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一面 = A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Cylindrical Pottery Impluencing Japanese Cylindrical Pott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9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ylindrical Pottery excavated on/around the mound of tomb is divided into Cylindrical A, Cylindrical B, and Jar types, and each type has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First, Cylindrical A type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betwee...

      Cylindrical Pottery excavated on/around the mound of tomb is divided into Cylindrical A, Cylindrical B, and Jar types, and
      each type has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First, Cylindrical A type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between the mid-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pick up it’s idea from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adopting local style. Second, Cylindrical B type found in Japanese style Key-hole shaped tombs between the late 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was a direct imitation of Japanese Haniwa. Third, Jar A type was first developed around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ies by imitating Japanese Jar type Haniwa, and then changed to Jar B type and was diffused to Japan in the mid-6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삼국시대 한국 서남부지역에서는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들이 고분 장엄구로 사용되었다. 당시 서남부지역의 중심권을 이루고 있었던 나주 반남 일대의 대형 고분에서는 筒A形의 분주토기...

      삼국시대 한국 서남부지역에서는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들이 고분 장엄구로 사용되었다. 당시 서남부지역의 중심권을 이루고 있었던 나주 반남 일대의 대형 고분에서는 筒A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고 나주 반남 일대를 둘러싼 주변 지역의 토착계 중형 고분에서는 壺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으며 같은 주변지역이라도 일본과 관련된 장고분에서는 筒B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다.
      한국 서남부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는 일본 北九州지역과의 교류 속에서 壺A形, 筒A形,
      筒B形의 순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6세기중엽경이 되면 세가지 분주토기 모두 현지에서는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게 되지만 壺形과 筒A形두가지 분주토기는 일본으로 파급되었는데 이는 현지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마한계 주민의 일본 이주는 그 이전부터 백제의 영역 확장과 관련되어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온 바 있다. 3세기중엽이후부터 백제에 밀리기 시작하였던 마한에서는 3세기 후엽경 아산만권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으며 4세기중반경에는 충청 내륙지역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6세기중엽경에 나타나고 있는 壺形, 筒A形분주토기의 일본 파급이 서남부지역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를 의미
      한다는 것은 일본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완전히 단절되는 筒B形분주토기를 썼던 사람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다 쉽게 이해된다. 筒B形이 사용되었던 장고분은 거시적으로 보면 大和政權의 일본열도 통합과정에서, 미시적으로 보면 磐井에 의해 北九州지역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밀리게 되었던 北九州지역의 세력자가 그 주인공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자신들의 망명지인 마지막 마한지역이 6세기중엽경 백제에 병합됨에 따라 더 이상 피할 곳이 없어지면서 장고분과 筒B形분주토기를 쓸 수 없게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6세기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라 서남부지역의 토착 마한세력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나머지 주민들과 일본에서 망명하였던 세력들은 마지막 안식처를 백제에 복속되었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시굴조사보고서" 국립광주박물관 2001

      2 최성락, "함평 중랑고분" 목포대학교박물관 2003

      3 "한반도에서 출토된 倭관련 문물"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2 : 2005

      4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36 : 2002

      5 최영주, "조족문토기 고찰" 2006

      6 "영남출토의 土師器系土器" 부산고고학연구회 2001

      7 "박물관 (도록)" 배재대학교박물관 2000

      8 "무안-광주간 고속도로공사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2005

      9 최성락, "무안 고절리고분" 목포대학교박물관 2002

      10 "몽촌토성발굴조사단 『 정비·복원을 위한 몽촌토 성 발굴조사 보고』" 1994

      1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시굴조사보고서" 국립광주박물관 2001

      2 최성락, "함평 중랑고분" 목포대학교박물관 2003

      3 "한반도에서 출토된 倭관련 문물"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2 : 2005

      4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36 : 2002

      5 최영주, "조족문토기 고찰" 2006

      6 "영남출토의 土師器系土器" 부산고고학연구회 2001

      7 "박물관 (도록)" 배재대학교박물관 2000

      8 "무안-광주간 고속도로공사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2005

      9 최성락, "무안 고절리고분" 목포대학교박물관 2002

      10 "몽촌토성발굴조사단 『 정비·복원을 위한 몽촌토 성 발굴조사 보고』" 1994

      11 "나주 신촌리 9호분" 국립문화재연구소 (9) : 2001

      12 임영진,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나주시 2002

      13 "군산 축동·수송지구 택지개발지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35 : 2005

