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경제제재의 양면성: 대(對)러시아 투자 활성화를 위한 소고 = Double-Sidedness of US Economic San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6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s economic sanctions have dampened Korea’s investment in Russia. Korea’s investment continued to fall from $170 million in 2015 to $40 million in 2019. However, after the economic sanctions, US investment in Russia became rather active. This duality of US economic sanctions stems from the consistent US policy stance that considers corporate consistently interests as the core of foreign policy. The US foreign policy driven by corporate interests was repeated by the large-scale investment in the military industry of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during World War II, the monopoly of US companies with business licenses in Iran, and the increasing investment of US companies in China amid the US-China economic war. After the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the US’ direct investment in Russia has not only increased in both the amount and number of investments, but is dominating other countries. This is the same in portfolio investments such as stocks and bonds, as well as the business of US companies that have actually entered the Russian market.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must actively invest in Russia and advance into business thoroughly focusing on their own interests.
      번역하기

      Russia’s economic sanctions have dampened Korea’s investment in Russia. Korea’s investment continued to fall from $170 million in 2015 to $40 million in 2019. However, after the economic sanctions, US investment in Russia became rather active. T...

      Russia’s economic sanctions have dampened Korea’s investment in Russia. Korea’s investment continued to fall from $170 million in 2015 to $40 million in 2019. However, after the economic sanctions, US investment in Russia became rather active. This duality of US economic sanctions stems from the consistent US policy stance that considers corporate consistently interests as the core of foreign policy. The US foreign policy driven by corporate interests was repeated by the large-scale investment in the military industry of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during World War II, the monopoly of US companies with business licenses in Iran, and the increasing investment of US companies in China amid the US-China economic war. After the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the US’ direct investment in Russia has not only increased in both the amount and number of investments, but is dominating other countries. This is the same in portfolio investments such as stocks and bonds, as well as the business of US companies that have actually entered the Russian market.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must actively invest in Russia and advance into business thoroughly focusing on their own intere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 경제제재로 한국의 대러시아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한국의 투자는 2015년 1억 7천만 달러대에서 계속 하락하여 2019년 4천만 달러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경제제재 이후 미국의 대러시아 투자는 오히려 활성화되고 있다. 미국 경제제재의 이러한 양면성은 기업의 이익을 대외정책의 핵심으로 여기는 미국의 일관된 정책 기조에서 비롯된다. 기업의 이익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미국의 대외정책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소련의 군수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이란에서의 사업 허가권의 미국 기업 독점, 미중 경제 전쟁 속에서도 늘어나는 미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등에서 일관되게 반복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이후 미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는 투자 금액과 건수 양면에서 모두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타국을 압도하고 있다. 이는 주식과 채권 등 포트폴리오 투자에서도, 실제 러시아에 진출한 미국 기업의 사업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된다. 한국 정부와 기업도 철저하게 자국 이익을 중심에 놓고 러시아에 대한 투자와 사업 진출을 적극화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러시아 경제제재로 한국의 대러시아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한국의 투자는 2015년 1억 7천만 달러대에서 계속 하락하여 2019년 4천만 달러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경제제재 이후 미국의 대러시...

      러시아 경제제재로 한국의 대러시아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한국의 투자는 2015년 1억 7천만 달러대에서 계속 하락하여 2019년 4천만 달러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경제제재 이후 미국의 대러시아 투자는 오히려 활성화되고 있다. 미국 경제제재의 이러한 양면성은 기업의 이익을 대외정책의 핵심으로 여기는 미국의 일관된 정책 기조에서 비롯된다. 기업의 이익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미국의 대외정책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소련의 군수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이란에서의 사업 허가권의 미국 기업 독점, 미중 경제 전쟁 속에서도 늘어나는 미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등에서 일관되게 반복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이후 미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는 투자 금액과 건수 양면에서 모두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타국을 압도하고 있다. 이는 주식과 채권 등 포트폴리오 투자에서도, 실제 러시아에 진출한 미국 기업의 사업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된다. 한국 정부와 기업도 철저하게 자국 이익을 중심에 놓고 러시아에 대한 투자와 사업 진출을 적극화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무역협회"

      2 이대식, "줌인러시아2" 삼성경제연구소 2020

      3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4 조영관, "서방의 대러 제재와 러시아 경제 변동"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20

      5 최진형, "대러시아 서방경제제재 근황 및 경제적 영향"

      6 정민현, "대러 경제제재 이후 러시아로의 FDI 순유입 양태 변화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7 김연규, "‘ 美·日·濠 에너지 동맹’ 구축되고 있다"

      8 EY, "Исследование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ривлекательности стран Европы"

      9 EY, "Инвестиции и импорт в Россию: бизнес в условиях неопределен-ности. 4-й ежегодный опрос Американской торговой палаты в России"

      10 EY, "Инвестиции и импорт в Россию: бизнес в условиях неопределен-ности"

      1 "한국무역협회"

      2 이대식, "줌인러시아2" 삼성경제연구소 2020

      3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4 조영관, "서방의 대러 제재와 러시아 경제 변동"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20

      5 최진형, "대러시아 서방경제제재 근황 및 경제적 영향"

      6 정민현, "대러 경제제재 이후 러시아로의 FDI 순유입 양태 변화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7 김연규, "‘ 美·日·濠 에너지 동맹’ 구축되고 있다"

      8 EY, "Исследование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ривлекательности стран Европы"

      9 EY, "Инвестиции и импорт в Россию: бизнес в условиях неопределен-ности. 4-й ежегодный опрос Американской торговой палаты в России"

      10 EY, "Инвестиции и импорт в Россию: бизнес в условиях неопределен-ности"

      11 Ткачёв, Иван, "Инвестиции США в России оказались в 13 раз больше официальных"

      12 "Банк России"

      13 Агеева, Ольга, "Американцы вложились впятеро сильнее азиатов"

      14 Рапоза, Кеннет, "Американские компании в России процветают, что в этом постыдного?"

      15 Дементьев, Иван, "«Роснефть» и GE построили корпус завода винтору-левых колонок для «Звезды»"

      16 Bershidsky, Leonid, "Where Russia’s Foreign Investment Really Comes From"

      17 Terrell, Ellen, "When a quote is not (exactly) a quote: The Business of America is Business Edition. Library of Congress"

      18 Brüggmann, Mathias, "USA wollen Russland sanktionieren – und sind doch größter Investor"

      19 Lapickii, Ivan, "US Sanctions Against Russia: Chronology"

      20 Cheng, Evelyn, "U.S. financial firms like Citi and BlackRock make inroads into the Chinese market"

      21 Disis, Jill, "Trump promised to win the trade war with China. He failed"

      22 Pauwels, Jacques R., "The Myth of the Good War" Lorimer 2015

      23 U.S. Global Investors, "The Contrarian Investment Case for Russian Stocks"

      24 "Statista"

      25 Casella, Bruno, "Looking through conduit FDI in search of ultimate investors – a probabilistic approach" 26 (26): 109-146, 2019

      26 Moscow Exchange, "Investor presentation, February 2020"

      27 "Exxon Mobil в 2018 г окончательно выйдет из совместных с Роснефтью проектов. В Роснефти минор"

      28 WallStreetJournal, "Despite Sanctions, a Constellation of Business Seen in Iran"

      29 Schoenfeld, Steven, "Americans Are Investing More in China – and They Don’t Even Know I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7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