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추적조사된 대구시내 일부 병원분만 산모에서 모유수유중단 예측변수 = Predictors of breast-feeding discontinuation in some followed-up hospital-delivered mo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7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유수유를 시작하지 않는 산모의 특성과 모유수유 중단을 예측해주는 특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1년간 매달 전화면담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등록대상자는 대구시의 대학병원 산부인...

      모유수유를 시작하지 않는 산모의 특성과 모유수유 중단을 예측해주는 특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1년간 매달 전화면담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등록대상자는 대구시의 대학병원 산부인과와 개업산부인과 각각 1개소에서 1991년 9월부터 11월까지 분만한 산모로서 최종분석에 이용된 자는 대학병원에서 166명, 개업산부인과에서 316명으로 총 482명이었다. 모유수유 중단은 고형식 유무에 관계없이 100% 인공수유로 전환하여 1주일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7.3세(표준편차 3.2)였다. 모유수유를 중단한 산모와 지속한 산모간의 특성차이는 다중지수회귀분석시 출신지, 직업, 출산방법, 모성의 건강을 위해 좋다고 생각되는 수유방법 등이었다. 한 달 이상 모유수유를 지속한 242명의 산모를 추적조사시에 모유수유 중단의 중앙값은 5개월이었으며 추적 대상자의 25%, 75%가 각각 3개월, 9개월에 모유수유를 중단하였다.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로 분석시 9년이하의 교육수준인 산모에 비하여 $10\sim12$년을 교육받은 산모는 2.63배(95% 신뢰구간 $1.50\sim4.60$), 13년 이상의 교육을 받은 산모는 3.55배(95% 신뢰구간 $1.99\sim6.33$)나 모유수유 중단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전업 주부에 비하여 시간제 근무를 하는 주부는 1.99배(95% 신뢰구간 $0.86\sim4.57$) 모유수유 중단의 가능성이 더 높았고 취업 주부는 1.55배(95% 신뢰구간 $0.96\sim2.51$)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모유수유를 시작하지 않는 것과 관련된 변수와 모유수유 중단과 관련된 변수들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주며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 역시 출산 후 시기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followed prospectively some hospital-delivered mother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ose not initiated breast-feeding and predictors of breast-feeding discontinuation in monthly telephone interviews. Recruits were composed of 482 mothers who del...

      We followed prospectively some hospital-delivered mother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ose not initiated breast-feeding and predictors of breast-feeding discontinuation in monthly telephone interviews. Recruits were composed of 482 mothers who delivered their babies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one OB/GYN clinic in September to November 1991. Breast-feeding discontinuation was defined as switch to 100% formula lasting more than one week regardless of solid foods.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27.3 years of age(standard deviation 3.2).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native place, occupation, method of delivery and method of feeding considered to be better for matern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between initiators and non-initiators of breast feeding. In starting cohort(N=242) of those initiated breast-feeding, that median of breast-feeding discontinuation were 5 months and 25th and 75th percentiles were 3 and 9 months respectively. In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mothers with $10\sim13$ years of education were 2.63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sim4.60$) more likely to discontinue than those with less than 9 years of education and those with more than 13 years of education were 3.55 time (95% CI $1.99\sim6.33$). Compared with house wife, mothers with part-time jobs were 1.99 times (95% CI $0.86\sim4.57$) more likely to discontinue and those with employed full-time were 1.55 times (95% CI $0.96\sim2.5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ors of initiation and dis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may be different and different target populations should be selected to promote initiation and to prevent dis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according to the period after bir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