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가천의대 임상수행평가의 운영 경험 = Experience with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t Gachon Medical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3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abstract the differences of scores between the clinical instruc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SPs) in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using SPs and to correlate the concordance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and th...

      Purpose: This study aims to abstract the differences of scores between the clinical instruc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SPs) in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using SPs and to correlate the concordance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and the school records.
      Methods: The CPX was administered in 2003 to a total of thirty-six fifth year medical students at Gachon Medical School. The examination consisted of four cases, and four stations were duplicated, each requiring a total of 7.5 minutes per station. Evaluation of the student s performances was conducted by both clinical instructors and SPs using a formatted checklist. Results were analysed by t-test, agreement rates,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 The mean scores given out by the clinical instructors and the SPs for the newly developed ca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those scores for pre-existing cases were not in the old cas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two evaluation groups were relatively high. And agreements between the two evaluation groups were 0.37~0.72. The mean scores among clinical instru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greement rates were relatively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and school record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CPX is a useful tool to measure the students essential competences in area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during the subinternship stage. In conducting a successful CPX, it is crucial to reconsider the recycling of cases and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SPs aside from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checkli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생인턴제의 임상실습 공통평가 모듈 개발" 15 (15): 131-139, 2003

      2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실기능력평가 워크숍. V. 1. How are rating scales are developed? 2. Statistical scoring" 10 (10): 235-253, 1998

      3 "진료참여형 임상실습 교육과정의 개발 - 학생인턴제의 실습범위와 수준을 중심으로-" 15 (15): 113-129, 2003

      4 "제1차 CPX 심포지엄(유인물)." 2004

      5 "임상의학입문평가를 위한 객관적 임상실기시험 경험" 13 (13): 289-298, 2001

      6 "임상실습 전 학생과 임상실습 후 학생에서 시행한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 평가" 16 (16): 63-71, 2004

      7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12 (12): 353-361, 2000

      8 "임상실습 교육계획을 위한 워크숍" 가천의과대학교 교육개발연구센터 2001

      9 "임상수행평가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의 토착화 방안 연구" 12 (12): 377-391, 2000

      10 "임상 실습 종합평가로서 시행한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 - 이화의대의 경험 -." 16 (16): 33-40, 2004

      1 "학생인턴제의 임상실습 공통평가 모듈 개발" 15 (15): 131-139, 2003

      2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실기능력평가 워크숍. V. 1. How are rating scales are developed? 2. Statistical scoring" 10 (10): 235-253, 1998

      3 "진료참여형 임상실습 교육과정의 개발 - 학생인턴제의 실습범위와 수준을 중심으로-" 15 (15): 113-129, 2003

      4 "제1차 CPX 심포지엄(유인물)." 2004

      5 "임상의학입문평가를 위한 객관적 임상실기시험 경험" 13 (13): 289-298, 2001

      6 "임상실습 전 학생과 임상실습 후 학생에서 시행한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 평가" 16 (16): 63-71, 2004

      7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12 (12): 353-361, 2000

      8 "임상실습 교육계획을 위한 워크숍" 가천의과대학교 교육개발연구센터 2001

      9 "임상수행평가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의 토착화 방안 연구" 12 (12): 377-391, 2000

      10 "임상 실습 종합평가로서 시행한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 - 이화의대의 경험 -." 16 (16): 33-40, 2004

      11 "일개 의과대학에서 실시한 표준화 환자(SP)를 이용한 임상수행평가(CPX) 결과 분석" 16 (16): 51-61, 2004

      12 "의학과 4학년 종합평가로서의 객관적 구조적 임상능력평가(OSCE)의 경험" 10 (10): 43-56, 1998

      13 "의사의 다단계 평가제도 연구 -도입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3

      14 "우리나라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 활용 현황과 개선방안 - 관련 문헌 고찰 및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13 (13): 27-39, 2001

      15 "외과 객관적-구조화-임상시험에서의 표준화 환자 및 의사의 채점에 대한 비교 고찰" 9 : 61-, 1997

      16 "시험장 복제(duplication)가 객관적 구조적 임상 시험(OSCE)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11 (11): 37-52, 1999

      17 "수행평가(遂行評價)의 이해" 교육부 교육과정정책심의관실 1998

      18 "객관적으로 구조화된 임상시험의 시행 경험" 10 (10): 363-381, 1998

      19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에서 교수와 표준화 환자 사이의 점검표 채점의 일치도" 15 (15): 141-150, 2003

      20 "The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in res-earch in general practice" 14 (14): 58-62, 1997

      21 "The programmed patient" 39 : 802-805, 1964

      22 "The accuracy of standardized-patient presentations" 25 (25): 100-109, 1991

      23 "Standardized patients' accuracy in recording clinical performance checklist items" 99-104, 1992

      24 "Standardized Patients를 이용한 임상교육" 4 (4): 12-17, 1992

      25 "Set up and ru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310 (310): 1187-1190, 1995

      26 "Set up and ru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310 (310): 1187-1190, 1995

      27 "OSCE에서 전문 표준화 환자와 비전문 표준화 환자 간의 비교 연구" 207-208, 2003

      28 "OSCE! Variations on a theme by Harden" 37 (37): 1134-1140, 2003

      29 "Evaluation of physical examination skills Reliability of faculty observers and patient instructors" 3405-3408, 1987

      30 "Conference summary of the AA-MC's consensus conference on the use of SPs in the teaching and evaluation of clinical skills" 68 : 471-474, 1993

      31 "Clinical skills training developing objective assessment instruments" 31 (31): 359-363, 1997

      32 "Clinical skills training developing objective assessment instruments" 31 (31): 359-363, 1997

      33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using objective structured examination" 13 (13): 41-54,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7-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미등록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1.20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