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적용되는 여재의 흡착 및 탈착 능력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13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초래하여 자연적인 물순환 시스템의 왜곡, 비점오염물질 유출 증가, 하천의 수질악화 및수생태계 훼손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수리수문학적, 생태학적 및 환경적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을 주요한 대안으로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2012년에 비점오염원관리종합대책을 통하여 LID 기법을 비점오염 관리의 주요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LID 시설은물순환 구축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출저감과 함께 식물, 미생물, 여재에서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기작을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LID 시설에는 다양한 여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여재의 오염물질 저감능력 평가를 위한 흡착과 탈착 특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평가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LID 시설에 사용되는 다양한 여재 중에서 모래, 자갈, 바이오세라믹, 우드칩 및 바텀애쉬에 대하여 중금속(Pb, Cu)에대한 흡착 및 탈착 특성 분석을 통해 여재의 환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에 사용된 모든 여재에서 Pb에대한 흡착 선호도가 Cu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흡착 kinetic 모델에서는 Pseudo second order equation의 적용성이 높게 평가되었고, 흡착등온식 모델에서는 Langmuir-3 isotherm이 높은 적용성을 보였다. 특히 여재 중에서 바이오세라믹과 우드칩의 경우 Pb에 대한 뛰어난 흡착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여재의 탈착 실험 결과 모든 여재에서환경부 유해물질 기준에 초과하지 않아 LID시설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초래하여 자연적인 물순환 시스템의 왜곡, 비점오염물질 유출 증가, 하천의 수질악화 및수생태계 훼손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수리수...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초래하여 자연적인 물순환 시스템의 왜곡, 비점오염물질 유출 증가, 하천의 수질악화 및수생태계 훼손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수리수문학적, 생태학적 및 환경적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을 주요한 대안으로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2012년에 비점오염원관리종합대책을 통하여 LID 기법을 비점오염 관리의 주요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LID 시설은물순환 구축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출저감과 함께 식물, 미생물, 여재에서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기작을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LID 시설에는 다양한 여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여재의 오염물질 저감능력 평가를 위한 흡착과 탈착 특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평가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LID 시설에 사용되는 다양한 여재 중에서 모래, 자갈, 바이오세라믹, 우드칩 및 바텀애쉬에 대하여 중금속(Pb, Cu)에대한 흡착 및 탈착 특성 분석을 통해 여재의 환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에 사용된 모든 여재에서 Pb에대한 흡착 선호도가 Cu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흡착 kinetic 모델에서는 Pseudo second order equation의 적용성이 높게 평가되었고, 흡착등온식 모델에서는 Langmuir-3 isotherm이 높은 적용성을 보였다. 특히 여재 중에서 바이오세라믹과 우드칩의 경우 Pb에 대한 뛰어난 흡착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여재의 탈착 실험 결과 모든 여재에서환경부 유해물질 기준에 초과하지 않아 LID시설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ization causes many environmental, hydrological and ecological problems such as distortion of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increase in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degrada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and damage to the ecosystem. Due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surface by urbanization, developed countries apply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as important alternatives to reduce the impacts of urbanization. In Korea, LID techniques were employed since 2012 in order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ants. LID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removing pollutants using a variety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in plants, microorganisms and filter media with the reduced effluence of stormwater runoff by mimick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These LID facilities are used in a variety of filter media, but an assess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for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evaluation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for the pollutant removal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lter media used in the LID facilities such as sand, gravel, bioceramic, wood chips and bottom ash etc. in reducing heavy metals(Pb, Cu).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affinity for Pb in all filter media was higher than Cu. Pseudo second order equation and Langmuir-3 isotherm are more applicable in the adsorption kinetic model and adsorption isotherm mode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desorption experiment, the filter media does not exceed KSLT which is the hazardous substance leaching limit, showing the capability of the filter media in LID. The bioceramic and woodchip as filter medias were evaluated and exhibited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for Pb.
      번역하기

      Urbanization causes many environmental, hydrological and ecological problems such as distortion of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increase in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degrada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and damage to t...

