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세계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교육환경 가운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K-MOOC(Massive Online Open Course)의 영향력과 필요성을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논의를 출발한다. K-MOOC는 2015년부터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19257
김용재 (성신여자대학교)
2023
Korean
K-MOOC ; 한국의 전통예술 ; 한류(韓流) ; 음악[樂] ; 무용·춤[舞]’ ; 서예·문자[書] ; 회화·그림[畵] ; 예술정신[美學] ; K-예술 교육과정 ; K-MOOC ; Korean traditional arts ; Korean wave(韓流) ; Music ; dance ; traditional dance ; calligraphy ; writing ; ink painting ; painting ; art spirit ; art philosophy ; Korean Arts Curriculum of K-MOOC
KCI등재
학술저널
327-365(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세계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교육환경 가운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K-MOOC(Massive Online Open Course)의 영향력과 필요성을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논의를 출발한다. K-MOOC는 2015년부터 개...
이 글은 세계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교육환경 가운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K-MOOC(Massive Online Open Course)의 영향력과 필요성을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논의를 출발한다. K-MOOC는 2015년부터 개발 착수에 진입한 이래, 국내에서 현격할 정도로 많은 강좌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K-MOOC에서 제공하는 ‘(전체)강좌 수’와 ‘학문 분야별 강좌 수’를 비교해볼 때, ‘예술’ 분야만큼은 그 강좌 수가 매우 저조하다. 물론, 학문 성향에 따라 증감의 수치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인문(27.1%)·사회(25.6%)·공학(21.9%) 분야에 비교해볼 때, ‘예술(7%)’ 영역은 상당히 뒤떨어져 있다. 더욱이 이미 개발된 ‘예술’ 분야 중에서도 우리의 ‘한국 전통예술(K-Art)’로만 국한시켜 놓으면 그 수치는 더 낮아진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 ‘한류’라는 동력원을 가지고 있는 ‘예술’ 분야가 K-MOOC 강좌에서 이렇게 저조함은 다소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한국의 예술 분야는 1990년대부터 일어나 약 30여 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K-MOOC’는 ‘한류’를 등에 업고 ‘K-예술’의 본질과 정신적 가치를 드높일 수 있는 호기임에 분명하다. 이에 필자는 ‘K-MOOC’라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예술(K-예술)을 여하히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보았다. 이에 ‘K-예술’ 분야를 ‘5개’ 영역 - ‘음악[樂]’·‘무용·춤[舞]’·‘서예·문자[書]’·‘회화·그림[畵]’ 그리고 ‘예술정신[美學]’ - 으로 구분하고, 각 장르마다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법’의 ‘사례 개발(안)’을 시안(試案)으로 제공했다. ‘K-예술’을 위 ‘5개’ 영역으로 분류한 기준으로는 첫째, 우리의 전통예술에는 ‘감성’과 ‘지성’의 조화로움이 함께 공존함을 부연했고, 둘째, ‘악무(樂舞: 노래와 춤)’와 ‘서화(書畫: 서예와 그림)’에서처럼 이미 우리의 전통예술은 ‘융합’과 ‘통섭’을 지향하는 예술이었기 때문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전통예술 속에는 예술정신과 표현 의지를 통해 ‘소통’의 힘이 내재되어 있기에, 예술 속에 담긴 심미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찾아볼 수 있도록 예술철학으로서의 ‘미학’을 후순위에 덧붙여 놓았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국의 전통예술에 관한 새로운 연구성과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기(旣)축적된 한국예술과 관련한 연구성과물을 분류·재조합한 후, 이를 ‘온라인 Edu-콘텐츠’로 어떻게 제작하여 확산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이 있기 때문에, 5개의 예술 분야를 ‘주기별 커리큘럼’·‘학습자 대상에 따른 ‘난이도’·‘콘텐츠의 개발 분량’, 끝으로 이들을 K-MOOC 상에서 유효적절하게 가르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법까지 예시해 놓았다.
