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후 東松 朴容羲의 정치단체 참여와 활동 = Park Yong-hee's Political Group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After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5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Yong-hee struggle Singanhoe movement, and the shrine, who led the organization and thre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eader. This set the stage for him to become a political leader in domestic politics right after liberation. When he became liberated, he formed the Sahoeminjudang, which later merged with the Kookmindang to pursue a middle-of-the-road political stance. He organized the Kidoksinminhoe as a base of Christian moderate support.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trusteeship plan, he staged a semi-revolution campaign with Ahn Jae-hong and others. H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integrating with the Kookmindang, the Shinhan-minjokdang and the Hankook-dokribdang. He believed that trust rule could be a way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In 1947, the seco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resumed after the first Soviet-American Commission broke down. He clashed with a paternal father in the ruling party who opposed the committee's participation, and he was expelled from the party. He left the party with members of the National People's Party to form a new one. Since then, he has been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Democratic Revolution Party. When the May 10 general elections were enacted in 1948, he denied the communist regime and accepted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as a reality.
      As a Christian minister, Park Yong-hee wanted to realize her Christian values through political activities. He saw the significance of the church when it tried to solve the plight of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of society, people and the nation. In this sense of problem, he pushed for a new national building campaign with the People's Party in the Middle and Middle East starting shortly after liberation. The meaning will grow as time goes by in that the government aims to consolidate and renew its life beyond the extremes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it is hard to find a practical life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번역하기

      Park Yong-hee struggle Singanhoe movement, and the shrine, who led the organization and thre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eader. This set the stage for him to become a political leader in domestic politics right afte...

      Park Yong-hee struggle Singanhoe movement, and the shrine, who led the organization and thre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eader. This set the stage for him to become a political leader in domestic politics right after liberation. When he became liberated, he formed the Sahoeminjudang, which later merged with the Kookmindang to pursue a middle-of-the-road political stance. He organized the Kidoksinminhoe as a base of Christian moderate support.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trusteeship plan, he staged a semi-revolution campaign with Ahn Jae-hong and others. H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integrating with the Kookmindang, the Shinhan-minjokdang and the Hankook-dokribdang. He believed that trust rule could be a way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In 1947, the seco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resumed after the first Soviet-American Commission broke down. He clashed with a paternal father in the ruling party who opposed the committee's participation, and he was expelled from the party. He left the party with members of the National People's Party to form a new one. Since then, he has been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Democratic Revolution Party. When the May 10 general elections were enacted in 1948, he denied the communist regime and accepted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as a reality.
      As a Christian minister, Park Yong-hee wanted to realize her Christian values through political activities. He saw the significance of the church when it tried to solve the plight of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of society, people and the nation. In this sense of problem, he pushed for a new national building campaign with the People's Party in the Middle and Middle East starting shortly after liberation. The meaning will grow as time goes by in that the government aims to consolidate and renew its life beyond the extremes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it is hard to find a practical life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후 박용희는 기독교 민족운동가로 대중의 존경을 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일제 강점기 3ㆍ1운동과 신간회운동, 그리고 신사참배투쟁 조직을 이끈 지도자였다. 이것은 해방직후 그가 국내 정치현실에서 거물급 정치지도자로 자리 잡는 배경이 되었다. 해방이 되자마자 그는 사회민주당을 결성하였고, 이후 국민당과 통합하여 중도적 정치노선을 지향하였다. 그는 민족의 정치적 역량을 모으기 위해 정당통합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독립촉성협의회에도 참여하였고, 해외 민족지도자들의 귀국을 계기로 ‘기독신민회’를 조직하였다. 이 단체는 기독교계 중도우파세력의 지원역할을 하였다.
      신탁통치안 발표 이후, 그는 안재홍 등과 함께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 또 우익정당통합차원에서 국민당과 신한민족당, 한국독립당과 통합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미소공위가 추진되자, 그는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사항이 한반도 통일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는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후에도, 기독교계 조직 기반 확대에 나섰다. 1947년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속개되자 반탁운동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던 그는 미소공위 참여 문제로 임시정부계열과 충돌하였다. 그 이유로 그는 한독당의 제명 처분을 받았다. 그는 국민당계 인사들과 함께 한독당을 탈당하여 신한국민당을 조직하였다. 그는 중도파 세력의 결집체인 민주독립당 창당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1948년 남한만의 5ㆍ10총선거가 구체화되자, 공산정권을 부정하며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현실로 인정하는 차선의 태도를 보였다.
      이처럼 박용희는 기독교 목사 신분으로 정치활동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교회가 개인 뿐 아니라 사회와 민족과 국가의 고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때 그 존재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그는 해방직후부터 중간파 계열의 국민당을 중심으로 새로운 국가건설운동을 추진한 것이다. 좌우의 극단을 넘어 끝임 없이 통합과 갱신을 지향하며 실천적인 삶을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시간이 갈수록 그 의미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해방 후 박용희는 기독교 민족운동가로 대중의 존경을 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일제 강점기 3ㆍ1운동과 신간회운동, 그리고 신사참배투쟁 조직을 이끈 지도자였다. 이것은 해방직후 그가 국...

