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유럽 등의 외국의 여성운동, 여성정책, 가족정책, 여성노동정책, 여성 사회복지 정책 등에 대한 담론과 전개과정, 특성들을 분석, 비교하여 앞으로 여성 및 양성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5295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유럽 등의 외국의 여성운동, 여성정책, 가족정책, 여성노동정책, 여성 사회복지 정책 등에 대한 담론과 전개과정, 특성들을 분석, 비교하여 앞으로 여성 및 양성평...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유럽 등의 외국의 여성운동, 여성정책, 가족정책, 여성노동정책, 여성 사회복지 정책 등에 대한 담론과 전개과정, 특성들을 분석, 비교하여 앞으로 여성 및 양성평등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모델을 구상하는 18개의 개별 논문들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의 여성정책의 담론과 이슈에 대한 분석이 제1부로, 외국의 사례가 제2부로, 그리고 대안제시가 제3부로 나뉜다. 이 연구결과보고서는 단행본으로 발간 예정인 “평등의 정치, 평등의 정책: 여성정책에서 젠더정책으로”(가제)의 초고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제1부 미완의 평등: 90년대 여성정책의 이룬 것과 못다한 것 제1장. 정부와 여성운동의 여성정책 담론분석 제2장. 90년대 여성노동정책의 형성과 담론 제3장. 1990년대 한국가족정책의 ...
제1부 미완의 평등: 90년대 여성정책의 이룬 것과 못다한 것
제1장. 정부와 여성운동의 여성정책 담론분석
제2장. 90년대 여성노동정책의 형성과 담론
제3장. 1990년대 한국가족정책의 이념과 과제
제4장. 90년대 한국 성정책의 전개과정
제5장. 한국적 복지국가 속에서 여성의 실업, 고용보험과 정책담론
제6장. 여성빈곤과 공공부조 및 사회복지 서비스 정책
제2부 공간을 넘은 평등의 탐색: 서구의 평등 정책
제7장. 호주와 캐나다의 젠더정치에 관한 비교연구
제8장. 복지국가의 여성노동정책: 스웨덴과 영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제9장. 가족정책의 국제비교: 영국, 스웨덴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모성정책의 과제
제10장. 외국의 성정책 비교연구: 미국과 호주의 성폭력정책을 중심으로
제11장. 유럽 복지체제의 유형과 친여성적 공적연금제도의 조건
제12장. 여성의 빈곤과 공공부조정책
제3부 미래의 양성평등: 젠더정책을 향하여
제13장. 여성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시론
제14장. 양성평등한 여성노동정책의 구성과 과제
제15장. 한국 가족정책에서 양성평등 원리의 모색
제16장. 여성주의 성정책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제17장. 빈곤의 여성화와 여성친화적 사회복지정책 재편의 방향
제18장. 한국 사회보장제도에서 양성평등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