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에 관한 국내 블로그 내용의 양적 분석 = Quantitative Analysis of Korean Blog contents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6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log contents that documented varying information on learning disabilities(LD) or students with LD. As the field of LD in special education is relatively new to Korean people, there is great possibility of people's lack of shared knowledge about LD and students with LD. Furthermore, the lack of shared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of non-experts of students with LD would be possible future barriers when improving the field of LD in Korea. Considering that currently many Korean people get knowledge from web, particularly from blogs, blog content analysis would be valuable to catch current Korean people's level of knowledge and common misconception of LD and students with LD.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118 blog contents from 52 blog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causes,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on blogs primarily provided richer information of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D. On the contrary, the information of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was limited. In addition, there were information that were not scientifically validated or not comprehensiv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need for providing web-service(or blogs) that provides more comprehensive and correct information based on more reliable resour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log contents that documented varying information on learning disabilities(LD) or students with LD. As the field of LD in special education is relatively new to Korean people, there is great possibility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log contents that documented varying information on learning disabilities(LD) or students with LD. As the field of LD in special education is relatively new to Korean people, there is great possibility of people's lack of shared knowledge about LD and students with LD. Furthermore, the lack of shared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of non-experts of students with LD would be possible future barriers when improving the field of LD in Korea. Considering that currently many Korean people get knowledge from web, particularly from blogs, blog content analysis would be valuable to catch current Korean people's level of knowledge and common misconception of LD and students with LD.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118 blog contents from 52 blog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causes,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on blogs primarily provided richer information of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D. On the contrary, the information of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was limited. In addition, there were information that were not scientifically validated or not comprehensiv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need for providing web-service(or blogs) that provides more comprehensive and correct information based on more reliable re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이 정보를 획득, 전달, 확인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블로그에 나타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개념, 원인, 특성, 그리고 판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학습장애 관련 블로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2000년부터 2009년 1월까지 학습장애와 관련된 블로그 문헌을 탐색한 결과 총 118개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장애 관련 주요 정보는 학습장애의 개념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특성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다. 반면,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판별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로그에 제시된 학습장애 관련 정보는 체계성과 포괄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와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거나 추가 검증이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2007년 이후 학습장애 관련 문헌이 크게 늘어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학습장애 관련 전문가들의 비전문가들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식확산 노력의 필요성과 학습장애 비전문가들을 위해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이 정보를 획득, 전달, 확인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블로그에 나타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개념, 원인, 특성, 그리고 판별에 대한 내용을 분...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이 정보를 획득, 전달, 확인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블로그에 나타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개념, 원인, 특성, 그리고 판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학습장애 관련 블로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2000년부터 2009년 1월까지 학습장애와 관련된 블로그 문헌을 탐색한 결과 총 118개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장애 관련 주요 정보는 학습장애의 개념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특성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다. 반면,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판별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로그에 제시된 학습장애 관련 정보는 체계성과 포괄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와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거나 추가 검증이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2007년 이후 학습장애 관련 문헌이 크게 늘어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학습장애 관련 전문가들의 비전문가들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식확산 노력의 필요성과 학습장애 비전문가들을 위해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모형의 탐색: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교육과 평가를 위한 한 가지 대안"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2 마이크로소프트, "한국인, 블로그 인지도 및 소유율 Top Class"

      3 최선희,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1980년부터 2007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01-120, 2008

      4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제 2판)" 학지사 2009

      5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보고서" 2006

      6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대상자 개념 및 선별기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7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8

      8 김동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장애 요인: 명시적 지식과 묵시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63-79, 2003

      9 장덕진, "온라인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in: 2005 Digital2 Conference" 삼성경제연구소 2005

      10 박노일, "블로그 이용자의 뉴스미디어 신뢰도 연구:기성 미디어 채널 비교 및 블로그 신뢰도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422-479, 2008

      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모형의 탐색: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교육과 평가를 위한 한 가지 대안"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2 마이크로소프트, "한국인, 블로그 인지도 및 소유율 Top Class"

      3 최선희,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1980년부터 2007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01-120, 2008

      4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제 2판)" 학지사 2009

      5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보고서" 2006

      6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대상자 개념 및 선별기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7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8

      8 김동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장애 요인: 명시적 지식과 묵시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63-79, 2003

      9 장덕진, "온라인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in: 2005 Digital2 Conference" 삼성경제연구소 2005

      10 박노일, "블로그 이용자의 뉴스미디어 신뢰도 연구:기성 미디어 채널 비교 및 블로그 신뢰도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422-479, 2008

      11 이정호, "블로그 시대의 기업경영 in: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5

      12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9

      13 Fuchs, D., "What we need to know about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and shouldn't be afraid to ask)" 22 (22): 129-136, 2007

      14 Marston,D., "Tiers of intervention in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Prevention outcomes and learning disabilities identification patterns" 38 (38): 539-544, 2005

      15 U.S.Department of Education, "The condition of education 2008"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09

      16 Babbie,R., "The basics of social research" Wadsworth Publishing 2008

      17 Cooper,H., "Synthesizing research: A guide for literature reviews" Sage Publications 1998

      18 Covey,H., "Social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history"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98

      19 Bradley, R., "Response to intervention" 38 (38): 485-486, 2005

      20 Buzhardt, J., "Research on scaling up evidence-based instructional practice: Developing a sensitive measure of the rate of implementation" 54 (54): 467-492, 2006

      21 Mertens,D.J.,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Integrating diversity with quantitative & qualitat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1998

      22 Mertens, D.,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London 1998

      23 Swanson, H., "Overview of foundations, causes, instruction, and methodology in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In Handbook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Guildford Press 3-15, 2003

      24 Gartland, D., "NJCLD Position paper: State and district-wide assessments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Guide for states and school districts" 27 (27): 67-76, 2004

      25 Smith,M., "Multiple methodology in education research. In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7-476, 2006

      26 Hallahan, D., "Learning disabilities: Historical perspectives. In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7, 2002

      27 Bender,W., "Learning disabilities: Characteristics, indemnification, and teaching strategies" Pearson Education 2004

      28 Keogh,B.K.,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2

      29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Federal Register, U. S. Department of Education, Part III"

      30 Will,M., "Educating children with learning problems: A shared responsibility" 52 (52): 411-415, 1986

      31 Hallahan, H., "A brief history of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In Handbook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Guildford Press 3-15, 2003

      32 Edelman, "2007 한국 블로거 성향 조사" Edelman Korea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