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와 학생의 지리교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시각장애학교에서의 지리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첫째, 지리교과에 대한 시각장애학교 지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00876
2003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와 학생의 지리교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시각장애학교에서의 지리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첫째, 지리교과에 대한 시각장애학교 지리...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와 학생의 지리교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시각장애학교에서의 지리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첫째, 지리교과에 대한 시각장애학교 지리교과 지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둘째, 지리교과에 대한 시각장애학교 학생의 인식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리교과를 지도하는 교사는 대학에서 지리를 전공하거나 부전공한 교사가 한 명도 없고, 중학부 사회1 과목을 포함하여 5과목 이상을 지도하는 교사가 많았다. 둘째, 학생들이 지리교과에서 가장 먼저 연상하는 것은 지도가 가장 많다. 셋째, 시각장애학교의 교과서가 정안 학교의 묵자 교과서와 동일한 것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동일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저시력학생의 현행 묵자 교과서에 대한 인식에서는 확대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의 시각장애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한 확대 HOME의 적용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