63, 2004

      8 "가상 커뮤니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험적 연구" 2001.

      9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27 (27): 51-90, 2003

      10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27 (27): 51-90, 2003

      11 "Toward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munity" 1963.

      12 "The Experienced "Sense" of a Virtual Community" 35 (35): 65-79, 2004

      13 "The Effects of Pho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54 : 69-82, 1990

      14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13 (13): 319-340, 1989

      15 "Internet World: Hosting Web Communities" Wiley Computer Publishing 1998.

      16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1999.

      17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58 iss. 2 : 1994-, pp1-19.

      18 "Community Studies: An Introduction to the Sociology of the Local Community" 1972.

      19 "Community Building on the Web-secret Strategies for Successful Online communities" Peachpit Press 2000.

      20 "A Review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1 1.28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