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grarian Stagnation in Pre-War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2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농업생산이 지배적이면서 농촌 경제의 항구적인 개악과 농민의 극심한 빈곤을 경험해온 아세아적 농업국가들은, 과거 동양적 정체성의 표본으로 일컬어지던 전환기에 있어서의 중국농업의 피폐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필요를 느낀다.
      2. 아세아적 농업국가의 일반적 병폐의 원인을, 흔히 경영의 영세성과 영농의 비과학성으로 인한 만성적인 저위 생산성에서 찾고저하는 편협한 경제적 접근방법을 지양하여, 토지소유의 집중과 고율의 지대 기타 영세농의 출혈을 항존시켜온 사회제관계와 지배계층간의 결탁 관계를 분석하는 사회학적인 접근방법이 여기에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3. 빈농에 강요된 토지기근과 고율의 지대지출은 곧 토지독점과 방대한 지대수입 및 고도의 자본축적을 가능케하는 것이며, 전통적인 문벌과 관리 및 이에 합세한 군벌로 대표된 지배계층의 근대적 산업발전을 위한 재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었으나, 상대적으로 월등한 서구의 자본과 기술에 밀리고 일제의 침략 세력에 눌리어, 이들 농업자본은 이미 궁핍한 빈농과 농업종사자들로부터 보다 많은 수탈을 위하여 용이하게 전용되었다.
      4. 따라서 농촌 노동력의 홉수를 위한 근대공업의 발전이나, 농업생산자체의 개량이나 과학화를 위한 농업자본의 재투입은 실현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수탈로 지극히 궁핍해진 농촌종사자의 생산의욕을 극도로 저하시켜 농업생산성의 만성적인 저락을 결과하게 되는 것이다.
      5. 이와같이 아세아적 농업의 전락현상을 흔히 「동양적 숙명론」이나 「아세아적 특수성」으로 설명하려 하거나, 간단히 「사회조사론」적 접근방식으로 파악하려는 종래의 일반적인 태도를 비판하면서 여기에 토지소유를 중심으로 한 전환기의 사회제관계를 폭넓게 역사적 측면에서 다루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번역하기

      1. 농업생산이 지배적이면서 농촌 경제의 항구적인 개악과 농민의 극심한 빈곤을 경험해온 아세아적 농업국가들은, 과거 동양적 정체성의 표본으로 일컬어지던 전환기에 있어서의 중국농업...

      1. 농업생산이 지배적이면서 농촌 경제의 항구적인 개악과 농민의 극심한 빈곤을 경험해온 아세아적 농업국가들은, 과거 동양적 정체성의 표본으로 일컬어지던 전환기에 있어서의 중국농업의 피폐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필요를 느낀다.
      2. 아세아적 농업국가의 일반적 병폐의 원인을, 흔히 경영의 영세성과 영농의 비과학성으로 인한 만성적인 저위 생산성에서 찾고저하는 편협한 경제적 접근방법을 지양하여, 토지소유의 집중과 고율의 지대 기타 영세농의 출혈을 항존시켜온 사회제관계와 지배계층간의 결탁 관계를 분석하는 사회학적인 접근방법이 여기에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3. 빈농에 강요된 토지기근과 고율의 지대지출은 곧 토지독점과 방대한 지대수입 및 고도의 자본축적을 가능케하는 것이며, 전통적인 문벌과 관리 및 이에 합세한 군벌로 대표된 지배계층의 근대적 산업발전을 위한 재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었으나, 상대적으로 월등한 서구의 자본과 기술에 밀리고 일제의 침략 세력에 눌리어, 이들 농업자본은 이미 궁핍한 빈농과 농업종사자들로부터 보다 많은 수탈을 위하여 용이하게 전용되었다.
      4. 따라서 농촌 노동력의 홉수를 위한 근대공업의 발전이나, 농업생산자체의 개량이나 과학화를 위한 농업자본의 재투입은 실현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수탈로 지극히 궁핍해진 농촌종사자의 생산의욕을 극도로 저하시켜 농업생산성의 만성적인 저락을 결과하게 되는 것이다.
      5. 이와같이 아세아적 농업의 전락현상을 흔히 「동양적 숙명론」이나 「아세아적 특수성」으로 설명하려 하거나, 간단히 「사회조사론」적 접근방식으로 파악하려는 종래의 일반적인 태도를 비판하면서 여기에 토지소유를 중심으로 한 전환기의 사회제관계를 폭넓게 역사적 측면에서 다루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1) Kernel of Agrarian Problem
      • 2) On Land System and Landed Gentry
      • 3) On Rental Payments and Rent Fixing
      • 4) On usury, Tax Burdens, Grain Speculation and Military Requisitions
      • Introduction
      • 1) Kernel of Agrarian Problem
      • 2) On Land System and Landed Gentry
      • 3) On Rental Payments and Rent Fixing
      • 4) On usury, Tax Burdens, Grain Speculation and Military Requisitions
      • 5) On Land Monopoly and the Growth of Absenteeism
      • 6) The Decline of Rural Industry
      • 7) General stagnation-Science and Technology
      • 8) Population Pressure-a Relative Concept
      • Select Bibliograph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