      14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제25책" 1993『

      15 임영진, "광주 월계동 장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

      16 "鳥足文土器考" 10 : 1999

      17 林永珍, "馬韓의 消滅過程에 대한 考古學的考察" 12 : 2000

      18 "馬韓圈域出土兩耳附壺小考" 10 : 1999

      19 "須惠器定型化への過程" 2002

      20 "韓國出土の圓筒形土器と埴輪形土製品" 雄山閣 1996

      21 "韓國全羅南道の圓筒形土器" 同成社 2002

      22 林永珍, "韓國の墳周土器" 同成社 2002.10.20

      23 坂靖, "韓國の前方後圓墳と埴輪" 古代學硏究會 170 : 2005

      24 "百濟土器·馬韓土器と倭" 枚方市 2001

      25 "湖南地域石室墳과 百濟의 關係" 韓國考古學會 1997

      26 "榮山江流域前方後圓墳과 埴輪" 全州博物館特別展圖錄 2001

      27 "榮山江流域前方後圓墳出土圓筒形土器에 관한 考察"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31 : 2000

      28 "榮山江流域三國時代土器硏究" 2006

      29 "榮山江流域と慕韓" 考古學硏究會 1995

      30 "朝鮮半島へ渡った彌生人" 雄山閣 1999

      31 "朝鮮半島の前方後圓墳" 專修大學人文科學硏究所 26 : 1996

      32 "最近の埴輪硏究" 雄山閣 79 : 2002

      33 "日本所在百濟文化財調査報告書Ⅲ" 2002

      34 "日本所在百濟文化財調査報告書Ⅱ" 2000

      35 "日本所在百濟文化財調査報告書Ⅰ" 1999

      36 "日本九州및 近畿地域의 韓國系遺物" 복천박물관 2002

      37 "平底短頸甁覺書-東國の渡來文化硏究" 5 : 1995

      38 "天滿古墳群(2號墳) 現地說明會資料, 油印物" 1997

      39 "大伽倻의 古代國家形成" 1996

      40 "夢村土城의 年代와 性格『」百濟初期文化의 考古學的再照明』" 韓國考古學會 1987「

      41 "埴輪生産の系譜" 雄山閣 79 : 2002

      42 "土器資料를 통해 본 3-5世紀百濟와 倭의 交涉關係" 한신대학교 2003

      43 "圓筒形土器機能에 대한 考察『」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87「

      44 "固城松鶴洞古墳群第1號墳發掘調査報告書" 東亞大博物館 2005

      45 "咸平老迪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5

      46 "和順白巖里古墳地表調査" 국립광주박물관 2004

      47 "北部九州における圓筒埴輪の規格性" 71 : 1996

      48 "前方後圓形墳の築造モデル" 雄山閣 1996

      49 "前方後圓形古墳と墳周土器" 西都原考古博物館 2005

      50 "全南의 石室墳" 全羅南道·木浦大博物館 1996

      51 林永珍, "全南地方의 長鼓墳" 동아대박물관 2001

      52 "全南地方出土埴輪의 意義"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32 : 2000

      53 "光州香嶝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4

      54 "光州月桂洞1號墳出土埴輪の評價" 古代學硏究會 137 : 1997

      55 "光州明花洞古墳" 국립광주박물관 1996

      56 林永珍, "伏岩里古墳群" 全南大學校博物館 羅州市 1999

      57 "二重口緣土器小考" 33 : 2001

      58 "ホケノ山古墳(公開講演會資料)" 2000

      59 "「 日本における初期須惠器の系譜『」伽倻および日本の古墳出土遺物の比較硏究』" 1994

      60 "「 三韓의 國家形成『」韓國學報』3" 1976

      61 "4-6世紀百濟地域과 日本列島의 關係" 11 : 2004

      62 "4-5世紀倭에서 加耶·百濟로의 交易루트와 古代航路" 7 : 2002

      63 "2條突帶の圓筒埴輪" 埴輪檢討會 1 :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56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