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아프리칸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 The African Diaspora and Identity in Brazil and the Caribb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4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Brazil and the Caribbean, hybrid identities can be defined as diasporic identities which are configured through colonial rule, regional conflicts, voluntary labor migrations from Asia and Europe, and the World War, including Négritude as a legacy of the African slave trade and the black diaspora. Indeed, the diaspora in this area is not a mere reflection of modern memory and scars, but rather, an ongoing and dynamic process that is constantly being transformed through self-extension and reorganization. Therefor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t we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in this area in terms of the newly reconstituted hybridization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social-histor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hybridity itself. Henc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s and processes of the African diaspora formation that gave a vital clue about the hybridization of the Brazilian and Caribbean societies. On then, we will explore their local cultural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 ideologies which have emerged through the processes of nation building and social integr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hybridity in Brazil and the Caribbean.
      번역하기

      In Brazil and the Caribbean, hybrid identities can be defined as diasporic identities which are configured through colonial rule, regional conflicts, voluntary labor migrations from Asia and Europe, and the World War, including Négritude as a legacy ...

      In Brazil and the Caribbean, hybrid identities can be defined as diasporic identities which are configured through colonial rule, regional conflicts, voluntary labor migrations from Asia and Europe, and the World War, including Négritude as a legacy of the African slave trade and the black diaspora. Indeed, the diaspora in this area is not a mere reflection of modern memory and scars, but rather, an ongoing and dynamic process that is constantly being transformed through self-extension and reorganization. Therefor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t we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in this area in terms of the newly reconstituted hybridization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social-histor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hybridity itself. Henc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s and processes of the African diaspora formation that gave a vital clue about the hybridization of the Brazilian and Caribbean societies. On then, we will explore their local cultural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 ideologies which have emerged through the processes of nation building and social integr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hybridity in Brazil and the Caribbe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혼종적 정체성은 아프리카 노예무역과 흑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공유하게 된 흑인성(Négritude)을 비롯해, 식민지배, 지역분쟁, 노동력으로서의 유럽·아시아계 민족의 자발적인 이주, 세계대전 등으로 이어지는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맞물린 그야말로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의 디아스포라는 근대의 기억과 상흔을 반영하는 거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대·재편을 통해 지금도 끊임없이 그 모습을 바꾸며 진행 중인 현재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은 혼종성 그 자체보다는 지역별 특유의 역사·사회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재구성된 혼종화 과정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보다 합당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카리브 지역 국가들의 혼종화의 단초라 할 수 있는 아프리칸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배경과 형성 과정에 대해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국가형성 및 사회통합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혼종성(hybridity)을 둘러싼 논란의 궤적 및 그 지향점을 살펴본다.
      번역하기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혼종적 정체성은 아프리카 노예무역과 흑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공유하게 된 흑인성(Négritude)을 비롯해, 식민지배, 지역분쟁, 노동력으로서의 유럽·아시아계 민족의 ...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혼종적 정체성은 아프리카 노예무역과 흑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공유하게 된 흑인성(Négritude)을 비롯해, 식민지배, 지역분쟁, 노동력으로서의 유럽·아시아계 민족의 자발적인 이주, 세계대전 등으로 이어지는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맞물린 그야말로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의 디아스포라는 근대의 기억과 상흔을 반영하는 거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대·재편을 통해 지금도 끊임없이 그 모습을 바꾸며 진행 중인 현재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은 혼종성 그 자체보다는 지역별 특유의 역사·사회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재구성된 혼종화 과정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보다 합당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카리브 지역 국가들의 혼종화의 단초라 할 수 있는 아프리칸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배경과 형성 과정에 대해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국가형성 및 사회통합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브라질·카리브 지역의 혼종성(hybridity)을 둘러싼 논란의 궤적 및 그 지향점을 살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네스토르 가르시아 칸클리니, "혼종문화: 근대성 넘나들기 전략" 그린비 2011

