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차장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식생체류지 개발 및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13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화에 따른 개발사업은 불투수층을 증가시키며,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도시화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를 이용하여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식생체류지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체류지의 효율 평가를 위하여 test-bed를 구축하였으며, 2013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총 11회 모니터링이수행되었다. 유역면적 대비 식생체류지의 시설면적(SA/CA)이 약 2.2% 임에도 불구하고, 식생체류지 적용 이후 강우시 저류 및 침투량의 증가로 인하여 유출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량 기준으로 유출량 저감을 살펴보면0 mm<R<10 mm의 강우량 범위에서는 전량 침투 및 저류 되었으며, 10 mm<R<20 mm의 강우량 발생시 90% 이상저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 mm 이상의 강우량 발생시에는 70% 이상 저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높은유출저감은 비점오염물질의 저감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입자상 물질, 유기물 및 중금속 등을 약 90% 이상 저감시키는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도시화에 따른 개발사업은 불투수층을 증가시키며,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도시화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는 저영향...

      도시화에 따른 개발사업은 불투수층을 증가시키며,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도시화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를 이용하여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식생체류지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체류지의 효율 평가를 위하여 test-bed를 구축하였으며, 2013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총 11회 모니터링이수행되었다. 유역면적 대비 식생체류지의 시설면적(SA/CA)이 약 2.2% 임에도 불구하고, 식생체류지 적용 이후 강우시 저류 및 침투량의 증가로 인하여 유출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량 기준으로 유출량 저감을 살펴보면0 mm<R<10 mm의 강우량 범위에서는 전량 침투 및 저류 되었으며, 10 mm<R<20 mm의 강우량 발생시 90% 이상저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 mm 이상의 강우량 발생시에는 70% 이상 저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높은유출저감은 비점오염물질의 저감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입자상 물질, 유기물 및 중금속 등을 약 90% 이상 저감시키는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ization increases the impervious cover, which affects the discharge of stormwater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s to the waterbodies.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restore the aqua-eco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Korea MOE introduced the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s on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research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bioretention technology for managing the stormwater runoff from urban areas. The test-bed was established on 2013 up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ollutant and runoff reduction. A total of 11 storm events have been monitored from November 2013 to present. Even though the SA/CA (surface area of bioretention/catchment area) is approximately 2.2%, the facility shows high pollutant and runoff reduction during storm events by increasing retention and infiltration capacities. The bioretention shows a 100% total runoff reduction at 0mm<R<10mm rainfall range and more than 90% of runoff reduction at a rainfall range of 10mm<R<20mm. Due to runoff volume reduction, more than 90%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were also removed by the bioretention.
      번역하기

      Urbanization increases the impervious cover, which affects the discharge of stormwater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s to the waterbodies.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restore the aqua-eco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

      Urbanization increases the impervious cover, which affects the discharge of stormwater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s to the waterbodies.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restore the aqua-eco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Korea MOE introduced the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s on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research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bioretention technology for managing the stormwater runoff from urban areas. The test-bed was established on 2013 up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ollutant and runoff reduction. A total of 11 storm events have been monitored from November 2013 to present. Even though the SA/CA (surface area of bioretention/catchment area) is approximately 2.2%, the facility shows high pollutant and runoff reduction during storm events by increasing retention and infiltration capacities. The bioretention shows a 100% total runoff reduction at 0mm<R<10mm rainfall range and more than 90% of runoff reduction at a rainfall range of 10mm<R<20mm. Due to runoff volume reduction, more than 90%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were also removed by the biore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식생체류지의 설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식생체류지의 설계
      • 2.2 식생체류지의 모니터링 및 분석 방법
      • 3. 연구결과 및 고찰
      • 3.1 천안지역 강우사상 및 식생체류지 모니터링 결과
      • 3.2 식생체류지 조성 후 유출량 저감효과
      • 3.3 식생체류지 조성 후 배출되는 농도변화 및 저감효율 산정
      • 3.4 기존 LID 시설의 SA/CA 대비 오염물질 저감효율비교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장수, "생물 저류 방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청정기술학회 19 (19): 295-299, 2013

      2 김이형, "동적 EMC를 이용한 고속도로 초기우수 처리 기준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94-299, 2006

      3 손현근, "고속도로 영업소 토지이용에서의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한국습지학회 10 (10): 69-75, 2008

      4 김이형,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1-640, 2004

      5 김이형, "강우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유출수의 초기우수 특성 및 기준"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41-646, 2004

      6 Irish, Jr. L. B., "Use of regression models for analyzing highway stormwater loads" 124 (124): 987-993, 1998

      7 Li Liqing, "Urban Stormwater Runoff Nitrogen Composition and Fate in Bioretention Systems, Enviromental" 48 (48): 3403-3410, 2014

      8 Ujevic, I., "Trace metal accumulation in different grain size fraction of the sediments from a semi-enclosed bay heavily contaminated by urban and industrial wastewaters" 34 (34): 3055-3061, 2000

      9 Maltby, L, "The effects of motorway runoff on freshwater ecosystems : 1. Field Study" 14 (14): 1079-1092, 1995

      10 Boxall, ABA., "The characterization and toxicity of sediment contaminated with road runoff" 29 (29): 2043-2050, 1995

      1 이장수, "생물 저류 방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청정기술학회 19 (19): 295-299, 2013

      2 김이형, "동적 EMC를 이용한 고속도로 초기우수 처리 기준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94-299, 2006

      3 손현근, "고속도로 영업소 토지이용에서의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한국습지학회 10 (10): 69-75, 2008

      4 김이형,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1-640, 2004

      5 김이형, "강우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유출수의 초기우수 특성 및 기준"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41-646, 2004

      6 Irish, Jr. L. B., "Use of regression models for analyzing highway stormwater loads" 124 (124): 987-993, 1998

      7 Li Liqing, "Urban Stormwater Runoff Nitrogen Composition and Fate in Bioretention Systems, Enviromental" 48 (48): 3403-3410, 2014

      8 Ujevic, I., "Trace metal accumulation in different grain size fraction of the sediments from a semi-enclosed bay heavily contaminated by urban and industrial wastewaters" 34 (34): 3055-3061, 2000

      9 Maltby, L, "The effects of motorway runoff on freshwater ecosystems : 1. Field Study" 14 (14): 1079-1092, 1995

      10 Boxall, ABA., "The characterization and toxicity of sediment contaminated with road runoff" 29 (29): 2043-2050, 1995

      11 Ministry of Environment(MOE), "The 2nd Phase NPS Management Measures"

      12 Bratieres K., "Nutrient and sediment removal by stormwater biofilters : A large-scale design optimisation study" 42 : 3930-3940, 2008

      13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Monitoring of Road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Demonstration Projec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3

      14 Ministry of Environment(MOE), "Manual for the BMPs Install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15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Low-impact Development: an Integrated Design Approac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1999

      16 Perdikaki, K, "Impact of road run-off on receiving streams in eastern England" 33 (33): 1627-1633, 1999

      17 Deletic, A. B.,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storm runoff form paved areas" 124 (124): 869-879, 1998

      18 Ministry of Environment(MOE), "Environmental law"

      19 Maniquiz, MC, "Diffuse Pollutant Unit Loads of Various Transportation Landuses" 38 : 308-315, 2012

      20 Ministry of Environment(MOE), "Developments of NPS Control and Reduction Technology in Paved 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21 Sansalone J. J., "Characterization of solid and metal element distributions in urban highway stormwater" 36 (36): 155-160, 1997

      22 Hwang, MY, "A Study on the Water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Soil-Treatment and Bioretention Technique by LID Concept" Hoseo University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