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톨 페스큐의 성숙종자로부터 효율적인 캘러스 배양 및 식물체 재분화 = Efficient Callus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0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seed-derived calli was established. MS medium containing 6 mg/L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0.1 mg/L benzyladenine (BA) were optimal fo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from mature seed and had a strong effect on successive plant regeneration. The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above 50% was observed when embryogenic calli induced in this medium were transferred to N6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2,4-D and 3 mg/L BA. Among several basic media, MS and N6 medium were optimal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respectively. 'Kentucky-31' showed to have high frequencies of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up to 58.3 and 50%, respectively. Addition of sucrose to the regeneration medium as a carbon source increased regeneration frequency up to 55%. A short tissue culture period and high-frequency regeneration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olecular breeding of tall fescue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번역하기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seed-derived calli was established. MS medium containing 6 mg/L 2,4-dichlorophenoxy...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seed-derived calli was established. MS medium containing 6 mg/L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0.1 mg/L benzyladenine (BA) were optimal fo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from mature seed and had a strong effect on successive plant regeneration. The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above 50% was observed when embryogenic calli induced in this medium were transferred to N6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2,4-D and 3 mg/L BA. Among several basic media, MS and N6 medium were optimal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respectively. 'Kentucky-31' showed to have high frequencies of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up to 58.3 and 50%, respectively. Addition of sucrose to the regeneration medium as a carbon source increased regeneration frequency up to 55%. A short tissue culture period and high-frequency regeneration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olecular breeding of tall fescue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톨 페스큐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배발생 캘러스유도조건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6 mg/L 2,4-D와 0.1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3 mg/L BA가 첨가된 N6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50% 이상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기본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캘러스유도에는 MS배지가, 식물체 재분화에는 N6배지가 효과적이었다. 품종간 배발생 캘러스의 형성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은 Kentucky-31 품종이 각각 58.3%와 52%로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어 품종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첨가해주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55%로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단기간 고효율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톨 페스큐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배발생 캘러스유도조건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6 mg/L 2,4-D와 0.1 mg/L BA가 ...

      톨 페스큐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배발생 캘러스유도조건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6 mg/L 2,4-D와 0.1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3 mg/L BA가 첨가된 N6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50% 이상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기본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캘러스유도에는 MS배지가, 식물체 재분화에는 N6배지가 효과적이었다. 품종간 배발생 캘러스의 형성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은 Kentucky-31 품종이 각각 58.3%와 52%로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어 품종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첨가해주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55%로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단기간 고효율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