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가수준의 흡연 노출 및 위해 수준의 객관적 평가, 간접흡연 노출 수준 파악과 금연 구역 설정 근거 확보하고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의 건강 위해 평가 근거 생산을 위하여 실시...
이 연구는 국가수준의 흡연 노출 및 위해 수준의 객관적 평가, 간접흡연 노출 수준 파악과 금연 구역 설정 근거 확보하고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의 건강 위해 평가 근거 생산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활용 가능한 흡연노출 바이오마커로는 요중 코티닌과 요중 NNAL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흡연폐해 바이오모니터링
• 요중 코티닌 6,904건의 분석결과 기초 통계값은 211.90±543.79 ng/mL였고, 내부정도관리 결과(Mean ng/mL, SD ng/mL, CV %)는 각 농도별로 G(0.58, 0.06,10.34), J(5.68, 0.41, 7.22), K(9.45, 0.60, 6.35), M(37.78, 2.43, 6.43), N(78.58, 5.28,6.72), O(206.33, 7.39, 3.58), P(781.25, 32.33, 4.14), K(1859.17, 84.04, 4.52)였다. 외부정도관리 결과는 G-EQUAS 프로그램 참여 성적, SFGH와 검사실간 비교 결과모두 적합하였다.
• 요중 NNAL 3,131건의 분석결과 중 결과값이 N/A로 나온 79건을 제외한 3,057건의 기초 통계값은 33.99±103.75 pg/mL였고, 내부정도관리 결과(Mean pg/mL, SDpg/mL, CV %)는 B(2.41, 0.15, 6.22), C(4.86, 0.25, 5.11), L(10.09, 0.57, 5.63),M(47.81, 3.17, 6.64), H(201.41, 14.69, 7.30)였다. 외부정도관리는 SFGH와 검사실간비교 결과 CLSI guideline 기준에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