      Urbanization causes many environmental, hydrological and ecological problems such as distortion of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increase in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degrada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and damage to the ecosystem. Due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surface by urbanization, developed countries apply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as important alternatives to reduce the impacts of urbanization. In Korea, LID techniques were employed since 2012 in order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ants. LID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removing pollutants using a variety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in plants, microorganisms and filter media with the reduced effluence of stormwater runoff by mimick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These LID facilities are used in a variety of filter media, but an assess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for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evaluation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for the pollutant removal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lter media used in the LID facilities such as sand, gravel, bioceramic, wood chips and bottom ash etc. in reducing heavy metals(Pb, Cu).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affinity for Pb in all filter media was higher than Cu. Pseudo second order equation and Langmuir-3 isotherm are more applicable in the adsorption kinetic model and adsorption isotherm mode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desorption experiment, the filter media does not exceed KSLT which is the hazardous substance leaching limit, showing the capability of the filter media in LID. The bioceramic and woodchip as filter medias were evaluated and exhibited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for Pb.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실험 대상 여재의 제원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실험 대상 여재의 제원
      • 2.2 흡착 및 탈착 실험방법
      • 2.3 흡착 Kinetic models
      • 2.4 Langmuir isotherm
      • 3. 연구결과 및 고찰
      • 3.1 시간에 따른 등온흡착 결과
      • 3.2 pH 조건별 여재의 중금속 탈착능 평가
      • 3.3 여재별 흡착 및 탈착 특성 평가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춘기, "흡착제의 흡착특성 규명을 위한 흡착모델의 적용성 평가(1)-흡착등온식을 이용한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3 (33): 606-616, 2011

      2 이채영, "활성탄에서의 아세트산 흡탈착 거동" 한국화학공학회 46 (46): 1130-1134, 2008

      3 전충, "톱밥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유기성자원학회 15 (15): 81-88, 2007

      4 김이형, "주차장 및 교량지역의 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비교 및 동적 EMCs" 한국물환경학회 21 (21): 248-255, 2005

      5 강창국, "도시 및 도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 기술" 한국습지학회 13 (13): 231-242, 2011

      6 김이형,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1-640, 2004

      7 Dow, CL., "Trends in evaporation and Bowen ratio on urbanizing watersheds in Eastern United States" 36 : 1835-1843, 2000

      8 Randall, CW., "The impact of atmospheric contaminants on storm water quality in an urban area" 10 (10): 417-431, 1978

      9 Ministry of Environment(MOE), "The 2nd Phase NPS Management Measures"

      10 Giles, CH., "Studies in adsorption. Part Xl. A system of classification of solution adsorption isotherms and its use in diagmosis of adsorption mechanisms and in measurements of specific surface areas of solids" 10 : 3973-3993, 1960

      1 나춘기, "흡착제의 흡착특성 규명을 위한 흡착모델의 적용성 평가(1)-흡착등온식을 이용한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3 (33): 606-616, 2011

      2 이채영, "활성탄에서의 아세트산 흡탈착 거동" 한국화학공학회 46 (46): 1130-1134, 2008

      3 전충, "톱밥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유기성자원학회 15 (15): 81-88, 2007

      4 김이형, "주차장 및 교량지역의 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비교 및 동적 EMCs" 한국물환경학회 21 (21): 248-255, 2005

      5 강창국, "도시 및 도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 기술" 한국습지학회 13 (13): 231-242, 2011

      6 김이형,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1-640, 2004

      7 Dow, CL., "Trends in evaporation and Bowen ratio on urbanizing watersheds in Eastern United States" 36 : 1835-1843, 2000

      8 Randall, CW., "The impact of atmospheric contaminants on storm water quality in an urban area" 10 (10): 417-431, 1978

      9 Ministry of Environment(MOE), "The 2nd Phase NPS Management Measures"

      10 Giles, CH., "Studies in adsorption. Part Xl. A system of classification of solution adsorption isotherms and its use in diagmosis of adsorption mechanisms and in measurements of specific surface areas of solids" 10 : 3973-3993, 1960

      11 Hewitt, CN., "Removal rates of selected pollutants in the runoff waters from a major rural highway" 26 (26): 311-319, 1992

      12 Kim, LH,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for The 21st centey Eco-Friendly Construction" 41 (41): 47-57, 2008

      13 Helsel, DR., "Land use influences on metals in storm drainage" 51 (51): 709-, 1979

      14 Ministry of Environment(MOE), "Korea Standard Leaching Test"

      15 Franchi, A., "Desorption of cadmium(Ⅱ) from artificially contaminated sediments" 100 : 181-196, 1997

      16 Juang, RS., "Application of the Elovich Equation to the Kinetics of Metal Sorption with Solvent-Impregnated Resins" 36 : 813-820, 1997

      17 Gorme, J. B, "Application of bottom ash as filter media for stormwater treatment facil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18 Kang, HM,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filter media for treating highway stormwater runoff" 821-826,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