      2 하상섭, "현대 카리브의 삶과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8

      3 우석균, "페르난도 오르티스의 통문화론과 탈식민주의" 13 : 181-197, 2002

      4 난시 모레혼, "쿠바와 쿠바 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한 아프리카적 특성"

      5 송병선, "카리브 해의 혼종성과 정치적 의미" 외국문학연구소 (18) : 55-72, 2004

      6 김달관, "카리브 해에서 인종과 정치의 혼종성: 도미니카공화국과 아이티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9 (9): 25-50, 2005

      7 차경미, "카리브 해 빨렝께데산바실리오(Palenque de San Basilio) 흑인공동체의저항으로서의 역사, 기억으로서의 문화"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1 (21): 103-127, 2008

      8 최금좌, "질베르투 프레이리: ‘인종민주주의론’에서 ‘열대학’까지, in 라틴아 메리카의 역사와 사상" 까치 265-284, 1999

      9 김영철, "질베르투 프레이리 다시 읽기"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1 (21): 131-159, 2008

      10 심재중, "정체성 담론과 이데올로기- 아이티와 마르티니크의 흑인 정체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7 (17): 5-23, 2004

      1 네스토르 가르시아 칸클리니, "혼종문화: 근대성 넘나들기 전략" 그린비 2011

      2 하상섭, "현대 카리브의 삶과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8

      3 우석균, "페르난도 오르티스의 통문화론과 탈식민주의" 13 : 181-197, 2002

      4 난시 모레혼, "쿠바와 쿠바 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한 아프리카적 특성"

      5 송병선, "카리브 해의 혼종성과 정치적 의미" 외국문학연구소 (18) : 55-72, 2004

      6 김달관, "카리브 해에서 인종과 정치의 혼종성: 도미니카공화국과 아이티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9 (9): 25-50, 2005

      7 차경미, "카리브 해 빨렝께데산바실리오(Palenque de San Basilio) 흑인공동체의저항으로서의 역사, 기억으로서의 문화"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1 (21): 103-127, 2008

      8 최금좌, "질베르투 프레이리: ‘인종민주주의론’에서 ‘열대학’까지, in 라틴아 메리카의 역사와 사상" 까치 265-284, 1999

      9 김영철, "질베르투 프레이리 다시 읽기"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1 (21): 131-159, 2008

      10 심재중, "정체성 담론과 이데올로기- 아이티와 마르티니크의 흑인 정체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7 (17): 5-23, 2004

      11 박병규, "스페인어권 카리브 해의 인종 혼종성과 인종민주주의" 중남미지역원 8 (8): 93-114, 2006

      12 이성훈, "세계화 시대 문화적 혼종성의 가능성" 라틴아메리카연구소 19 (19): 91-110, 2008

      13 최영수, "브라질인의 민족적 특성에 관한 고찰" 19 (19): 57-90, 2000

      14 김영철, "브라질의 인종적 유토피아와 킬롬비즘-흑인의 종족적 영토성 형성과 변천" 중남미연구소 28 (28): 133-162, 2009

      15 김영철, "브라질의 인종적 민주주의와 흑인운동" 1 (1): 119-145, 2004

      16 김영철, "브라질의 인종관계와 인종차별철폐법안" 중남미지역원 7 (7): 139-162, 2005

      17 김영철, "브라질의 인종관계 인식 실태:상파울루시민들을중심으로" 중남미지역원 8 (8): 125-145, 2006

      18 최영수, "브라질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19 김영철, "브라질문화와 흑인" 세종출판사 2003

      20 최영수, "브라질 흑인(Afro-Brazilian)에 관한 연구" 20 : 131-147, 2001

      21 최금좌, "브라질 신화 ‘루조 트로피칼’의 창조자 질베르투 프레이리에 대한 80년대 이후의 재해 석들이 브라질 사회사상사에 주는 의미" 18 (18): 101-123, 1999

      22 이광윤, "브라질 문학에 나타난 다인종적 특성(혼혈성)과 이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중남미지역원 8 (8): 21-46, 2006