이 글은 ‘한류’의 긍정적인 에너지는 이미 저변확대를 이뤄놓은 셈이니, 여기에 ‘K-예술’의 본질적인 모습을 ‘MOOC’라는 광범위한 온라인 교육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개발 사례를 제안해놓은 만큼, 여타의 학문 영역에서도 부단한 ‘Edu-Contents’ 제작을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tarts the discussion from diagnosing the influence and necessity of K-MOOC (Massive Online Open Course), a Korean-style online open course, in the world's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Since K-MOOC began its development in 2015, many...
This article starts the discussion from diagnosing the influence and necessity of K-MOOC (Massive Online Open Course), a Korean-style online open course, in the world's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Since K-MOOC began its development in 2015, many cours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However,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total) courses’ provided by K-MOOC with ‘number of courses by academic field,’ the number of courses is very low as in the ‘ar’" field. Of course, the figure of increase or decrease may vary depending on academic tendencies, but compared to the humanities(27.1%), society(25.6%), and engineering(21.9%), the ‘art’ area is far behind. Moreover, among the already developed ‘art’ fields, the figure will be lower if we limit it to our ‘Korean traditional art (K-Art)’ In addition, it is somewhat skeptical that the ‘art’ field, which has a power source called ‘Hallyu(韓流),’ is so low in the K-MOOC course.
This is because the art field in Korea has been around for about 30 years since the 1990s. Therefore, it is clear that ‘K-MOOC’ is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essence and spiritual value of ‘K-art’ on the back of ‘Hallyu(韓流).’ In response, I tried to focus on “how can we spread our traditional culture and art (K-art) by using a system called K-MOOC”.
Since the key is “how can we produce and spread research results related to Korean art after classifying and recombin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Korean art accumulated in 旣, rather than deriving new research results on Korean traditional art?” the paper exemplifies the five art fields as ‘cycle curriculum,’ ‘difficulty’ according to learners, and ‘development volume of content’ and final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effectively taught on K-MOOC.
Since this article has already expanded the positive energy of ‘Hallyu(韓流),’ we look forward to producing ‘Edu-Contents’ in other academic fields, as we have proposed a series of development cases to produce the essential image of ‘K-Art’ into a wide range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s called MOOC.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지, "한류외전" 어크로스 2023
2 김용재, "동아시아 古典敎育과 文化콘텐츠[Culture-Content] 개발" 한국한문교육학회 28 (28): 81-115, 2007
3 김용재,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문화’를 매개로 하는 한자어 교육 - ‘낯섦’과 ‘다름’을 대하다" 한국한문고전학회 46 (46): 245-292, 2023
4 김용재,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漢字語’ 및 ‘語彙’에 대한 원격수업 설계 및 운용 -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39-169, 2021
5 김용재, "K-MOOC 강좌의 ‘효율성’과 ‘이수율’ 제고를 위한 제언: ‘대학 교양수업(한자어)’과의 연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86 : 7-32, 2023
6 교육부, "2022 평생교육백서"
1 김윤지, "한류외전" 어크로스 2023
2 김용재, "동아시아 古典敎育과 文化콘텐츠[Culture-Content] 개발" 한국한문교육학회 28 (28): 81-115, 2007
3 김용재,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문화’를 매개로 하는 한자어 교육 - ‘낯섦’과 ‘다름’을 대하다" 한국한문고전학회 46 (46): 245-292, 2023
4 김용재,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漢字語’ 및 ‘語彙’에 대한 원격수업 설계 및 운용 -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39-169, 2021
5 김용재, "K-MOOC 강좌의 ‘효율성’과 ‘이수율’ 제고를 위한 제언: ‘대학 교양수업(한자어)’과의 연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86 : 7-32, 2023
6 교육부, "2022 평생교육백서"
제후들의 천명: 춘추시대 증나라 청동기 명문을 중심으로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에 관한 연구 Ⅱ - 정제두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를 중심으로 -
국내 윤휴(尹鑴) 사상 연구 현황 분석 - KCI 등재후보지 이상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