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에 관한 연구 Ⅱ - 정제두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hapter system of 『JungYong』 by scholars who wanted to escape from Neo-Confucian Ⅱ - Focusing on Jeong Je-du's the Chapter (章) and Section (節) of 『JungYo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9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제두의 『중용』 분장절(分章節) 체계를 고찰하여, 그의 『중용』 해석의 특징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가 있었다.
      첫째, 『중용』을 상편은 원리의 측면, 하편은 수양의 측면으로 나누었고, 원리보다는 수양의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그는 상편을 솔성(率性)의 체(體)를 설명한 내용으로, 하편을 수도(修道)의 공부를 설명한 내용으로 보았으며, 『중용』 전체의 주제를 수도로 보아 끊임없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둘째, 『중용』의 중심 주제를 솔성을 포괄하고 있는 수도로 규정하여, 7장으로 분장(分章)하였다. 그리고 7개 장의 주제를 수도로 일관하는 구조를 제시하여, 결국 『중용』의 뜻은 수도를 지극히 하면 솔성에 이르게 되고, 끝내 천도와 합하게 되는 내용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천(天)과 인성(人性)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여 『중용』 전체를 해석하고 분장하였다. 그는 하늘이란 일원(一元)의 전체이니 도의 큰 근원이며, 성(性)이란 사람의 마음에 품부(稟賦)된 하늘이니 사람이 주체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하늘과 성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였고, 인심의 자각을 통한 내적 덕성의 함양을 통해 천도에 합치되기를 바랐다. 그가 『중용』을 상⋅하편으로 분장하여 수양을 강조하고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수도로 규정한 것은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비은(費隱)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중용』 전체가 비은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그는 은을 체(體)에, 비를 용(用)에 분속하고, 체인 은은 솔성이 되며, 비인 용은 수도가 된다고 하였다.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솔성과 수도로 보아 『중용』 전체가 비은(費隱)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면서 원리보다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또한 비은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중용』 전체에 적용하였으며, 중심 주제는 솔성의 개념을 포괄한 수도라고 하였다. 결국 그는 『중용』을 수도하는 자가 하늘의 특성을 받은 마음의 자각을 통해, 끊임없이 실천하게 되면 솔성에 이를 것이고, 끝내 하늘과 합하게 됨을 말하고 있는 경전으로 인식한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제두의 『중용』 분장절(分章節) 체계를 고찰하여, 그의 『중용』 해석의 특징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는...

      본 연구는 정제두의 『중용』 분장절(分章節) 체계를 고찰하여, 그의 『중용』 해석의 특징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가 있었다.
      첫째, 『중용』을 상편은 원리의 측면, 하편은 수양의 측면으로 나누었고, 원리보다는 수양의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그는 상편을 솔성(率性)의 체(體)를 설명한 내용으로, 하편을 수도(修道)의 공부를 설명한 내용으로 보았으며, 『중용』 전체의 주제를 수도로 보아 끊임없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둘째, 『중용』의 중심 주제를 솔성을 포괄하고 있는 수도로 규정하여, 7장으로 분장(分章)하였다. 그리고 7개 장의 주제를 수도로 일관하는 구조를 제시하여, 결국 『중용』의 뜻은 수도를 지극히 하면 솔성에 이르게 되고, 끝내 천도와 합하게 되는 내용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천(天)과 인성(人性)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여 『중용』 전체를 해석하고 분장하였다. 그는 하늘이란 일원(一元)의 전체이니 도의 큰 근원이며, 성(性)이란 사람의 마음에 품부(稟賦)된 하늘이니 사람이 주체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하늘과 성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였고, 인심의 자각을 통한 내적 덕성의 함양을 통해 천도에 합치되기를 바랐다. 그가 『중용』을 상⋅하편으로 분장하여 수양을 강조하고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수도로 규정한 것은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비은(費隱)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중용』 전체가 비은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그는 은을 체(體)에, 비를 용(用)에 분속하고, 체인 은은 솔성이 되며, 비인 용은 수도가 된다고 하였다.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솔성과 수도로 보아 『중용』 전체가 비은(費隱)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면서 원리보다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또한 비은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중용』 전체에 적용하였으며, 중심 주제는 솔성의 개념을 포괄한 수도라고 하였다. 결국 그는 『중용』을 수도하는 자가 하늘의 특성을 받은 마음의 자각을 통해, 끊임없이 실천하게 되면 솔성에 이를 것이고, 끝내 하늘과 합하게 됨을 말하고 있는 경전으로 인식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주, "한국 명현의 중용주석자료집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

      2 김낙진, "하곡의 중용설에 대한 이해" 중국철학회 3 : 1992

      3 민혜진, "하곡 정제두의 중용설 연구-성(誠)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25 : 2004

      4 임선영,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적 『중용』 이해" 한국철학사연구회 13 : 2003

      5 김용재, "하곡 정제두의 『중용』 해설" 한국한문고전학회 11 : 2005

      6 박원재, "하곡 정제두의 『중용』 해석의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창간) : 2002

      7 이해영, "하곡 정제두의 『중용』 이해" 퇴계학회 5 : 1993

      8 김교빈,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5

      9 황인옥,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체계에 관한 연구 - 윤휴의 『중용』 주석을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91) : 45-75, 2023

      10 황인옥, "주・왕(朱・王) 이원적 구조에 의한 하곡의 『중용』해석" 범한철학회 86 (86): 5-34, 2017

      1 안병주, "한국 명현의 중용주석자료집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

      2 김낙진, "하곡의 중용설에 대한 이해" 중국철학회 3 : 1992

      3 민혜진, "하곡 정제두의 중용설 연구-성(誠)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25 : 2004

      4 임선영,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적 『중용』 이해" 한국철학사연구회 13 : 2003

      5 김용재, "하곡 정제두의 『중용』 해설" 한국한문고전학회 11 : 2005

      6 박원재, "하곡 정제두의 『중용』 해석의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창간) : 2002

      7 이해영, "하곡 정제두의 『중용』 이해" 퇴계학회 5 : 1993

      8 김교빈,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5

      9 황인옥,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체계에 관한 연구 - 윤휴의 『중용』 주석을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91) : 45-75, 2023

      10 황인옥, "주・왕(朱・王) 이원적 구조에 의한 하곡의 『중용』해석" 범한철학회 86 (86): 5-34, 2017

      11 선병삼, "양명학자 정제두의 <중용> 이해" 동양고전학회 (55) : 85-114, 2014

      12 황인옥, "서계(西溪)의 『중용』 분장절(分章節)체계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소 53 : 29-55, 2020

      13 주자, "대학․중용집주"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9

      14 "霞谷集"

      15 "傳習錄"

      16 "中庸章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