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경광학과 학생의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 이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ask Wearing for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by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6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의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기도 소재의 안경광학과 대학생 113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4문항,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 11문항, 마스크 착용 이행 6문항의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Independent t-test 및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불안과 우울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현재 사용 중인 마스크는 ‘KF94’가 가장 많았고, 사용하기 원하는 마스크는 ‘Dental’이 가장 많았다. 마스크 재사용 횟수는 ‘재사용하지 않는다’[77명(68.1%)]가 가장 많았고, 마스크를 재사용 할 때 소독 여부는 ‘소독하지 않는다’[69명(61.1%)]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에 대한 신뢰도(마스크 착용이 질병의 감염과 확산을 막을수 있는 정도)는 ‘신뢰한다’[76명(67.3%)]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 이행에 관한 문항에서 ‘나는 감기와 같은 질병의 증상이 있을 때 병원에서 마스크를 착용한다.’가 3.50±1.03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여성과 기혼일 경우 질병으로부터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장소나 병원에서 마스크를 더 잘 착용하였다.
      결론 :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결혼 상태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이행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의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기도 소재의 안경광학과 대학생 113명의 응답...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의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기도 소재의 안경광학과 대학생 113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4문항,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 11문항, 마스크 착용 이행 6문항의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Independent t-test 및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불안과 우울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현재 사용 중인 마스크는 ‘KF94’가 가장 많았고, 사용하기 원하는 마스크는 ‘Dental’이 가장 많았다. 마스크 재사용 횟수는 ‘재사용하지 않는다’[77명(68.1%)]가 가장 많았고, 마스크를 재사용 할 때 소독 여부는 ‘소독하지 않는다’[69명(61.1%)]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에 대한 신뢰도(마스크 착용이 질병의 감염과 확산을 막을수 있는 정도)는 ‘신뢰한다’[76명(67.3%)]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 이행에 관한 문항에서 ‘나는 감기와 같은 질병의 증상이 있을 때 병원에서 마스크를 착용한다.’가 3.50±1.03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여성과 기혼일 경우 질병으로부터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장소나 병원에서 마스크를 더 잘 착용하였다.
      결론 :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결혼 상태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이행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나연 ; 이경미 ; 강윤희, "한국 성인 남녀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국적 연구의 이차 자료분석" 기본간호학회 28 (28): 275-285, 2021

      2 강민혜 ; 정찬문 ; 나진경, "코로나19와 마스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본 마스크 착용에서의 동서양 문화차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5 (35): 77-103, 2021

      3 이승현 ; 허유정 ; 김종훈 ; 한창수, "우울장애 선별 시 한글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의 기준점수(Cut-OffPoint)에 대한 타당도 연구" 대한우울조울병학회 12 (12): 32-36, 2014

      4 김명희, "세계보건기구의 마스크 사용 지침에 대한 한국 보건당국의 이행 분석과 함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77-86, 2020

      5 Yonhapnews, "With prolonged COVID-19, fear decreases Depression increases..."Family infection is the number one worry""

      6 Michael H. Haischer, "Who is wearing a mask? Gender-, age-, and location-related differ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15 (15): e0240785-, 2020

      7 H.S.W. Ho, "Use of face masks in a primary care outpatient setting in Hong K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Elsevier BV 126 (126): 1001-1006, 2012

      8 Capraro V, "The effect of messaging and gender on intentions to wear a face covering to slow down COVID-19 transmission"

      9 Kurt Kroenke,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6 (16): 606-613, 2001

      10 Shuo Feng, "Rational use of face masks in the COVID-19 pandemic" Elsevier BV 8 (8): 434-436, 2020

      1 신나연 ; 이경미 ; 강윤희, "한국 성인 남녀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국적 연구의 이차 자료분석" 기본간호학회 28 (28): 275-285, 2021

      2 강민혜 ; 정찬문 ; 나진경, "코로나19와 마스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본 마스크 착용에서의 동서양 문화차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5 (35): 77-103, 2021

      3 이승현 ; 허유정 ; 김종훈 ; 한창수, "우울장애 선별 시 한글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의 기준점수(Cut-OffPoint)에 대한 타당도 연구" 대한우울조울병학회 12 (12): 32-36, 2014

      4 김명희, "세계보건기구의 마스크 사용 지침에 대한 한국 보건당국의 이행 분석과 함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77-86, 2020

      5 Yonhapnews, "With prolonged COVID-19, fear decreases Depression increases..."Family infection is the number one worry""

      6 Michael H. Haischer, "Who is wearing a mask? Gender-, age-, and location-related differ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15 (15): e0240785-, 2020

      7 H.S.W. Ho, "Use of face masks in a primary care outpatient setting in Hong K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Elsevier BV 126 (126): 1001-1006, 2012

      8 Capraro V, "The effect of messaging and gender on intentions to wear a face covering to slow down COVID-19 transmission"

      9 Kurt Kroenke,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6 (16): 606-613, 2001

      10 Shuo Feng, "Rational use of face masks in the COVID-19 pandemic" Elsevier BV 8 (8): 434-436, 2020

      11 Yonhapnewstv, "Prime minister Chung "There are many corona family infections...Home quarantine is important""

      12 Lam, Simon Ching ; Chong, Andy Chun Yin ; Chung, Jessie Yuk Seng ; Lam, Ming Yee ; Chan, Lai Man ; Shum, Cho Yee ; Wong, Eliza Yi Ni ; Mok, Yat Man ; Lam, Ming Tat ; Chan, Man Man ; Tong, Ka Ying ; Chu, Oi Lee ; Siu, Fong Kiu ; Cheung, Jamie Hau Man, "Methodologic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Face Mask Use Scale among Public Adult: Cross-Language and Psychometric Testing"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46-56, 2020

      13 Jeon CS, "Development of oxygen enhanced fine dust removal mask" 656 : 1-15, 2020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oronavirus disease-19(COVID-19), cases in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16 Bae SH, "College students’s knowledge of COVID-19,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handwashing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17 Daniel Thomas Bressington,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Health Beliefs, and Face Mask U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ntiers Media SA 11 : 571179-, 2020

      18 KDCA, "A newly confirmed case"

      19 Robert L. Spitzer,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166 (166): 1092-109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