      해방 후 박용희는 기독교 민족운동가로 대중의 존경을 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일제 강점기 3ㆍ1운동과 신간회운동, 그리고 신사참배투쟁 조직을 이끈 지도자였다. 이것은 해방직후 그가 국내 정치현실에서 거물급 정치지도자로 자리 잡는 배경이 되었다. 해방이 되자마자 그는 사회민주당을 결성하였고, 이후 국민당과 통합하여 중도적 정치노선을 지향하였다. 그는 민족의 정치적 역량을 모으기 위해 정당통합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독립촉성협의회에도 참여하였고, 해외 민족지도자들의 귀국을 계기로 ‘기독신민회’를 조직하였다. 이 단체는 기독교계 중도우파세력의 지원역할을 하였다.
      신탁통치안 발표 이후, 그는 안재홍 등과 함께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 또 우익정당통합차원에서 국민당과 신한민족당, 한국독립당과 통합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미소공위가 추진되자, 그는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사항이 한반도 통일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는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후에도, 기독교계 조직 기반 확대에 나섰다. 1947년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속개되자 반탁운동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던 그는 미소공위 참여 문제로 임시정부계열과 충돌하였다. 그 이유로 그는 한독당의 제명 처분을 받았다. 그는 국민당계 인사들과 함께 한독당을 탈당하여 신한국민당을 조직하였다. 그는 중도파 세력의 결집체인 민주독립당 창당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1948년 남한만의 5ㆍ10총선거가 구체화되자, 공산정권을 부정하며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현실로 인정하는 차선의 태도를 보였다.
      이처럼 박용희는 기독교 목사 신분으로 정치활동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교회가 개인 뿐 아니라 사회와 민족과 국가의 고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때 그 존재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그는 해방직후부터 중간파 계열의 국민당을 중심으로 새로운 국가건설운동을 추진한 것이다. 좌우의 극단을 넘어 끝임 없이 통합과 갱신을 지향하며 실천적인 삶을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시간이 갈수록 그 의미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중석, "해방정국의 중도파 정치세력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9 : 5-34, 2004

      2 김권정, "해방 후 유재기의 국가건설운동과 농촌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1) : 255-294, 2012

      3 오영섭, "해방 후 민세 안재홍의 민족협동운동" 15 : 1998

      4 박태균,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 구성원의 성격과 조직개편" 국사편찬위원회 58 : 1994

      5 연규홍, "해방 정국과 기독교 건국운동" 한국교회사학회 (14) : 95-119, 2004

      6 "한성일보"

      7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와 역사Ⅲ"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8 김권정, "한국기독교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2015

      9 "청년"

      10 "중앙신문"

      1 서중석, "해방정국의 중도파 정치세력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9 : 5-34, 2004

      2 김권정, "해방 후 유재기의 국가건설운동과 농촌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1) : 255-294, 2012

      3 오영섭, "해방 후 민세 안재홍의 민족협동운동" 15 : 1998

      4 박태균,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 구성원의 성격과 조직개편" 국사편찬위원회 58 : 1994

      5 연규홍, "해방 정국과 기독교 건국운동" 한국교회사학회 (14) : 95-119, 2004

      6 "한성일보"

      7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와 역사Ⅲ"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8 김권정, "한국기독교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2015

      9 "청년"

      10 "중앙신문"

      11 "조선일보"

      12 "자유신문"

      13 이만규, "여운형투쟁사" 총문각 1946

      14 대한예수교장로회 승동교회, "승동교회 백년사" 1993

      15 고정휴, "세칭 한성정부의 조직 주체와 선포경위에 대한 검토" 97 : 1997

      16 이명직, "성결교회약사" 성결교회출판사 1927

      17 "서울신문"

      18 이선호, "박용희(朴容羲)의 신앙과 사역에 대한 연구"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3 (3): 89-114, 2014

      19 "매일신보"

      20 "동아일보"

      21 김권정,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 북코리아 2014

      22 김권정, "기독교세력의 신간회 참여와 활동" 25 : 2000

      23 "기독교공보"

      24 박정숙, "萬歲魂" 에프 커뮤니케이션즈 2001

      25 杜門洞如是觀生, "敎界人物評論其七, 朴容羲論" 10 : 37-40, 1949

      26 朴容羲, "敎會의 意義"

      27 윤덕영, "1945년 한국민주당 초기 조직의 성격과 주한미군정 활용" 한국역사연구회 (80) : 245-291, 2011

      28 김승태, "1940년대 일제의 종교탄압과 한국교회의 대응" 1992

      29 안교성, "1930년대 한중관계에 관한 한 소고: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3) : 205-231, 2015

      30 김권정, "1930년대 전반 적극신앙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77-12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