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서는 철근의 탄성계수를 200 GPa로 규정하고 있다. 철근은 다른 토목 재료와는 달리 동방성, 균질성 등의 성질을 지닌 재료로서 일정한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6874
2012
Korean
530
학술저널
57-6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서는 철근의 탄성계수를 200 GPa로 규정하고 있다. 철근은 다른 토목 재료와는 달리 동방성, 균질성 등의 성질을 지닌 재료로서 일정한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서는 철근의 탄성계수를 200 GPa로 규정하고 있다. 철근은 다른 토목 재료와는 달리 동방성, 균질성 등의 성질을 지닌 재료로서 일정한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은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UTM(Universal Testing Maching, 만능재료시험기)을 이용하여 탄성계수 등을 측정할 때, 기계의 성능이나 측정 오차 등으로 인해 부정확한 탄성계수를 얻는 경우를 흔히 경험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D19 이형철근을 이용하여 만능재료시험기로 인장시험을 실시한 후, 측정된 용력-변형률 곡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용력-변형률 곡선 탄성영역(그래프 원점율 0%, 항복점율 100%로 가정)에서 항복점 하중의 40%와 85% 사이에서의 곡선 기울기를 회귀 분석하여 추정한 값이 가장 안정된 탄성계수임을 알 수 있었다.
에어컨 냉각 팬용 브러쉬레스 DC 전동기의 역기전력 분석에 대한 연구
세탁기용 12/8극 외전형 SRM의 설계 및 특성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