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화(茶畫)에 나타난 중국 당, 송 대의 차 문화 융합 생활방식에서의 차 가구 특성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당대와 송대의 고대 차 문화 생활방식의 차 가구 특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인물에 관련한 도면을 연구하는 것이며, 당대의 궁락도 (宮樂圖), 춘연도(春宴圖), 죽차도(煮茶圖), 소익증란정도(蕭翼贈蘭亭圖), 조금차명도 (調琴啜茗圖)와 송대의 위로박고도(圍爐博古圖), 낸차도 (攆茶圖), 라한도(羅漢圖), 회창구로도(會昌九老圖), 착색인물도(著色人物圖)의 차문화 생활방식을 분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법과 영상데이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이중 문헌조사법은 당대와 송대의 시대성, 사회성, 경제성과 차 문화의 생활방식, 차 가구의 특성을 연구하고, 연구기준을 도출하고, 이미지 데이터 분석법 및 연구기준을 적용한다.
      차 문화 생활속에 나타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구된 당대와 송대 차에 관한 그림 10장을 분석했으며 차 문화 생활방식의 6가지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 기준은 바로 사용자, 차의 모양, 차 마시는 방식, 차의 형태, 차의 공간, 차의 가구 등 6가지이다. 기준에 따라 당대와 송대의 다화(茶畵)의 내용을 분석하여 요약해낸 결과 및 차의 문화 생활방식에 있어서 차 가구의 융합적인 공동성을 표현한 가구종류는 침구, 좌구, 도구 및 선반이다. 차의 기능, 구조, 형식과 사용자의 특성을 정리한다. 그의 결과가 바로 당대와 송대의 독특한 매력을 가져있으며, 현대 차 가구 디자인에도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계시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 가구 디자인은 혁신에 있어서 두 가지 변화가 필요하다. 하나는 당, 송 차 문화의 생활방식 중 차 가구의 특성을 근거로 당대의 과학기술 혁신에 맞추어 설계하여 전통 속에서 변화를 추구한다. 둘째는 당대의 과학기술을 접목해 혁신적 디자인을 하고, 전통 밖에서 새로운 것을 찾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 당대와 송대의 고대 차 문화 생활방식의 차 가구 특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인물에 관련한 도면을 연구하는 것이며, 당대의 궁락도 (宮樂圖), 춘연도(春宴...

