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죽음’ = Kim Soo-young Poetry and ‘Dea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7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수영은 시작 초기부터 시작 말년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대한 사유를 거두지 않았다. 김수영 시에서 죽음은 시의 제재, 시의 주체, 언어의 문제에까지 관련되고 있는데, 대체로 다음 세 가지...

      김수영은 시작 초기부터 시작 말년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대한 사유를 거두지 않았다. 김수영 시에서 죽음은 시의 제재, 시의 주체, 언어의 문제에까지 관련되고 있는데, 대체로 다음 세 가지 모습을 지니고 있다.
      첫째, 삶에 대한 각성의 계기이다. 이 점은 김수영의 초기시 <공자의 생활난>에서부터 잘 나타났다. 메멘토 모리, 즉 죽음을 기억하라는 명제를 거론하면서 김수영은 각성을 내세웠으며, <눈>에서도 시인이 가져야 할 자세로 죽음을 통한 각성을 들었다.
      둘째, 새로운 생성의 계기이다. <구라중화(九羅重花)>에서 삶과 죽음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거듭된 죽음을 통한 생성은 시에도 적용되는데, 시의 내용과 형식 역시 죽음을 통해 새로워진다. 시의 모더니티도 이 과정을 거쳐 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공동체를 향하고 있다. <말>에서 시의 주체는 죽음을 통해 ‘나’의 한계를 넘어서고 언어 역시 죽음을 통해 ‘나’의 언어를 넘어서며 타자로, 공동체로 나아간다.
      김수영은 죽음에 대한 세 가지 관점에 기초함으로써, 현대시의 모더니티를 말할 수 있었고, 참여시를 내세울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2 강영계, "죽음학 강의" 새문사 2012

      3 P. 아리에스, "죽음의 역사" 동문선 1997

      4 김상환, "세계의 문학 70" 199-225, 1993

      5 김명인,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6 정명환, "문학을 찾아서" 민음사 1994

      7 박군석,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한국문학회 (64) : 119-168, 2013

      8 황동규,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9 조현일, "김수영의 모더니티관에 대한 연구-트릴링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5 : 97-128, 1998

      10 이건제, "김수영에 나타나는 ‘죽음’ 의식:그의 시작을 중심으로" 5 : 74-96,

      1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2 강영계, "죽음학 강의" 새문사 2012

      3 P. 아리에스, "죽음의 역사" 동문선 1997

      4 김상환, "세계의 문학 70" 199-225, 1993

      5 김명인,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6 정명환, "문학을 찾아서" 민음사 1994

      7 박군석,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한국문학회 (64) : 119-168, 2013

      8 황동규,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9 조현일, "김수영의 모더니티관에 대한 연구-트릴링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5 : 97-128, 1998

      10 이건제, "김수영에 나타나는 ‘죽음’ 의식:그의 시작을 중심으로" 5 : 74-96,

      11 이영준, "김수영과 한국전쟁-“민간 억류인”이 달나라에서 살아남기" 한국시학회 (67) : 105-150, 2021

      12 이영준, "김수영 전집 2" 민음사 2018

      13 이영준, "김수영 전집 1" 민음사 2018

      14 맹문재, "김수영 시인의 연보 고찰 (1) ― 출생에서부터 일본 유학까지" 한국시학회 (67) : 39-72, 2021

      15 김유중, "김수영 시의 모더니티(2)-‘죽음’의 한 연구" 24 : 15-348, 1999

      16 신형철, "김수영 시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7 이미순,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질병의 양상과 의미" 한국현대문학회 (41) : 141-172, 2013

      18 In-Seok Bang, "‘Love’ and ‘Death’ in the literature of Kim Soo-young"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61 : 217-240, 2019

      19 Mysoon Lee, "Kim Soo-young Poetics and ‘death’:Centered on Maurice Blanchot’s Influence"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RFK) null (null): 329-351, 2011

      20 최원식, "50년 후의 시인 : 김수영과 21세기" 도서출판 비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