      23 최금좌, "브라질 국가 정체성 확립과정: 실비우 호메루(Sílvio Romero)부터 호베르투 다 마타(Roberto da Matta)까지" 1 (1): 189-227, 2004

      24 김영철, "라틴아메리카의 다문화주의와 흑인 인권- 브라질의 흑인 인권을 중심으로 -"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8 (18): 71-103, 2005

      25 최영수, "라틴아메리카 식민사" 대한교과서 1995

      26 정은경, "디아스포라 문학" 이룸 2007

      27 이광윤, "네그리뚜지(Negritude)와 브라질의 흑인문학" 18 (18): 587-608, 1998

      28 임소라, "근대국가 형성기 브라질 문학 속에 나타난 물라따(Mulata) 이미지에 관한 연구" 4 (4): 67-86, 2007

      29 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30 "http://pt.wikipedia.org/wiki/Di%C3%A1spora_africana"

      31 "http://pt.wikipedia.org/wiki/Demografia_do_Brasil"

      32 "http://pt.wikipedia.org/wiki/Brasil"

      33 "http://pt.wikipedia.org/wiki/Bill_Aberdeen/"

      34 "http://pt.wikipedia.org/wiki/Afro-brasileiros"

      35 "http://es.wikipedia.org/wiki/Esclavitud_en_Am%C3%A9rica_Latina"

      36 Holanda, Sérgio Buarque de, "do Brasil" Companhia das Letras 2008

      37 Oliveira, Emerson Divino Ribeiro de, "Transculturação: Fernando Ortiz, o negro e a identidade nacional cubana, 1906-1940" Universidade Federal de Goiás 2003

      38 Bhabha, Homi K, "Tradução de Myriam Ávila, Eliana Lourenço de Lima Reis, Gláucia Renate Gonçal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9 Lacerda, Batista João, "Sobre os mestiços no Brasil"

      40 Freyre, Gilberto, "Sobrados e mucambos: decadência do patriarcado rural e desenvolvimento do urbano. 5. ed. 1º tomo" José Olympio 1977

      41 Freyre, Gilberto, "Sobrados e mucambos: decadência do patriarcado rural e desenvolvimento do urbano" José Olympio 1977

      42 Helg, Aline, "Race in Argentina and Cuba, 1880-1930: Theory, Policies and Popular Reaction, in The Idea of Race in Latin America: 1870-1940" University of Texas Press 37-69, 1940

      43 Freyre, Gilberto, "Ordem e progresso" José Olympio 1974

      44 Freyre, Gilberto, "Ordem e progresso" José Olympio 1974

      45 Lewis, Gordon K, "Main Currents in Caribbean Thought: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aribbean Society in its ideological aspects" University Nebraska Press 1492-1900, 1900

      46 Gomes, Heloisa Toller, "Identidade Cultural, Mestiçagem, Colonialidade: Uma Leitura Comparatista" 9 (9): 2008

      47 Ade Ajayi, J. F., "História geral da África, Ⅵ: África do século XIX à década de 1880" Abril 2010

      48 Ortiz, Fernando, "Hampa afro-cubana: los negros esclavos" Calles L y 27 1916

      49 Hall, Stuart,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 in Theorizing Diaspora: a reader" Blackwell Publishing Ltd 233-246, 2003

      50 Ortiz, Fernando, "Contrapunteo cubano del tabaco y el azúcar" Ediciones Cátedra 2002

      51 Freyre, Gilberto, "Casa-grande & senzala: formação da família brasileira sob o regime da economia patriarcal" Global 2006

      52 Nettleford, Rex, "Caribbean Cultural Identity: The Case of Jamaica" University of California 1979

      53 IBGE, "Brasil: 500 anos de povoamento. Rio de Janeiro"

      54 Sollors, Werner, "Beyond Ethnic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5 Hye-Jeong Jeong, "Analisis de expresiones Fraseoloicas en Forma Negativa en el Espanol de Mexico" 중남미연구소 25 (25): 179-194, 2006

      56 Coutinho, Edilberto, "A ficção do real em Gilberto Freyre" Univerdidade Federal do Rio de Janeiro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