      본 연구는 중국 당대와 송대의 고대 차 문화 생활방식의 차 가구 특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인물에 관련한 도면을 연구하는 것이며, 당대의 궁락도 (宮樂圖), 춘연도(春宴圖), 죽차도(煮茶圖), 소익증란정도(蕭翼贈蘭亭圖), 조금차명도 (調琴啜茗圖)와 송대의 위로박고도(圍爐博古圖), 낸차도 (攆茶圖), 라한도(羅漢圖), 회창구로도(會昌九老圖), 착색인물도(著色人物圖)의 차문화 생활방식을 분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법과 영상데이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이중 문헌조사법은 당대와 송대의 시대성, 사회성, 경제성과 차 문화의 생활방식, 차 가구의 특성을 연구하고, 연구기준을 도출하고, 이미지 데이터 분석법 및 연구기준을 적용한다.
      차 문화 생활속에 나타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구된 당대와 송대 차에 관한 그림 10장을 분석했으며 차 문화 생활방식의 6가지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 기준은 바로 사용자, 차의 모양, 차 마시는 방식, 차의 형태, 차의 공간, 차의 가구 등 6가지이다. 기준에 따라 당대와 송대의 다화(茶畵)의 내용을 분석하여 요약해낸 결과 및 차의 문화 생활방식에 있어서 차 가구의 융합적인 공동성을 표현한 가구종류는 침구, 좌구, 도구 및 선반이다. 차의 기능, 구조, 형식과 사용자의 특성을 정리한다. 그의 결과가 바로 당대와 송대의 독특한 매력을 가져있으며, 현대 차 가구 디자인에도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계시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 가구 디자인은 혁신에 있어서 두 가지 변화가 필요하다. 하나는 당, 송 차 문화의 생활방식 중 차 가구의 특성을 근거로 당대의 과학기술 혁신에 맞추어 설계하여 전통 속에서 변화를 추구한다. 둘째는 당대의 과학기술을 접목해 혁신적 디자인을 하고, 전통 밖에서 새로운 것을 찾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yle of tea furniture from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tea culture in the Tang Dynasty’s “Gongyue”, “Spring Banquet”, “Tea Cooking”, “Xiao Wing Gift Pavilion”, “Zipping the Plum and Sipping the Name” and Song Dynasty’s “Bogu Tu”, “Rohan Tu”, “Haichang Guro Tu”, and “Color Painting”. In this paper, the paper studies the content of tea ware between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image data analysis method, and concludes that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was based on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the tea culture of the Song Dynasty. Summarize the function, structure, form and user characteristics of tea ware.In conclusion, the unique charm of tea ware in Tang and Song dynasties was displayed, and it also provided new ideas and inspiration for the design of modern tea ware design.The design of tea furniture requires innovation andinnovation. One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based on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culture, and the other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yle of tea furniture from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tea culture in the Tang Dynasty’s “Gongyue”, “Spring Banquet”, “Tea ...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yle of tea furniture from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tea culture in the Tang Dynasty’s “Gongyue”, “Spring Banquet”, “Tea Cooking”, “Xiao Wing Gift Pavilion”, “Zipping the Plum and Sipping the Name” and Song Dynasty’s “Bogu Tu”, “Rohan Tu”, “Haichang Guro Tu”, and “Color Painting”. In this paper, the paper studies the content of tea ware between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image data analysis method, and concludes that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was based on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the tea culture of the Song Dynasty. Summarize the function, structure, form and user characteristics of tea ware.In conclusion, the unique charm of tea ware in Tang and Song dynasties was displayed, and it also provided new ideas and inspiration for the design of modern tea ware design.The design of tea furniture requires innovation andinnovation. One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based on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culture, and the other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차 문화(茶文化) 생활방식 특성연구
      • Ⅲ. 당, 송나라 다화에서의 차 가구 분석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차 문화(茶文化) 생활방식 특성연구
      • Ⅲ. 당, 송나라 다화에서의 차 가구 분석
      • Ⅳ. 사용자 중심의 당, 송 차 가구 특성연구
      • Ⅴ.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Qiu, Hong,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Cultural Entertainment and Social Economy in Song Dynasty" 2007

      2 Wang, Chun Yu,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Dynasty and Its Supervision Mechanism" Historical Archives 2006

      3 Tang, Yu, "Tang Dynasty Furniture Leading the Style" 1995

      4 Wang, Shan Jun, "Summary of the Research on the Social Life History of the Song Dynasty in the Past 20 Years" 2001

      5 Gou, Zong Liang, "Social and Economic Prosperity in the Tang Dynasty" 1980

      6 Liu, Xian Bo, "Research on Furniture in the Tang Dynasty" People's Publishing House 2017

      7 Zhang, Ke, "On Tea Culture in Tang Dynasty" 2014

      8 Wang, Zhi Dong, "Life in the Tang Dynasty" International Culture Press 2002

      9 Xu, Biao, "Introduction to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ong Dynasty" Jiangsu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7

      10 Fei, Zheng Qing, "Chinese Tradition and Changes" World Knowledge Press 2002

      1 Qiu, Hong,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Cultural Entertainment and Social Economy in Song Dynasty" 2007

      2 Wang, Chun Yu,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Dynasty and Its Supervision Mechanism" Historical Archives 2006

      3 Tang, Yu, "Tang Dynasty Furniture Leading the Style" 1995

      4 Wang, Shan Jun, "Summary of the Research on the Social Life History of the Song Dynasty in the Past 20 Years" 2001

      5 Gou, Zong Liang, "Social and Economic Prosperity in the Tang Dynasty" 1980

      6 Liu, Xian Bo, "Research on Furniture in the Tang Dynasty" People's Publishing House 2017

      7 Zhang, Ke, "On Tea Culture in Tang Dynasty" 2014

      8 Wang, Zhi Dong, "Life in the Tang Dynasty" International Culture Press 2002

      9 Xu, Biao, "Introduction to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ong Dynasty" Jiangsu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7

      10 Fei, Zheng Qing, "Chinese Tradition and Changes" World Knowledge Press 2002

      11 Qiu, Ji Ping, "Chinese Tea Painting" Zhejiang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2015

      12 Shao, Xiao Feng, "Chinese Song Dynasty Furniture" Southeast University Press 2017

      13 Yu, Yun Guo, "A Brief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 of Song Dynasty Culture"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