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아대학교박물관, "합천 영암사지Ⅱ"
2 단국대학교박물관, "진전사지 발굴보고" 1989
3 기전문화재연구원, "원향사"
4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5 김두진, "신라하대 굴산문의 형성과 그 사상" 17 : 1986
6 이승연, "신라말∼고려전기 선종사원의 상원영역 형성에 관한 연구 : 법당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1
7 서아리, "송대 선찰의 건축 공간 : 『선원청규』와 『오산십찰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8 충남대학교박물관, "성주사"
9 복천박물관, "부산 만덕사지Ⅲ"
10 강릉대학교박물관, "굴산사지 부도 학술조사보고서" 1999
1 동아대학교박물관, "합천 영암사지Ⅱ"
2 단국대학교박물관, "진전사지 발굴보고" 1989
3 기전문화재연구원, "원향사"
4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5 김두진, "신라하대 굴산문의 형성과 그 사상" 17 : 1986
6 이승연, "신라말∼고려전기 선종사원의 상원영역 형성에 관한 연구 : 법당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1
7 서아리, "송대 선찰의 건축 공간 : 『선원청규』와 『오산십찰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8 충남대학교박물관, "성주사"
9 복천박물관, "부산 만덕사지Ⅲ"
10 강릉대학교박물관, "굴산사지 부도 학술조사보고서" 1999
11 도의철, "굴산사지 발굴조사 성과와 향후 과제, In 고대도시 명주와 굴산사"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2
12 서지은, "고려시대 사찰 주불전의 건축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177-186, 2004
13 도의철, "강릉 굴산사지(사적 제448호) 가람의 고고학적 성과와 고려 굴산사" 한국선학회 (36) : 286-322, 2013
1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강릉 굴산사지(사적 448호) 시굴조사보고서" 2013
15 이상수, "강릉 굴산사지 출토 ‘天啓五年’銘 기와의 성격과 의미-가톨릭관동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38 : 2014
1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강릉 굴산사지 제3차 발굴조사 약보고" 2014
1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강릉 굴산사지 제2차 발굴조사 약보고" 2013
18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강릉 굴산사지 제1차 발굴조사 약보고" 2012
19 이지관, "가산불교대사림 제9권"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7
20 경기도박물관, "高達寺址 Ⅱ" 2007
21 "臨瀛誌"
22 "祖堂集"
23 金鎭韓,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역사고고학적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5
24 白弘基, "江陵 崛山寺址 學術資料集" 강릉시 2005
25 강릉대학교박물관, "江陵 屈山寺址 發掘調査報告書" 2006
26 조선총독부,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27 "三國遺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