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98309
2007
-
KCI등재
학술저널
366-373(8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 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Roe deer (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which inhabit Mt. Halla (Hallasan) National Park and its neighboring areas ranging about 270㎢ areas. The research was done from November(late fall...
This study researched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Roe deer (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which inhabit Mt. Halla (Hallasan) National Park and its neighboring areas ranging about 270㎢ areas. The research was done from November(late fall), 1998 to March(early spring), 2001, and additional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06 to January 2007. As a result of this, we identified a total of 1,444 deer, and found out the fact that there lived 5.33 deer per ㎢. By region, we identified a maximum of 270 deer at Donnaeko hiking path and a minimum of 12 deer at the adjacent areas to the second Sanrok-road. The frequency of Roe deer group sighting was higher at the edge of Hallasan National Park than any other surveyed region. Thus, it is estimated that the distribution of Roe deer of Hallasan is more influenced by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ood than human-made interference during wintry season.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라산국립공원내 주요도로변에서 야생동물과 차량과의 충돌사고에 관한 연구" 3 : 51-70, 2004b
2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 심포지엄" 109-131 1993
3 "최근 3년 동안 한라산국립공원내 노루 분포특성" 3 : 35-49, 2004a
4 "제주도 지역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의 생태에 관한 연구" 2003
5 "야생동물의 보호관리" 제주상공회의소 제주지역경제연구센터 72-75, 1996
6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가 선호하는 한라산의 자생식물 조사" 14 (14): 63-71, 2001
7 "umliche Verschiebungen von markierten Rehen" 145-21 163, 1975
8 "population at Kalo and the factors regulating its size Danish Review of Game Biology 7" Strandgaard 1-205, 1972
9 "on mortality and reproduction of roe deer in Sweden during the period 1948-1969" 121-7 149, 1970
10 "and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movements in the Gallatin river drainage" 9-23, 1953
1 "한라산국립공원내 주요도로변에서 야생동물과 차량과의 충돌사고에 관한 연구" 3 : 51-70, 2004b
2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 심포지엄" 109-131 1993
3 "최근 3년 동안 한라산국립공원내 노루 분포특성" 3 : 35-49, 2004a
4 "제주도 지역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의 생태에 관한 연구" 2003
5 "야생동물의 보호관리" 제주상공회의소 제주지역경제연구센터 72-75, 1996
6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가 선호하는 한라산의 자생식물 조사" 14 (14): 63-71, 2001
7 "umliche Verschiebungen von markierten Rehen" 145-21 163, 1975
8 "population at Kalo and the factors regulating its size Danish Review of Game Biology 7" Strandgaard 1-205, 1972
9 "on mortality and reproduction of roe deer in Sweden during the period 1948-1969" 121-7 149, 1970
10 "and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movements in the Gallatin river drainage" 9-23, 1953
11 "Seasonal movements of moose in Europe" 379-392, 1974
12 "Seasonal movements and summer habitats of female black-tailed deer" 1317-1325, 1984
13 "Seasonal migration pattern and home range of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in an altitudinal gradient in southern Norway" 247 : 479-486, 1999
14 "Seasonal distribution and home-range patterns of sitka black-tailed deer on Admirality island" 96-103, 1985
15 "Plant phenology and the benefits of migration in a temperate ungulate" 502-65 513, 1992
16 "Moose migrations in North America" 393-415, 1974
17 "Mobility response of roe deer to snow depth in a boreal habitat" 39-12 96, 1982
18 "Introduced browsing mammals and habitat stability in New Zealand" 421-429, 1964
19 "Food composition and feeding habits of the Roe deer in central Finland" 395-402, 1980
20 "Effects of snow depth on food and habitat selection by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in an altitudinal gradient in south-central Norway" 3 : 27-33, 1997
21 "Causes and consequences of migration by large herbivores" 3 : 237-241, 1998
22 "Behavioral ecology of Siberian and European Roe deer" London: Chapman & Hall 1996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8 | 0.77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