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적 특수’의 제 방법과 아나카 페미니즘의 신여성 계보 = 나혜석의 경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젠더 범주에 착목한 결과, 나혜석은 아나카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보편담론의 창시자로, 사상가로, 근대여성지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을 ‘보편성’ 및 ‘특수성’과...

      젠더 범주에 착목한 결과, 나혜석은 아나카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보편담론의 창시자로, 사상가로, 근대여성지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을 ‘보편성’ 및 ‘특수성’과 연관하여 인지하지 못했던 근대 초기의 인식과 매우 다른 차이를 보이는 것이었으며, 당대의 남성들이 제시한 보편담론들과도 다른 것이었다. 나혜석이 새로운 보편담론을 창출할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라는, 즉 ‘조선적 특수성’이라는 지점에서 출발했기 때문이었다. 여성의 ‘사람되기’를, 식민지 조선에서의 억압-해방 문제의 하나로 인식한 결과로서, 구미, 일본, 조선 여성들의 ‘동등성’ 및 ‘차이’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동등성 및 차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은 조선, 여성, 남성, 민족,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개안을 마련해 주었다. 나혜석은 근대 초기 및 당대의 이론가들과 달리 서양 사상 및 문명, 문화를 일방적으로 ‘좋은 것’으로 이해하지 않았다.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참정권 등 제도 개혁을 통해 기존의 권력 관계를 수정보완함으로써 남녀평등 및 여성해방을 성취하고자 하지만, 나혜석은 제도 개혁을 거부하였다. 자유주의 페미니즘에서는 실력양성 및 개조·개혁이 진화의 요인이자 동력이지만, 나혜석의 개인주의적 아나카 페미니즘에서는 사랑(세계애)및 상호부조가 진화의 요인이자 새로운 이상사회 건설의 동력이었다. 세계를 뒤흔든 ‘제3의 사상’으로서의 아나키즘에, 근대의 여성지성인 나혜석도 ‘개인주의적 아나카 페미니즘’ 계보를 창출하며 동참하고 있었다. 나혜석의 ‘아나카 페미니즘’이라는 방법은 아나카 페미니즘의 서구, 일본의 방식과도 다른 ‘조선적 특수성’을 보였다. 서구의 엠마 골드만이 무장투쟁으로 나아갔고, 일본의 아끼코는 나혜석이 보편성에서 특수성으로 이동한 것과 반대로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나아가 군국주의로 통합되었다.
      나혜석의 소설 6편은 아나카 페미니즘을 소설적으로 형상화한 결과물이었다. 「경희」「회생한 손녀에게」 「현숙」이 긍정의 방법을 보여 준다면,「규원」「원한」 「어머니와 딸」은 부정의 방법을 보여 주었다. 그런데 신여성이 등장하는 「경희」「회생한 손녀에게」「어머니와 딸」「 현숙」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바로 개조, 상호부조의 사상이었다. 여기서 드러난 ‘연대’의 정신은 ‘파트너십’ 정신이라 규정되었다. ‘아나카 페미니즘적 파트너십’의 양상은 ‘초대의 수사학’이라는 독특한 수사학을 구사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ollowing essay, focusing on the "Gender" as epistemological device, tries to consider Rha Hyeseok(나혜석) as woman philosopher or modern woman intellect anew, and to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es and relations to her novels of...

      In the following essay, focusing on the "Gender" as epistemological device, tries to consider Rha Hyeseok(나혜석) as woman philosopher or modern woman intellect anew, and to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es and relations to her novels of her theories. Rha Hyeseok discovered "human, humankind" category to overcome "colonized" Chosun, it was due to the point that she started from "Chosun particularity". Such an interest led Rha Hyeseok to devise new universal discourse, "Anarcha Feminism". Liberalist Feminism focuses on systemic reforms like suffrage for sexual equality or emancipation of woman, but Rha Hyeseok denied it. In "Anarcha Feminism", Love(Cosmopolitanized) and mutual aid is the key to evolution .
      Rha Hyeseok"s six novels are the results of "Anarcha Feminism". Kyunghee(「경희」), To recovered granddaughter(「회생한 손녀에게」) Hyunsook(「현숙」) showed affirmative ways, while Kyuwon (「규원」), Grudge(「원한」), Mother and Daughter(「어머니와 딸」) showed negative ways. The point is that the idea of rebuilding and mutual aid is confirmed in novels casting "New-Woman". "Solidarity" on the novels referred above was defined as "partne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새로운 보편담론에의 충동과 인식장치로서의 젠더
      • 2. ‘조선적 특수’의 제 방법과 근대 ‘여성지(知)’의 연관
      • 3. 남은 과제들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새로운 보편담론에의 충동과 인식장치로서의 젠더
      • 2. ‘조선적 특수’의 제 방법과 근대 ‘여성지(知)’의 연관
      • 3. 남은 과제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